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보상화무늬수막새(114988) 보상화무늬수막새(114988)
보상화무늬수막새(114988)
문양설명
보상화 문양이 적용된 수막새 원형형태를 재현함에 중점을 두고 3D 문양을 제작하였다.
통일신라시대 수막새기와의 문양은 전대(前代)에 이어 연판문이 주를 이루나 중국 보상화문의 전래로 이것이 연판문과 대치되기도 하고 함께 쓰이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각종 동물문이 이용되었다. 이 수막새는 비교적 고운 바탕흙을 사용하였으며 흑회색을 띄는 표면은 매우 단단하다. 문양은 8엽(葉)의 보상화문(寶相華文)으로 중앙에 커다란 자방(子房)에는 연주문(聯珠文)이 있고 그 내부에 하나의 화문(花文)과 그 주위를 둘러싼 8(顆)개의 연자(蓮子)를 배치하였다. 꽃은 가늘게 표현되었으나 양감이 있으며 구도가 매우 안정감이 있다. 주연(周緣)에도 문양이 있으나 흐려져 선명하지 않다. 수막새의 가장자리가 일부분 파손 되었으나 수키와부가 남아 있다. 전체적인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보상화무늬는 연꽃을 모체로 하여 꽃잎들을 층층이 중첩시켜 화려한 색채와 장식성을 부가한 것이다. 통일신라 이전에도 이와 유사한 무늬가 있었으나 단층의 조형화가 비교적 간단하였다. 그 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양이 보다 화려해지면서 다방면에 걸쳐 사랑받았다. 보상화의 보(寶)는 진귀함을 뜻하는 말로 불교에서는 탑을 보탑이라고 하는 것이 같은 용례이다. 보상화는 천상계를 상징하는 꽃이다. 성인이 득도하였을 때나 하늘에서 내려올 때, 또는 하늘로 다시 올라갈 때의 그림에는 여러 모양의 천화가 나타난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