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콘텐츠

단경호(3000126)
- 국적/시대
- 한국/백제
- 재질
- 토제/경질
- 용도
- 식기
- 소장처
- 대전보건대학교박물관
- 3D프린팅 가이드
-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단경호는 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린 토기를 일컫는다. 이 단경호는 대전 송천동유적에서 출토되었다. 흑갈색 경질의 단경호로 전체적으로 깨진 것을 복원하였다. 태토는 세사립이 섞인 점토를 사용하였고 소성상태는 양호하다. 바닥은 약간 편평한 면을 가진 원형이고 몸통은 둥글며 아가리는 밖으로 바라졌다가 안으로 굽어서 입술에 이른다. 아가리의 중간쯤에 약하게 한 줄의 돌대를 돌렸다.
활용설명
항아리를 그대로 활용해서 주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기로 제작하였다. 굽이 없는 항아리의 특징을 잘 살렸다. 항아리는 지금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물건으로 주방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