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메인
디자인문양
디자인 요소
앉아있는 사자의 옆모습을 디자인하였다. 앞발은 땅을 딛고 서 있으며 뒷발을 접어서 앉아 있다. 사자의 가장 큰 특징인 갈퀴는 머리 뒤쪽으로 휘날리고 있는 듯이 보이며 꼬리를 치켜들어 위엄을 강조한 모습이다. 불교에서 사자는 호법의 신장이나 수호신의 의미를 지니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 사지의 모습을 당당하게 나타내었다.
적용 제품군
제품디자인>아동용구류 및 교육용품류>완구, 게임기, 필기구, 미술용품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테니스라켓, 자전거, 서예용품
패션디자인>의류 및 패션잡화>스포츠 의류, 키즈웨어, 지갑 핸드백, 벨트
커뮤니케이션디자인>디지털콘텐츠>UI, CG, 영상물
커뮤니케이션디자인>시각디자인>CI, BI, 정부 및 지자체 상징물 및 서식
제품디자인>취미 및 레저용품류>테니스라켓, 자전거, 서예용품
패션디자인>의류 및 패션잡화>스포츠 의류, 키즈웨어, 지갑 핸드백, 벨트
커뮤니케이션디자인>디지털콘텐츠>UI, CG, 영상물
커뮤니케이션디자인>시각디자인>CI, BI, 정부 및 지자체 상징물 및 서식
디자인 방향성
사자의 전체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정형화한 디자인이다. 사자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아동용품이나 교육용품, 패션과 관련된 디자인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