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설명
세가닥으로 표현되 꽃 문양을 사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꽃을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치하여, 그리드를 이루는 패턴을 디자인하였다. 전통적은 붉은 컬러를 바탕으로 밝은 컬러를 꽃잎으로 사용하였다. 조금 강하고 눈에 들어오도록 하였다.
벼루(硯)는 문방사우 중 하나로 먹을 가는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대개는 돌로 만들지만 와연(瓦硯), 도연(陶硯)도 있고 옥·유리·비취·수정 등 보석류라든가 금·은·동·철·나무 등으로도 만든다. 형태는 직사각형·사각형·원형·타원형 등이 있다. 물론 다른 의장(意匠)으로 만들어진 것도 더러 있다. 먹을 가는 부분을 연당(硯堂), 또는 묵도(墨道)라 하고 갈려진 먹물, 즉, 묵즙이 모이도록 된 오목한 곳을 연지(硯池), 또는 연홍(硯泓), 연해(硯海)라 한다.
이 벼루는 점필재 종택에서 대여한 것으로 매화무늬가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재질은 돌로 만들었으며, 가로 13cm, 세로 25cm 정도의 크기이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