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향유(香油)·머릿기름 등을 담는 병. 보통 목이 짧고 배가 부른 형태를 하고 있다. 유병은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병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는데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이것은 담겨진 기름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났던 것으로 추측된다.소형의 병에는 연지반죽용 기름과 같이 화장품을 반죽하기 위한 기름을 담았을 것이고, 약간 큰 병에는 얼굴에 발라 살갗을 부드럽고 윤기나게 하는 피부미용용 기름을 담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사용량이 많은 머릿기름을 담는 병은 다른 병보다 비교적 큰 병들이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 청자유병은 신라의 토기유병과 모양이 대체로 비슷하지만 몸통이 넓어지고 운두가 낮아지는 변화를 가져온다. 즉, 은행알처럼 옆으로 벌어진 몸체와 작은 주둥이를 지닌다. 조선시대에는 백자·청화백자 등의 크고 작은 형태의 것이 많다. 국화문이 새겨져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