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용문활용찬장 받침대(3430) 크게보기
용문 활용 찬장 받침대
활용문양
용문
문양분류
동물문/용문
국적/시대
한국-조선(1891년)
활용 문양 정보
선반 위에 다양한 종류의 병과 학모양의 소품이 놓여있다. 선반을 고정하는 고정쇠가 바닥면의 양 끝에 배치되었다. 고정쇠의 내부는 용문에서 보이는 선들로 표현하고 뚫어서 표현하였다. 용의 일부만을 반영해서 활용했으나 용이 지닌 수호, 벽사의 의미를 그대로 전하고자 한다. 용은 만물 조화, 벽사, 수호의 능력을 갖춘 동물로 실재하는 모든 동물과 상상 속 동물들의 능력과 장점을 모아서 만들어낸 상상의 동물이다. 용은 사령(四靈:용, 거북, 기린, 봉황)중에서도 고문헌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신비한 동물로 형태와 기능 그리고 기원이 다양하다. 용은 하늘과 통한다는 통천신수(通天神獸)의 신물로 여겨져 만물조화의 능력을 지닌 영물이며 벽사와 수호, 물을 관장하는 능력을 가졌다. 용은 천자(天子)나 군왕(郡王)을 상징하며 중국 한대(漢代)부터 우리가 알고 있는 용의 모습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용은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사신(四神:동쪽은 청룡, 서쪽은 백호, 남쪽은 주작, 북쪽은 현무) 중의 하나로 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용은 권위를 상징하였으므로 대중보다는 최고지배층을 위한 기물에 사용되었다. 용문양의 보조문양으로는 구름 또는 물결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용이 하늘을 날고 물을 관장하는 능력이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