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문화영상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 문화유산
  • 서울

[한국문화100]애환이 깃든 다듬이질

제작
문화포털
재생시간
05:48
등록일
2015-10-20
청아한 다듬이질소리는 우리 정서의 대표적 상징이었다. 그러나 그 독특한 가락의 오묘한 음악도 세월의 변화와 더불어 우리 곁에서 사라졌다. 우리의 잃어버린 소리를 다시금 기억하고 다듬이질 문화를 알아보자.



*나레이션
달 밝은 가을 밤, 창호지 문 틈 사이로 흘러나오는 청아한 소리.
또닥.. 또닥.. 옛사람들은 우리 어머니의 다듬이질 소리가 익숙하다
경쾌한 소리에 담겨있는 우리 다듬이질에 대하여 알아보자.

한국 고유의 문화 다듬이질.
다듬이질은 우리의 고유한 옷감 손질법으로
옷감의 구김살을 펴기 위하여 다듬잇돌에 옷감을 올려 방망이로 두드리는 것을 뜻한다.
 
옛 우리 여성들은 한나절 꼬박 시부모님 공양과 자식 뒷바라지를 하며 가사노동을 했다.
그렇게 하루를 마치고 밤이되면 우리 어머니들은 다듬이질을 하며 타향으로 떠난 남편을 기다렸다.
다듬이질운 대표적인 여성노동의 한 형태였으며  어머니들의 애환이 담겨 있다.
어릴 적 대청마루에 누워서 본 어머니의 다듬이질하는 모습은 이제 추억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전라북도에 위치한 창포마을은 오래전부터 청아한 다듬이 소리가 울러 퍼지고 있는 곳이다.
세월의 변화와 더불어 다듬이질 문화는 사라졌지만 이곳 창포마을에서는 다듬이질 소리의 정겨움을 느낄 수 있다.

화음을 이루는 듯한 다듬이질 소리가 울려 퍼지며 다듬이연주단만의 공연이 시작되었다.

다듬이질 소리의 청랑한 선율을 통해 현대인들은 옛 추억의 향수를 느낄 수 있었다.
이렇듯 우리 선조들에게 다듬이질은 생활과 삶 그 자체였다.
현대문명이 발전하면서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된 우리네 정서의 상징, 다듬이질. 
다듬이질은 선조들의 생활문화였으며 옷감을 다듬는 것 뿐 아니라, 삶의 고단함을 풀어주는 우리 전통문화였을 것이다.

함께 볼만한 영상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한국문화100]애환이 깃든 다듬이질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감댓글

0
코멘트 입력
0/14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