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용문활용제침기(3455) 크게보기
용문 활용 제침기
활용문양
용문
문양분류
동물문/용문
국적/시대
한국/현대
활용 문양 정보
용의 얼굴 모습을 그대로 제침기에 적용하였다. 스테이플러 심을 거는 부분을 용의 이빨로 대처했으며 서로의 어울림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용의 위턱과 아래턱이 맞물려 심을 제거하기 용이 하며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용은 벽사, 수호, 만물조화의 능력을 지닌 상상의 동물로 이 사무용품을 사용해서 쉽게 심을 제거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용은 만물 조화, 벽사, 수호의 능력을 갖춘 동물로 실재하는 모든 동물과 상상 속 동물들의 능력과 장점을 모아서 만들어 낸 상상의 동물이다. 용은 사령 중에서도 고문헌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신비한 동물로 형태와 기능 그리고 기원이 다양하다. 용은 하늘과 통한다는 통천신수(通天神獸)의 신물로 여겨져 만물조화의 능력을 지닌 영물이며 벽사와 수호, 물을 관장하는 능력을 가졌다. 용은 천자(天子)나 군왕(郡王)을 상징하며 중국 한대부터 용에 대한 개념과 신앙이 성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용은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사신 중의 하나로 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용은 권위를 상징하였으므로 대중보다는 최고 지배층을 위한 기물에 사용되었다. 용무늬의 보조무늬로는 구름무늬 또는 물결무늬가 사용되는데 이는 용이 하늘을 날고 물을 관장하는 능력이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