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4 건의 결과가 있습니다.
용비어천가
1445년(세종 27)에 세종의 6대 선조(先祖)의 사적(事跡)과 그에 대응되는 중국 역대 제왕의 사적을 대구로 하여 읊은 노래와 그 주석을 실은 책
두시언해
1481년(성종 12)에 성종의 명으로 유윤겸(柳允謙, 1420~?) 등이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 712~770)의 시(詩)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을해자로 간행한 책
직지심체요절
고려 승려 경한(景閑)이 선(禪)의 요체(要諦)를 깨닫는 데 필요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으로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다.
장삼
승려의 웃옷으로 검은 베로 길이가 길고 소매가 넓게 만든다. 장삼은 원래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는 착용하지 않았던 것인데, 불교가 중국으로 전하여지면서 기후와 의습(衣習)에 따르는 영향으로 편삼(?衫)을 가사와 함께 착용
가사
승려가 장삼 위,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法衣)
묘덕의상
당시 고려 귀족이었던 묘덕의 의상은 고려시대 귀족인 하연부인의 초상화와 불화에 나타난 귀부인 그림, 문헌에 기록된 자료들을 참고해 제작
금강산도 병풍
가회민화박물관에 소장중인 '금강산도 병풍'의 드로잉 요소
[국립남도국악원] 판굿 VR
<판굿>은 전문성이 뛰어난 연희패나 공동의 기금을 조성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걸립패가 쳤던 전통사회의 풍물굿을 말한다.
[국립남도국악원] 진도북춤 VR
<진도북춤>은 한손으로 북채를 들고 추는 대개의 북춤과 달리 북을 어깨에 메고 양손에 북채를 들고 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