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영화제작소 제작 무형문화재 기록영화에 관한 정보입니다.
구축 년도는 1960년에서 1990년 사이에 제작하였습니다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_16mm 기록영화 자료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무형유산을 담은 영상 자료입니다. 이 자료들은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보존을 위한 중요한 기록물로, 당시의 전통 공연예술, 민속, 의례, 공예 등 다양한 분야의 모습을 생생하게 담고 있습니다 각 영상은 16mm 필름으로 제작되었으며, 주요 내용으로는 충남민속, 한국의 춤, 고성오광대, 남사당놀이, 양주별산대놀이, 강강술래, 통영오광대, 진주검무, 승무, 강령탈춤, 처용무, 악기장, 수영야류, 궁시장, 학무, 차전놀이, 은산별신제, 장군당제, 은율탈춤, 조각장, 나전칠기, 낙죽장, 좌수영어방놀이, 장도장, 끊음질, 밀양백중놀이, 북메우기, 망건장, 나주의 샛골나이, 하회별신굿탈놀이, 곡성의 돌실나이, 고싸움놀이, 한산모시, 단청, 영산쇠머리대기, 영산줄다리기, 입사장, 제주칠머리당굿, 양주소놀이굿, 양태장, 발탈, 두석장, 갓일, 소목장, 종묘제례, 기지시줄다리기, 진도씻김굿, 영산재, 서해안 배연신굿, 대동굿, 조선왕조궁중음식, 유기장, 궁시장, 옹기, 명주짜기와 바디장, 진도다시래기, 가산오광대, 동해안별신굿, 위도띠뱃놀이, 침선장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