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디지털문화자원

3D데이터에셋

범종

다운로드
범종

국립부여박물관

화면 본 수30

다운로드 수1

  • 데이터유형3D데이터에셋-3D모델
  • 국가/시대한국-고려
  • 공통분류민속
  • 재질금속
  • 서비스유형전시
  • 산업 유형기타
  • 파일용량
  • 최신 등록일2024.08.18
  • 공공누리유형

    공공누리 제1유형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 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개요 상세

  • 소장기관국립부여박물관
  • 명칭범종
  • 크기높이 30.4cm, 입지름 17cm
  • 전시명梵鍾
  • 중문명梵鍾
  • 설명 범종이란 절에서 시간을 알리거나 사람들을 모을 때, 또는 의식을 행하고자 할 때 쓰이는 종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범종은 삼국시대의 불교 전래 이후부터 사용되었다고 생각되지만 현재 남아 있는 것은 통일신라 8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종뿐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범종은 외형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울림소리가 웅장하여 동양권의 종 가운데서 가장 으뜸으로 꼽힌다. 바깥 모양은 마치 항아리를 거꾸로 엎어놓은 것 같이 위가 좁고 배 부분이 불룩하다가 다시 아래쪽인 종구(鐘口) 부분으로 가면서 점차 오므라든 모습이다. 종의 꼭대기 부분에는 한 마리의 용이 목을 구부리고 입을 벌려 마치 종을 물어 올리는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것을 용뉴(龍?)라고 부르는데,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의 역할을 한 것이다. 용뉴의 목 뒷부분에는 우리나라 범종에서만 볼 수 있는 대롱 형태의 기다란 관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을 용통(甬筒) 또는 음통(音筒), 음관(音管)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용통은 속이 비어 있고 많은 수의 범종이 이 음통 아래쪽에 작은 구멍을 내어 종의 몸체 안쪽으로 뚫리도록 한 점으로 미루어 종을 쳤을 때 울림소리에 어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음향 조절 장치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통 가운데 일부는 그 안이 막혀 있거나 종소리에 큰 관계가 없는 작은 종에까지 부착된 점으로 미루어 나중에는 용뉴와 함께 그 의미만이 강조되는 장식물로 변화하기도 하였다. 종의 몸체 윗부분과 종구 쪽의 아랫부분에는 같은 크기의 문양 띠를 만들었다. 이 범종은 1970년 2월 14일 전북 부안군 남포리 희롱 부락에서 청동 금고와 더불어 출토된 작은 종이다. 용통(甬筒)과 용뉴(龍)를 구비하고 있으나 용뉴(龍)의 일부분이 결손되어 현재 용두(龍頭)와 좌족(左足)만이 남아 있다. 덩굴 문과 연주문, 연꽃, 보살, 비천 등으로 종의 몸통을 장식하였다. 전체적인 종의 조식 수법과 형태로 보아 주조 연대는 14세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 부가설명 전북 부안군 남포리에서 출토된 범종을 그대로 재현해 관광, 전시상품으로 제작하였다. 본래의 형태를 참고하여 용통, 용뉴의 형태를 완벽하게 표현하였으며 종의 몸통에 보이는 다양한 문양을 사실적으로 나타냈다. 범종이 지닌 아름다운 음색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부안 남포리의 관광상품으로 활용될 수도 있으며 이를 복제하여 전시할 수도 있다.

산출물 다운로드 상세

* 파일을 클릭하시면 미리보기가 가능합니다. (zip 파일 제외)

최종산출물 (0)
3DAsset
ETC
단계산출물(0)

출처표기 상세

공공누리 제1유형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 주의 :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내려받기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개별조건

출처표시

출처표시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해야 됩니다.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ex)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O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누리집 주소)'에서 무료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누리집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온라인에서 출처 웹사이트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링크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이용자는 공공기관이 이용자를 후원한다거나 공공기관과 이용자가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유의사항 상세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고나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알아야할 사항

  1.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3D데이터에셋범종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 해당기관, 활용목적, 이용조건, 해당기관의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기관 국립부여박물관
활용목적
이용조건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저작권 유형 기관소유
이용약관 공공저작물 다운로드 시 개인정보 (회원가입 정보) 활용과 공공저작물 이용조건에 동의 하셔야 합니다.
개인정보활용 목적은 공공저작물 활용용도 분석과 더 나은 공공저작물 서비스를 위함입니다.
활용되는 개인정보는 디지털문화자원 공동활용플랫폼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라 관리됩니다.
다운로드된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유형에 맞는 이용조건으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이용약관전체보기
팝업닫기

다운로드

3D데이터에셋범종

전체 다운로드

다운로드

0%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