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http://api.kcisa.kr/openapi/service/rest/meta8/getGOGB3401
설명
국립고궁박물관의 유물안내 정보를 외부 개발자 및 사용자가 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API 서비스입니다. 유물의 명칭, 분류, 재질 등 유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공기관
국립고궁박물관
API 키워드
서비스 분류
API유형
REST
API 등록일
2015-02-24
호출건수
654
데이터 수정일
갱신주기
연간
서비스키
세션당 요청레코드수
페이지수
No | 변수명 | 출력설명 |
---|---|---|
1 | title | 자원의 명칭 |
2 | alternativeTitle | 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 ' + subTitle(부제)) |
3 | creator | 주된 책임을 진 개체 |
4 | regDate | 등록일 |
5 | collectionDb | 소속(통제)DB |
6 | subjectCategory | 기관별주제분류체계 |
7 | subjectKeyword | 핵심주제어(키워드) |
8 | extent | 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 |
9 | description | 내용 (기존 = description(내용) + ' ' + abstract(자원의 대한 요약)) |
10 | spatial | 공간 |
11 | temporal | 시간적범위 |
12 | person | 사람 |
13 | language | 언어 |
14 | sourceTitle | 참조자원제목 (기존 = reference(참조한자원) + ' ' + source(유래자원에 대한 참조)) |
15 | referenceIdentifier | 참조식별정보(썸네일이미지) |
16 | rights | 자원에 대한 권리 |
17 | copyrightOthers | 저작권 |
18 | url | 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 |
19 | contributor | 기여자 |
0000
정상 처리F2013
서비스 주소 호출 실패9999
서비스 점검중(내부 서비스 호출 장애)자원의 명칭 | 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 ' + subTitle(부제)) | 주된 책임을 진 개체 | 등록일 | 소속(통제)DB | 기관별주제분류체계 | 핵심주제어(키워드) | 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 | 내용 (기존 = description(내용) + ' ' + abstract(자원의 대한 요약)) | 공간 | 시간적범위 | 사람 | 언어 | 참조자원제목 (기존 = reference(참조한자원) + ' ' + source(유래자원에 대한 참조)) | 참조식별정보(썸네일이미지) | 자원에 대한 권리 | 저작권 | 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 | 기여자 |
---|---|---|---|---|---|---|---|---|---|---|---|---|---|---|---|---|---|---|
옥제연리문쌍이잔 | 홈페이지 | 2021-01-06 01:04:12 | 소장품및왕실문화 아카이브정보 | 유물 > 기타 | 최대폭: 9cm, 높이: 5.4cm | <p><span style=font-size: 10pt; font-weight: bold;>제작년도: </span><span style=font-size: 10pt;>18세기<br></span><span style=font-size: 10pt;><br>조선 영 · 정조 때 문신인 황인점과 그의 부인 화유옹주의 합장묘 부장품이다. 화유옹주(和柔翁主, 1740 ~ 1777)는 영조의 열 번째 딸로 1753년 창성위(昌城尉) 황인점과 혼인하였다. 옹주는 왕의 후궁이 낳은 딸을 말하며 외명부(外命婦)에 속한다. 출토유물은 생전에 사용하던 것들로 옥제 비녀 13점, 금동제 비녀 5점, 기타 도자기 등 총 30점이 넘는다. 이 중 일부 도자기는 황인점이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가져온 것들로 추정된다. 이들 유물은 18세기 조선의 궁중과 양반들의 실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로 평가된다. 1991년 6월 경기도 부천시 도로확장공사로 인한 묘이장 작업 중 발견</span><span style=font-size: 10pt;> </span><span style=font-size: 10pt;>· </span><span style=line-height: 1.2; font-size: 10pt;>출토되었으며, 황인점의 8대 종손 황선욱씨가 우리 관에 기증한 것이다.<br>\n<br>옥으로 만든 쌍이잔(雙耳盞)이다. 손잡이에 동물 형상이 양각되어 있고, 표면에 연리문(練理紋)이 확인된다.</span></p> | kor | http://www.gogung.go.kr/culture/getImage.do?cultureSeq=00017104PN&imgSeq=5 | http://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17104PN | |||||||||
청화백자합 | 靑華白磁盒 | 홈페이지 | 2021-01-06 01:04:12 | 소장품및왕실문화 아카이브정보 | 유물 > 도자기 | 폭: 5.6cm, 높이: 3.3cm | <p class=0><span style=font-weight: bold;>제작년도:</span> 18세기<br>\n<br>\n조선 영 · 정조 때 문신인 황인점과 그의 부인 화유옹주의 합장묘 부장품이다. 화유옹주(和柔翁主, 1740 ~ 1777)는 영조의 열 번째 딸로 1753년 창성위(昌城尉) 황인점과 혼인하였다. 옹주는 왕의 후궁이 낳은 딸을 말하며 외명부(外命婦)에 속한다. 출토유물은 생전에 사용하던 것들로 옥제 비녀 13점, 금동제 비녀 5점, 기타 도자기 등 총 30점이 넘는다. 이 중 일부 도자기는 황인점이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가져온 것들로 추정된다. 이들 유물은 18세기 조선의 궁중과 양반들의 실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로 평가된다. 1991년 6월 경기도 부천시 도로확장공사로 인한 묘이장 작업 중 발견 · 출토되었으며, 황인점의 8대 종손 황선욱씨가 우리 관에 기증한 것이다.<br>\n<br>\n아담한 크기의 백자합이다. 표면에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당초 무늬를 시문하였다.<br>\n<br></p> | kor | http://www.gogung.go.kr/culture/getImage.do?cultureSeq=00017105RE&imgSeq=5 | http://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17105RE | ||||||||
청화백자잔 | 靑華白磁盞 | 홈페이지 | 2021-01-06 01:04:12 | 소장품및왕실문화 아카이브정보 | 유물 > 도자기 | 입지름: 5cm, 밑지름: 2cm, 높이: 3.8cm | <p><span style=font-weight: bold;>제작년도:</span> 18세기<br>\n<br>\n조선 영 · 정조 때 문신인 황인점과 그의 부인 화유옹주의 합장묘 부장품이다. 화유옹주(和柔翁主, 1740 ~ 1777)는 영조의 열 번째 딸로 1753년 창성위(昌城尉) 황인점과 혼인하였다. 옹주는 왕의 후궁이 낳은 딸을 말하며 외명부(外命婦)에 속한다. 출토유물은 생전에 사용하던 것들로 옥제 비녀 13점, 금동제 비녀 5점, 기타 도자기 등 총 30점이 넘는다. 이 중 일부 도자기는 황인점이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가져온 것들로 추정된다. 이들 유물은 18세기 조선의 궁중과 양반들의 실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로 평가된다. 1991년 6월 경기도 부천시 도로확장공사로 인한 묘이장 작업 중 발견 · 출토되었으며, 황인점의 8대 종손 황선욱씨가 우리 관에 기증한 것이다.<br>\n<br>\n아담한 크기의 청화백자잔이다. 구연은 밖으로 벌어졌으며, 굽은 좁고 낮은 형태이다. 잔의 표면에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풀무늬를 간결하게 그려 넣었다. <br>\n<br>\n<br></p> | kor | http://www.gogung.go.kr/culture/getImage.do?cultureSeq=00017106UV&imgSeq=4 | http://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17106UV | ||||||||
'비·이'자문 목판 | ?·爾字紋木板 | 홈페이지 | 2021-01-06 01:04:12 | 소장품및왕실문화 아카이브정보 | 유물 > 조각 | 가로: 3.7, 세로: 3.3, 높이: 2.9 | <span>\n<p>상서롭고 운이 좋은 것을 상징하는 구절인 길상어문(吉祥語文)이다. 《시경詩經》이나 《예기禮記》 등의 고서에 나오는 구절을 복식의 깃이나 고름, 선단 부분에 부금(付金)하여 착용자의 무병장수와 부귀영화를 기원하였다. 왕실 아동에게 주로 사용되었다.<br>\n<br>양면에 각각 '비(俾)'자와 '이(爾)'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장수와 번영을 기원한다는 뜻인 '비이치이창 비이수이장(俾爾熾而昌 俾爾壽而臧)' 등의 구절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목판 한 면에 '칠(七)' 이라는 묵서가 있다.</p></span> | kor | http://www.gogung.go.kr/culture/getImage.do?cultureSeq=00011154TM&imgSeq=4 | http://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11154TM | ||||||||
화조도 | 花鳥圖 | 홈페이지 | 2021-01-06 01:04:12 | 소장품및왕실문화 아카이브정보 | 유물 > 회화 | 족자 세로: 214.6cm, 가로: 63.7cm | 화면 세로: 131.5cm, 가로: 47.6cm | <p class=0><span style=font-weight: bold;>제작년도</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pan>조선<br>\n<span style=line-height: 1.2; font-size: 10pt; font-weight: bold;>유형</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0pt;><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pan><span style=line-height: 1.2; font-size: 10pt;>족자<br></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br>선명하고 짙은 색채로 그려진 화조도이다</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0pt;>. </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두 폭이 한 점을 이룬다</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0pt;>. </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두 폭 모두 다른 종류의 새 두 쌍과 여러 가지 꽃들로 구성되었으며 흙으로 만든 둑과</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 괴석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0pt;>. </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두 폭의 화면 구성 방식에 같은 원칙을 적용하여 둑과</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 괴석을 화면 한쪽에 치우치게 배치하고 화려한 깃털을 가진 새 한 쌍은 지면 혹은 괴석에 </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다른 한 쌍의 새는 위쪽으로 뻗어 올라간 꽃가지 위에 배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0pt;>. </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새를 표현한 섬세한 필치와 화려하면서도 깊이감 있는 색채가 돋보인다</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0pt;>. </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size: 10pt;>본래 여러 폭으로 구성된 병풍으로 제작되었으나 후대에 낱폭으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span><span style=line-height: 1.2;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0pt;>.</span></p>\n<p class=0><span style=font-family: 한컴바탕;> </span></p> | kor | http://www.gogung.go.kr/culture/getImage.do?cultureSeq=00017087CI&imgSeq=2 | http://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17087CI |
제공동의
신청자정보
활용정보
서비스키
항목 | 수집목적 | 보유기간 |
---|---|---|
성명, 이메일 | 오픈 API 서비스 제공 | 2년 |
위의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오픈 API를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제공동의
신청자정보
활용정보
서비스키
신청자 구분
연령대
제공동의
신청자정보
활용정보
서비스키
계정유형
* 활용목적을 상세히 기술해 주십시요.
* 활용 예정인 서비스가 없을 경우, ‘없음’을 기재
* 활용 예정인 서비스가 없을 경우, ‘없음’을 기재
작성된 내용은 API활용도 측정에 사용되며, 필수로 작성 바랍니다.
개발 계정은 일 1,000건으로 제한 됩니다.
제공동의
신청자정보
활용정보
서비스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