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형태별문양

주작문(73548) 크게보기
주작문(73548)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동물문/주작문
국적/시대
한국-고구려
원천유물명
덕흥리벽화고분 전실 천정 남쪽 서편 하단
문양설명
주작은 사신(四神:동쪽은 청룡, 서쪽은 백호, 남쪽은 주작, 북쪽은 현무)의 하나로 붉은 새를 총칭하며 그 모습은 봉황과 유사하다. 중국의 고대문헌에서는 대부분 주작이 곧 봉황이라고 언급하고 있어서 주작이 봉황에서 유래한 것임을 추측하게 한다. 그 형태는 닭과 같고, 뱀, 사슴, 용, 거북 등의 각 부분을 떼어다 합한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서수(瑞獸:상서로운 동물)의 의미를 강조한 과장된 표현으로 보인다. 사신사상이 생겨나기 시작한 시기는 전국시대 말부터이나, 그 도상(圖像)은 한대에 이르러서 고분벽화나 화상석(畵像石), 석관, 석비, 와전(瓦塼), 동경 등에 나타나고 있다. 즉 한대인들은 사신도상을 고분이나 건축물 등에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방위개념과 벽사의 의미를 상징했다고 추측된다. 이러한 사신에 대한 관념은 직접적으로는 아니지만 시대를 거치며 고구려 시대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주작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사신도가 적극적으로 그려지기 시작하는 5세기부터는 구체적 모습을 보이며 등장한다. 초기(4세기 중반~5세기 중반)벽화 무덤에서 주작은 아직 부피감이나 무게감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 선묘로 그려져 있으며, 그 모습에 있어서도 닭과 매우 닮아있어 상서로운 동물이라는 느낌을 전혀 받을 수가 없다. 그러나 주작은 중기(5세기 중반~6세기 중반)를 지나 후기(6세기 중반~7세기 중반)에 이르러 화려한 색채와 치밀한 선묘로 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군데군데에 상서로운 동물임을 상징하는 표현들이 곁들여져 있어 주작표현의 변화를 알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는 집안 5회분 4호묘의 사신도이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