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목안(3000446) 크게보기 3D 뷰어
목안(3000446)
국적/시대
한국/광복이후
재질
나무/소나무
용도
장식용품
소장처
삼척시문화예술센터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플라스틱(FDM/FFF)
추천재질 2 : 파우더(SLS/DMLS)
원천유물설명
목안은 전통혼례 때 살아있는 기러기 대신 사용하는 나무로 깎아 만든 기러기를 말한다. 나무기러기를 혼인 때 사용하는 풍습은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문헌상으로는 『예기』 혼의편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옛날에는 아들을 둔 집에서는 기러기를 집 안에서 기르다가 아들이 장가가는 날 기럭아범이 등에 지고 신랑 앞에 서서 갔다. 이것이 불편하여 나중에는 조각하여 채색한 나무기러기로 대용하였다. 기러기는 사랑을 상징하는 것으로 신랑이 신부의 양친 또는 친척 앞에서 신부와 백년해로의 서약을 할 때 전달하는데 이를 전안(典雁)이라 한다. 신부의 어머니가 나와서 기러기를 치마에 싸가지고 들어가는데, 지방에서는 기러기를 방 안에 있는 신부 앞에 슬쩍 밀어 그대로 서면 아들을 낳는다 하고, 넘어지면 딸을 낳는다고 믿었다. 경기지방을 비롯한 중부지역 일부에서는 떡시루를 엎어놓고 안에 목기러기를 넣어둔다. 기러기가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인데, 이는 옛날 산 기러기를 사용한 풍속이라 하겠다. 나무기러기는 영동, 영서 할 것 없이 집집에 혹은 마을마다 장만해 놓고 잔치 때 빌려 쓰거나 꺼내 쓰곤 했다. 양반집에서는 문중 전용으로 만들어 사용해왔는데 개중에는 목안을 보관하는 함까지 짜임새 있게 만들고 후손들에게 대대로 물려주도록 당부하였다. 본 목안은 목과 몸통을 따로 조각해서 꿰맞춘 것이다. 표면에는 칠을 입혔던 흔적이 남아있다. 저수지의 물오리를 닮았으며 부리가 길쭉하고 목이 낮은 편이다.
활용설명
목안의 형상을 그대로 활용해 생활상품으로 제작하였다. 나무로 만든 기러기는 혼례를 위해서 제작된 것으로 백년해로와 사랑을 의미한다. 혼례가 갖는 상징성과 신성함의 의미를 그대로 담고 있다.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소품을 사용해서 원하는 분위기를 이끌어내므로 신혼부부나 커플들을 위한 생활소품으로 인기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