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상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_매거진공예디자인

기본정보

  • URL

    http://api.kcisa.kr/openapi/service/rest/meta8/getKCDA1511

  • 설명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매거진 공예+디자인 정보를 외부 개발자 및 사용자가 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API 서비스입니다. 매거진 공예+디자인 목록정보와 상세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제공기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API 키워드

  • 서비스 분류

    API유형

    REST

  • API 등록일

    2015-02-24

    호출건수

    261

  • 데이터 수정일

    갱신주기

    연간

오픈 API

요청인자

  • 서비스키

    • 변수명serviceKey
    • 타입string
    • 필수여부true
  • 세션당 요청레코드수

    • 변수명numOfRows
    • 타입string
    • 필수여부false
  • 페이지수

    • 변수명pageNo
    • 타입string
    • 필수여부false

출력 값

출력 값 상세표
No 변수명 출력설명
1 title 자원의 명칭
2 alternativeTitle 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 ' + subTitle(부제))
3 creator 주된 책임을 진 개체
4 regDate 등록일
5 collectionDb 소속(통제)DB
6 subjectCategory 기관별주제분류체계
7 subjectKeyword 핵심주제어(키워드)
8 extent 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
9 description 내용 (기존 = description(내용) + ' ' + abstract(자원의 대한 요약))
10 spatialCoverage 관련장소 (기존 = spatial(공간) + ' ' + venue(장소))
11 temporal 시간적범위
12 person 사람
13 language 언어
14 sourceTitle 참조자원제목 (기존 = reference(참조한자원) + ' ' + source(유래자원에 대한 참조))
15 referenceIdentifier 참조식별정보(썸네일이미지)
16 rights 자원에 대한 권리
17 copyrightOthers 저작권
18 url 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
19 contributor 기여자

메시지 설명

  • 0000

    정상 처리
  • F2013

    서비스 주소 호출 실패
  • 9999

    서비스 점검중(내부 서비스 호출 장애)

활용 명세

※ parameter(조회조건)에 numOfRow, pageNo 외의 다른 조건이 있을 경우, 빈 값이더라도 다음 샘플과 같이 공백인 조건을 포함하여 [(샘플)&keyword=] 를 추가하여 호출하시기 바랍니다.

샘플 데이터

>샘플 데이터 상세
자원의 명칭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 ' + subTitle(부제))주된 책임을 진 개체등록일소속(통제)DB기관별주제분류체계핵심주제어(키워드)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내용 (기존 = description(내용) + ' ' + abstract(자원의 대한 요약))관련장소 (기존 = spatial(공간) + ' ' + venue(장소))시간적범위사람언어참조자원제목 (기존 = reference(참조한자원) + ' ' + source(유래자원에 대한 참조))참조식별정보(썸네일이미지)자원에 대한 권리저작권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기여자
 공예+디자인 제4호    홈페이지  2022-01-04 05:32:39  매거진 공예+디자인        Contents 목차001 마음의 뜨락003 계절 인사 유유자적(悠悠自適) 여름 나기005 [만남] 창작의 종자를 채집하다 이병주(플래닝코 리아 회장) 인터뷰011 고전수록 『산가요록(山家要綠)』 「동절양채(冬節養菜)」013 수치와 도표로 보는 도시 농업의 몇 가지도시농부 都市農夫[도시 농부] 공생 그리고 삶의 디자인016 도시 생태계 디자 인의 주역, 울엄마! 어느 옥상 텃밭의 꿈019 도시 농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들 상상력과 디자인이 필요하다025 도시 농업의 한계와 희망 지구를 지켜 온 비밀[KCDF 전시] 도시 농부의 작업실030 도시와 자연을 이어 주는 생각들 도시 농부의 작업실 展033 가구 디자이너 조병주034 전통 섬 유 공예가 조하나037 도예가 김하윤[다른 나라의 도시 농업]038 ① 일본—일본의 ‘노갸루’ 열풍과 도시 농업 농업 디자인의 잠재력을 엿보다041 ② 쿠바—도시 계획에 농업 을 먼저 생각한다 쿠바 아바나의 퍼머컬처(Permaculture)042 ③ 뉴욕—뉴욕의 거리를 도시 정원으로 하이라인(High Line)과 퍼블릭 팜(Public Farm)043 ④ 영국의 얼로트먼 트 가든(Allotment Garden), 독일의 클라인가르텐(Kleingarten), 러시아의 다차(Dacha)[도시 농부에서 농부로]044 악양에서 온 편지047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유월(六月)049 통영, 역사와 현황통영 統營 [통영統營] 공예 도시 브랜딩과 창조성[통영과 12공방의 시 작] 나전의 역사056 나전의 역사와 통영 ①회 금조개에서 자개로, 나전에서 ‘통영 나전’으로이순신과 통영057 통 영 12공방의 원류를 찾아서 창조적 지도자 이순신과 통영의 DNA[문화 도시 브랜딩, 통영統營]066 통영의 맛과 멋을 찾아서 긍정의 기억을 만드는 통영의 힘[통영을 살리는 장인들]069 ① 바람 없이도 나는 한국 연의 비밀 김휘범 통영 비연 전승자077 ② 못생긴 나무로 만든 통영 가구의 맛 김 금철 통영 소목장 전수 조교084 문화로 재생하는 유럽의 도 시들|085 통영의 도시 브랜드를 생각한다091 도구를 생각하다 부등변 삼각형의 비밀, 호미093 KCDF의 문화 네트워크업사이클링 Upcycling [도시와 기억의 업사이클링]096 오래된 미래 展 업사이클링098 오래된 공간에서 미래를 보다 문화역서울284, 그리고 꿈마루101 전통, 역사, 그리고 기억의 인문학 희망의 공 간을 꿈꾸며|[북촌의 장인들]108 돌의 빛나는 내면 옥석 장 김영희|111 삶에 끈 하나 만드는 일 매듭장 김은영114 한류 콘텐츠 전문 인력 양성 과정 K-Arts 아카데미 제1기 수료식|[산업과 공예의 공생]116 기업의 철학과 공예의 가 치를 함께 담다 두산그룹과 협업・제작한 명품 모래시계118 첨단 기기에 새긴 나전의 모던한 매력 나전 칠예 갤럭시탭118 한복 입고 학교 가자! 한복 생활화를 위한 한복 디자인 프로젝트[KCDF 소식 이모저모]119 지난 소식들120 앞으로 진행될 사업들121 21세기 프리미엄 공예 페어 : 콜 렉트125 KCDF갤러리의 작가들        kor          https://www.kcdf.or.kr/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6&nttId=4732   
 공예+디자인 제25호     홈페이지  2022-01-04 05:32:40  매거진 공예+디자인        Contents 목차- View I 시선 IObjectFun & play 004Design ++예술로 놀이하는 공간 012헬로우뮤지움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키움소다미술관 <놀이탐색: 숨은 놀이 찾기> 전현대어린이책미술관피노파밀리아중국 상하이 어린이 유리 박물관프랑스 국립장식미술관 장난감 갤러리일본 장난감 박물관Craft ++김재규 도예가의 우리 가족 이야기 028My family ceramic workshop- View II 시선 II I 지역 문화와 공예Intro공예의 근본은 자연이다 034Insight공예의 지역성 형성을 통해 본 전통의 구축과 정체성의 확립 036전통 공예의 미 그 무심함과 고정관념 변화의 필요성 042Report지역공예마을 육성 프로젝트와 공예문화상품 048공주 도자 I 강릉 자수 I 남원 목기Value전통 공예의 창조적 계승, 장인과 디자이너 협업 프로젝트 056- Spot 현장Space꽃과 차와 도자의 유쾌한 만남 '오차원' 066Intro공예의 근본은 자연이다 034Insight공예의 지역성 형성을 통해 본 전통의 구축과 정체성의 확립 036전통 공예의 미 그 무심함과 고정관념 변화의 필요성 042Report지역공예마을 육성 프로젝트와 공예문화상품 048공주 도자 I 강릉 자수 I 남원 목기Value전통 공예의 창조적 계승, 장인과 디자이너 협업 프로젝트 056- Feature 흐름World오래된 것이 새것이 되는 20년: 영국 공예 1997~2017 082Policy전기생활용품안전법, 공예계의 뜨거운 감자- Now 지금KCDF Now 094봄을 장식한 <아티스트 디스커버리 프로젝트> 현장공예의 새로운 발견, Revelations 파인크래프트 페어 참가기일본 오사카 한큐백화점 한국공예 기획판매전 <한국 뉴스타 아트>오감으로 만나는 강원도의 식문화와 공예 한식문화특별전 <봄놀이-산 꽃 밥>Craft+Design Now 1042017 제9회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서사-삶을 노래하다>Preview Ⅰ Review Ⅰ News Ⅰ World Ⅰ BookKCDF Choice 118KCDF 갤러리숍 공예 신상품Counsel 120공예+디자인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궁금증 03        kor          https://www.kcdf.or.kr/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6&nttId=4759   
 공예+디자인 제1호    홈페이지  2022-01-04 05:32:40  매거진 공예+디자인        Contents 목차04 축사05 발간사06 기획 [거(居)하는 즐거움]08 [칼럼] 오래된 미래, 한국의 옛집12 [라이프스타일] 징광문화 차정금 대표 3대가 사는 집18 [라이프스타일] 생태건축가 이재우의 강화도 흙집 이야기22 [라이프스타일] 자연주의 콩콩씨 부부의 지속 가능한 삶26 [재료 이야기] 자연 공간, 한옥의 재료 이야기32 [제작 이야기] 가구 제작자 김상림의 우리 나무, 우리 연장 이야기38 다시 보는 전시 디자인메이드 2010 ‘오래된 선물(善物)’40 특집 인사 11길 고.진.감.래48 문화역서울 284의 화려한 탄생 -근대 건축물, 구 서울역사의 새로운 미래 -물질 기억의 창고, 구 서울역사 이야기를 만들다 -개관 프로젝트 <카운트다운>, 정지된 시공간의 도약56 Campaign KCDF 그린 문화 네트워크58 [옥상 정원] 새로운 문화 트렌드, 아름다운 루프 갤러리를 그리다60 [녹색 파사드] 녹화벽 프로젝트 _ 공예와 조경의 융합61 [파머스 마켓] 농부가 차린 밥상 _ 슬로 푸드 랩(Slow Food Lab)62 Gallery <도시 농부의 하루>전 _ 그린 문화 네트워크의 문을 연 도시 농부 <폴딩(Folding, 접기)>전 _ 접고 펼치다 익숙하고 다양하다64 Press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 _ 나전 일은 세밀하여 가히 귀하다65 Academy 그린 과정 교육 프로그램 _ 도시 텃밭 디자인 교육67 News 국내 속 KCDF 세계 속 KCDF70 Member’s Board76 독자 편지        kor          https://www.kcdf.or.kr/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6&nttId=4729   
 공예+디자인 제13호    홈페이지  2022-01-04 05:32:40  매거진 공예+디자인        Contents 목차공예+디자인=도구02 전통문화연구소 온지음 배지운이 선택한 백자 사발공예+디자인=일상04 물건담소08 일상과 예술을 넘나드는 그들만의 수집 이야기 프로젝트 프로듀서 이상철 갤러리 보고재 대표 홍수원 디자이너 최정유공예+디자인=이슈40 북한 공예의 어제와 오늘디자인++50 미술수출52 문화로 행복한 공간을 만나다, 해병대 연평부대 '연평도서관'공예++56 공예&디자인 종사자를 위한 A to Z가 여기에! 한 손에 잡히는 공예사업58 이야기를 담아 밀라노에 간 그릇 '한국 공예 법고창신,밀라노 2015'공예+디자인=사람62 도예가 이기조와 김희종공예+디자인=여정70 성수동의 다양한 얼굴들공예+디자인=장소78 재료와 물성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가득한 곳, 윤현핸즈 & 스페이스 B_E공예+디자인=지금80 KCDF NOW!86 NOW!94 KCDF 온라인 숍        kor          https://www.kcdf.or.kr/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6&nttId=4747   
 공예+디자인 제14호    홈페이지  2022-01-04 05:32:40  매거진 공예+디자인        Contents 목차공예+디자인=도구04 디자인 칼럼니스트 김 신이 선택한 수저공예+디자인=일상06 물건담소10 예술적 공예의 선선함20 여행을 위한 조금 다른 조언공예+디자인=장소38 주는 기쁨 더하기 삶의 멋스러움, 주에디션공예+디자인=이슈40 도시를 살리는 공공디자인, 아홉가지 제안디자인++56 오리엔탈리즘58 타이포잔치201560 우리가 꿈꾸는 행복한 공간이 현실이 되다 성공회원주 나눔의 집 청소년진로자립센터 '때때'공예++64 이제 우리나라 대표 공예품엔 K-크래프트 마크!66 공예문화산업의 체계적 지원과 육성을 위한 '공예문화산업진흥법'제청공예+디자인=사람70 한지 장인 장성우, 한지 제품 디자이너 김현주공예+디자인=여정78 한여름의 망이 알레공예+디자인=지금84 KCDF NOW!91 NOW!        kor          https://www.kcdf.or.kr/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6&nttId=4748   

샘플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