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형태별문양

형태별문양

칠장사 원통전(관음전) 빗천장(111300) 크게보기
칠장사 원통전(관음전) 빗천장(111300)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인물문/비천문
국적/시대
한국/근대
원천유물명
칠장사 원통전(관음전) 빗천장
문양설명
이 문양은 하늘에 떠 있다는 선인(仙人)을 나타낸 장식무늬의 하나로, 불교미술 중 하늘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상상에 의한 것이므로 나라와 민족마다 그 형과 상징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서양의 천인들은 등 뒤에 새날개가 돋아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서기전 3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 인장(印章)과 서기전 1400년경의 이집트 라상에서 벌써 보이고 있으며 고대 아시리아와 로마에서 성행하게 되었다. 동양에서는 인도 브라만시대부터 나타나는데 불교에서는 이를 비천(飛天)이라 하여 항상 주악(奏樂)과 산화(散花)를 하며 하늘을 떠도는 천인으로 1세기 전후부터 널리 조형화되고 있다. 4, 5세기의 바미얀석굴 석조상과 돈황석굴의 벽화를 비롯한 중앙아시아와 중국 육조시대의 화상석, 화상전에 나타나는 비천무늬들은 서방에서 페르시아를 거쳐 들어온 날개 달린 상과 인도상의 영향을 모두 받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영향을 받아 고구려 고분벽화와 백제 무령왕릉의 왕비 두침 등에 비천무늬가 나타나고 있다. 통일신라 8세기 이후부터는 매우 사실적이고 화려하며 세련된 양식적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특히 범종에 새겨진 주악공양비천무늬가 대표적인데 상원사종, 성덕대왕신종과 실사사종 등에서 가장 전형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 막새기와에서는 좌우대칭형식으로 많이 나타나며, 감은사탑과 불국사 석가탑 사리기의 비천과 안압지에서 나온 금동비천, 그리고 승탑에 새겨진 비천무늬 등에서도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통일신라 비천무늬는 고려, 조선의 범종, 승탑, 단청 등을 비롯하여 각종 공예에까지 시대적인 특징을 지니면서 두루 나타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