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http://api.kcisa.kr/openapi/service/rest/convergence2018/conver6
설명
다양한 도서의 일반 정보를 포함한 사서의 추천 글 등의 메타정보를 서비스
제공기관
문화체육관광부,국립중앙도서관,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국립세종도서관,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API 키워드
서비스 분류
API유형
REST
API 등록일
2018-12-28
호출건수
9,387
데이터 수정일
2025-04-01
갱신주기
연간
서비스키
세션당 요청레코드수
페이지수
검색어
No | 변수명 | 출력설명 |
---|---|---|
1 | rn | 번호 |
2 | title | 자원의 명칭 |
3 | description | 내용 |
4 | abstractDesc | 자원의 대한 요약 |
5 | affiliation | 소속 |
6 | alternativeTitle | 대체 |
7 | charge | 요금 정보 |
8 | collectionDb | 소속(통제)DB |
9 | contributor | 기여자 |
10 | coverage | 내용의범위 |
11 | createdDate | 제작일 |
12 | creator | 주된 책임을 진 개체 |
13 | extent | 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 |
14 | format | 자원의 물리적, 디지털 구현형 |
15 | grade | 등급 정보 |
16 | venue | 장소 |
17 | spatial | 공간 |
18 | temporal | 시간적범위 |
19 | time | 시간 |
20 | identifier | 자원의식별 |
21 | issuedDate | 발행일 |
22 | medium | 자원의물리적(물질적)상태 |
23 | period | 기간 |
24 | person | 사람 |
25 | reference | 참조한자원 |
26 | referenceIdentifier | 참조식별정보(썸네일이미지) |
27 | relation | 관련자원 |
28 | rights | 자원에 대한 권리 |
29 | source | 유래자원에 대한 참조 |
30 | subjectCategory | 기관별주제분류체계 |
31 | subjectKeyword | 핵심주제어(키워드) |
32 | subDescription | 보조 서술 |
33 | tableOfContents | 목차정보 |
34 | uci | 지식정보자원식별체계 |
35 | url | 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 |
36 | regDate | 등록일 |
37 | language | 언어 |
0000
정상 처리F2013
서비스 주소 호출 실패9999
서비스 점검중(내부 서비스 호출 장애)번호 | 자원의 명칭 | 내용 | 자원의 대한 요약 | 소속 | 대체 | 요금 정보 | 소속(통제)DB | 기여자 | 내용의범위 | 제작일 | 주된 책임을 진 개체 | 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 | 자원의 물리적, 디지털 구현형 | 등급 정보 | 장소 | 공간 | 시간적범위 | 시간 | 자원의식별 | 발행일 | 자원의물리적(물질적)상태 | 기간 | 사람 | 참조한자원 | 참조식별정보(썸네일이미지) | 관련자원 | 자원에 대한 권리 | 유래자원에 대한 참조 | 기관별주제분류체계 | 핵심주제어(키워드) | 보조 서술 | 목차정보 | 지식정보자원식별체계 | 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 | 등록일 | 언어 |
---|---|---|---|---|---|---|---|---|---|---|---|---|---|---|---|---|---|---|---|---|---|---|---|---|---|---|---|---|---|---|---|---|---|---|---|---|
1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DB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 Text | http://www.kpipa.or.kr | 추천년월:2011-09||추천인: | G706+KPEF01-F.RecommBook.0004141008 | http://www.kpipa.or.kr/info/recommBookInfo.do?board_id=35&article_id=4141&book_info_id=8 | Kor | ||||||||||||||||||||||||||||
2 | 꾿빠이, 이상 | 세 개의 이야기로 구성된 [?A빠이, 이상]은 이상(문학)에 관해 지금까지 알려진 자료를 모두 섭렵하지 않고서는 쓸 수 없을 만큼 정확한 실증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첫번째 이야기 [데드마스크]는 이상의 유실된 데드마스크의 소재와 진위 여부를 둘러싼 사건을 다루고 있으며, 두번째 이야기 [잃어버린 꽃]은 이상의 삶과 문학을 닮기 위해 평생을 바친 아마추어 이상 연구가 서혁민의 내면과 행동을, 마지막 이야기 [새]는 서혁민의 수기 속에 나와있는 [오감도 시 제16호 실화]의 진위 여부를 둘러싼 논쟁을 담고 있다. | 7500 | 독서인 DB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 Text | Mon Jan 01 00:00:00 KST 2001 | 책으로 따뜻한 세상 만드는 교사들 | http://www.read-kpipa.or.kr/UserFiles/굳빠이 이상.gif | 김연수/문학동네 | G706+KPEF01-F.organRecomBookInfo.0000024190 | http://www.read-kpipa.or.kr/recommend_book/recommend_view.act?pageCode=P03010201&organ_select=431&book_no=24190 | 2010-05-15 06:32:29.0 | Kor | ||||||||||||||||||||||
3 | 퀜틴 스키너의 자유주의 이전의 자유 | 이 책은 현대의 손꼽히는 역사가 퀜틴 스키너의 명저다. 그는 근대 초 영국에서 일어난 자유 시민과 자유 국가에 대한 로마 시대 이론의 부활과 발전을 발굴하고 그것을 옹호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지성사와 사상사의 본질, 목적, 목표에 대한 천착으로 이어진다. 오늘날 우리의 삶의 방식에 구체화된 가치들과 사고방식은 서로 다른 시대에 서로 다른 가능한 세계를 추구하며 알게 된 일련의 선택들의 결과다. 이 책은 그 점을 명확히 밝힌다. 형식의 역사적 탐구의 중요성, 타당성, 그리고 그것이 줄 수 있는 즐거움과 자극에 관한 한 지금껏 쓰인 가장 의미 있는 저술이다......이하생략 | 13000 | 독서인 DB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 Text | Mon Jun 25 00:00:00 KST 2007 | 대한민국학술원 | http://www.read-kpipa.or.kr/UserFiles/5620552.jpg | 퀜틴 스키너/푸른역사 | G706+KPEF01-F.organRecomBookInfo.0000019786 | http://www.read-kpipa.or.kr/recommend_book/recommend_view.act?pageCode=P03010201&organ_select=307&book_no=19786 | 2009-11-02 07:57:30.0 | Kor | ||||||||||||||||||||||
4 | 17,18세기 중국과 조선의 서구 지리학 이해 |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책머리에서론제1장 베드로의 그물: 서구 지리학과 선교제2장 땅에 대한 중국의 논의전통제3장 17, 18세기 서구 지리학 논의의 패턴제4장 대척지와 대기의 회전: 지구설 논쟁제5장 추연과 마떼오 리치: 서구 세계지도와 세계지지의 유통과 영향제6장 지구와 상식: 서구 지리학과 중화주의적 세계상맺음말참고문헌찾아보기 | 27000 | 독서인 DB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 Text | Wed Mar 07 00:00:00 KST 2012 | 대한민국학술원 | http://www.read-kpipa.or.kr/UserFiles/201309231379934742031_17.jpg | 임종태/창비 | G706+KPEF01-F.organRecomBookInfo.0000050298 | http://www.read-kpipa.or.kr/recommend_book/recommend_view.act?pageCode=P03010201&organ_select=935&book_no=50298 | 2013-09-23 11:12:04.0 | Kor | ||||||||||||||||||||||
5 | 19금 경제학 | ‘경제학’이란 말을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렵기만 하고 별 쓸모도 없는 학문이라는 생각을 한다. 경제학자인 나도 그 생각이 완전히 틀렸다고 반론을 펴기는 힘들다. 경제학에 그런 측면이 있다는 것은 어느 정도 사실이다. 최소한 경제학자들이 말하고 행동하는 것을 보면 그런 느낌을 받을 수밖에 없다. 대중과의 소통은 안중에도 없고 자기네들 사이에서만 통하는 언어를 즐겨 사용하기 때문이다.\n이 점에서 볼 때 『19금 경제학』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경제학이 일상의 행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학문이라는 말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는 경제학 따위는 던져 버리고 세상을 바로 보는 눈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감이 가는 말이 아닐 수 없다. 이론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의 사례를 풍부하게 인용해 세상과 경제를 보는 눈을 깨우쳐 주려는 저자의 시도가 매우 신선해 보인다.\n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재미있게 술술 읽힌다는 점이다. 경제학에 대해 어떤 두려움 같은 것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고 힘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물론 과도한 기대를 거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이 책 한 권을 읽고 경제학의 모든 것을 알게 되리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만 생각할 거리를 얻게 된다는 점에 만족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n요즈음 서점에 가보면 무수하게 많은 경제관련 책들이 쏟아져 나온 것을 보게 된다. 그 중에는 보석같이 좋은 책도 있지만, “왜 이런 책이 나왔나?”라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이 많다. 하여튼 이런 책들의 홍수 속에서 읽을 만한 책을 골라 읽기는 더욱 어려워진 현실이다. 평범하게 보이는 이 책이 과연 독자들 눈에 띌 수 있을지 자못 궁금해진다. - 추천자 : 이준구(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 인물과사상사 | 12000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DB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 293 | Text | 2009-01-07 | http://www.kpipa.or.kr/upload/book/KP0062/1384146696373_4110.jpg | 조준현 | 추천년월:2009-02||추천인:이준구 | G706+KPEF01-F.RecommBook.0004110006 | http://www.kpipa.or.kr/info/recommBookInfo.do?board_id=35&article_id=4110&book_info_id=6 | 2009-01-07 00:00:00.0 | Kor |
제공동의
신청자정보
활용정보
서비스키
항목 | 수집목적 | 보유기간 |
---|---|---|
성명, 이메일 | 오픈 API 서비스 제공 | 2년 |
위의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오픈 API를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제공동의
신청자정보
활용정보
서비스키
신청자 구분
연령대
제공동의
신청자정보
활용정보
서비스키
계정유형
* 활용 예정인 서비스가 없을 경우, ‘없음’을 기재
* 활용 예정인 서비스가 없을 경우, ‘없음’을 기재
작성된 내용은 API활용도 측정에 사용되며, 필수로 작성 바랍니다.
개발 계정은 일 1,000건으로 제한 됩니다.
제공동의
신청자정보
활용정보
서비스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