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실판 꿈은 이루어진다 'R(Realization)=VD(Vivid+Dream)' 를 이룬 뮤지컬 배우 유현수. 그는 부족한 노래에 대한 자신의 단점을 극복하고 더욱 탄탄한 배우로 성장해 꿈꾸던 노래하는 뮤지컬 배우로 데뷔했다. 파란만장한 그의 좌충우돌 연기 생활, 후배들에게 알려주는 오디션 꿀팁을 공개한다.
Q1. 연극과 뮤지컬은 어떻게 다른가요?
A. 연극은 배우들 간의 감정과 호흡으로 줄거리를 공감할 수 있는 공연인데요. 뮤지컬은 노래와 연기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오디션 현장도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연극은 감정 연기가 돋보여야하기 때문에 심층된 배우의 연기를 볼 수 있는 무거운 분위기죠. 그에 반해 뮤지컬은 좀 더 동적이고 노래와 춤으로 배우의 감정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Q2. 이전 작품들은 연극을 많이 하셨는데, 뮤지컬로 전환하신 이유가 있으신가요?
A. 저는 평소 노래 실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노래와 춤을 필요로 하는 뮤지컬에는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뮤지컬에 대한 꿈을 놓지 않고, 노래 실력을 꾸준히 개선하며 단점을 보안할 수 있는 뮤지컬의 기회를 엿보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노래 실력을 보안할 수 있는 ‘So What’ ‘랩’ 뮤지컬을 발견하여 그간의 갈고 닦은 실력을 발휘하여 꿈으로 이루어 지는 기회를 잡았습니다.
Q3. 뮤지컬로 전환하며 어려움은 없었나요?
A. 뮤지컬 ‘So What’에서 맡은 ‘모리츠’역할은 가정사와 학교생활이 원활하지 않고 우울한 캐릭터입니다. 연극에서 ‘모리츠’를 연기했다면 캐릭터를 표현할 수 있는 말투와 생각, 표정 등을 연습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뮤지컬에서의 ‘모리츠’ 캐릭터는 연기 뿐 만 아니라 춤과 노래로 그의 생각을 표현해야 합니다.
Q4. 오디션 합격을 위한 팁이 있다면?
A.배우는 본인의 장단점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연기하면서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누구보다 잘 알고 꾸준한 노력과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기에 대한 냉철한 평가와 남들과는 차별되는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자신만의 노하우를 가져야 합니다. 오디션은 배태랑 배우도 긴장하기 마련입니다. 한 순간의 결정이 앞날을 책임지는 오디션은 누구에게나 어려운 숙제이지만, 저는 누구보다 저의 장단점을 잘 알고 있었기에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으로 보완하여 꿈꾸던 뮤지컬 배우로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Q5. 뮤지컬을 시작하는 후배들에게 한마디?
A. 배우는 다양한 캐릭터를 접하며 자신만의 풍부한 표현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비슷한 장르의 도전보다는 장르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고 모든 중소공연을 장르별로 확인할 수 있는 문화N티겟 사이트를 자주 접하며 새로운 장르에 대해 도전하고 고민해 봐야 합니다.
<배우 유현수 작품 활동>
2019 S다이어리
2018 별빛야행(궁궐연극)
2017 하얀신부(무용극)
2014 잊혀진 영웅(연극)
* 욕설, 비방 등 불건전한 내용은 문화N티켓 게시판 운영규정에 의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