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온라인
문화체험
문화체험
문화공감
문화지식
문화알리미
문화데이터개방
회원가입
온라인 문화체험
온라인 공연ㆍ전시
전체
뮤지컬
콘서트
연극
클래식
무용
스포츠
전시/행사
국악
어린이콘텐츠
온라인 교육ㆍ체험
온라인 도서ㆍ체육
VR콘텐츠
문화체험
공연ㆍ전시
전체
음악/콘서트
뮤지컬/오페라
연극
국악
무용/발레
아동/가족
전시
기타
행사ㆍ축제
교육ㆍ체험
문화릴레이티켓
문화공간ㆍ단체
문화시설
체육시설
서점
문화예술단체
문화생활네비게이션
문화공감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문화예보
기관별영상
인문학강연
카드뉴스
웹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지식
전통문양 디자인
디자인 문양
형태별 문양
용도별 문양
활용 디자인
전통문양활용
활용 가이드
문양의 이해
전통문양 사용신청
3D프린팅콘텐츠
예술지식백과
연극
음악
무용
미술
영상
문학
건축
축제ㆍ문화
예술용어사전
연구교육자료
문화포털 API
문화알리미
이벤트
초대이벤트
문화포털 이벤트
당첨자 발표
채용ㆍ자원봉사모집
연계기관채용
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ㆍ지원사업
정책뉴스
지원사업
공지사항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자주찾는질문
서비스문의
마이페이지
개인정보수정
나의 게시물
나의 이벤트
나의 예매내역
전통문양신청내역
회원탈퇴
문화후기
바로가기
English
문화융성카드
문화데이터개방
공공문화정보 오픈 API
공지사항
참여광장
회원가입
회원가입
문화포털
검색
검색어
검색
이전
정지
재생
다음
전체메뉴
전체메뉴 펼쳐보기
온라인 문화체험
온라인 공연ㆍ전시
뮤지컬
콘서트
연극
클래식
무용
스포츠
전시/행사
국악
어린이콘텐츠
온라인 교육ㆍ체험
온라인 도서ㆍ체육
VR콘텐츠
문화체험
공연ㆍ전시
음악/콘서트
뮤지컬/오페라
연극
국악
무용/발레
아동/가족
전시
기타
행사ㆍ축제
교육ㆍ체험
문화릴레이티켓
문화공간ㆍ단체
문화시설
체육시설
서점
문화예술단체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
문화생활네비게이션
문화공감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문화예보
기관별영상
인문학강연
카드뉴스
웹진
문화SNS지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지식
전통문양 디자인
디자인 문양
형태별 문양
용도별 문양
활용 디자인
전통문양활용
활용 가이드
문양의 이해
전통문양 사용신청
3D프린팅콘텐츠
예술지식백과
연극
음악
무용
미술
영상
문학
건축
축제ㆍ문화
예술용어사전
연구교육자료
문화포털 API
문화알리미
이벤트
초대이벤트
문화포털 이벤트
당첨자 발표
채용ㆍ자원봉사모집
연계기관채용
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ㆍ지원사업
정책뉴스
지원사업
공지사항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자주찾는질문
서비스문의
마이페이지
개인정보수정
나의 게시물
나의 이벤트
나의 예매내역
전통문양신청내역
회원탈퇴
문화후기
바로가기
English
문화융성카드
문화데이터개방
공공문화정보 오픈 API
공지사항
참여광장
온라인문화체험
온라인 공연·전시
어린이콘텐츠
온라인 교육·체험
온라인 도서·체육
VR콘텐츠
문화체험
공연·전시
행사·축제
교육·체험
문화릴레이티켓
문화공간·단체
문화생활네비게이션
문화공감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카드뉴스
웹진
문화 SNS 지도
문화정보분석
문화지식
전통문양디자인
3D 프린팅 콘텐츠
예술지식백과
연구교육자료
문화포털 API
문화알리미
이벤트
채용·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ㆍ지원사업
공지사항
이용안내
마이페이지
문화데이터개방
공공문화정보 오픈 API
공지사항
참여광장
로그인
메뉴펼쳐보기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카드뉴스
웹진
문화SNS지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N티켓
티켓 예매 발권 서비스
문화후기
관람 후기 공유
홈
문화공감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주소복사
인쇄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문화예보
기관별영상
인문학강연
국내외 문화PD가 제작한 쉽고 재미있는 문화영상을 즐겨보세요.
▶
03:01
언택트 업무 문화와 AI
코로나19가 경제활동의 방식까지 바꾸어놓았다. 사람과 사람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일하는 방식인 언택트 업무문화를 들여다보고 그 속에 더 깊숙이 들어와 진화하고 있는 AI기술을 소개한다. 제목 : 언택트 그리고 AI 내레이션/자막. 요즘은 출퇴근길의 지옥철을 느끼는 대신 언택트 업무 문화로 인한 답답함을 느끼는 시대라고 해요. 다들 공감하시나요? 여기! 메신저나 화상회의 이상의 업무 효율을 주는 인공지능 기술이 있습니다. 인터뷰/자막. 기계가 사람의 자연어를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에 들어가는 인공지능 기술은, 첫번째, 음성인식 기술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오디오를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기술이죠. 두번째는, 텍스트가 만들어지면 기계가 그 텍스트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처리라고 하는 기술입니다. 이렇게 음성인식과 자연어처리, 이 두가지를 합치면 우리가 말하는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기술이 만들어집니다. 그동안은 이 기술을 AI스피커처럼 사람과 기계의 대화에서 활용되었지만 코로나가 장기화된 요즘 시대에 언택트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이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레이션/자막. 이 기술을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화에 적용을 한 이유는 사람과 사람이 실시간으로 대화할 때 가장 많은 정보를 가장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로 이메일이나 메신저로 업무적 대화를 하지만 중요한 이야기를 해야된다든지 빨리 처리해야 할 일이 있다든지 아니면 깊은 논의가 필요한다든지 상대방에게 신뢰를 주어야 한다든지 아니면 감정을 전달하고 싶을땐 무조건 전화를 하거나 미팅을 잡죠? 그래야 짧은 시간안에 많은 정보를 주고 받고 감정을 나눌 수 있습니다. 이것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사람간의 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자막. 그런데 코로나 시대엔 이런 것들을 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재택근무로 인해 대면하는 미팅이 어려워지다 보니 즉흥적이고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줄어들었습니다. 원격으로 일 하면서 여러가지 온라인 채널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있곤 하지만 여러명이 실시간으로 업무를 같이 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부분은 부족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시간적인 비용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여러명이 하는 미팅이 만들어질 때 시간을 효율적으로도 사용하고 미팅에서 나온 정보가 많은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공유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습니다. 요즘과 같이 (사무실 출근과 재택을 번갈아 하는) 하이브리드 오피스족들의 업무적 효율성을 증대시켜주는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고민해서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습니다. 내레이션/자막. 언택트 업무 문화 속에 깊숙히 들어와 점점 더 진화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대해봅니다.
오송민
조회수: 1
▶
05:02
직접 보고 느끼는 4차 산업, 구로 G밸리 체험센터
직접 보고 느끼는 4차산업, 구로 G밸리 체험센터 서울 구로디지털단지에 위치한 G벨리 4차 산업 체험센터를 방문하고 그곳에서 할 수 있는 VR을 비롯한 3D 프린터, 코딩, 드론 등을 직접 체험, 그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통해 학생, 아이들이 체험을 통해 4차 산업의 핵심기술을 배울 수 있다는 점을 소개하고 한국의 4차 산업 기술에 대한 이야기를 담는다. #프롤로그 NAR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G 밸리 구로 공단이라고 불린 이곳은 1960년대 한국의 수출을 책임지던 최초의 국가산업단지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의 명칭 변화와 함께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첨단 산업이 밀집한 곳으로 발전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여기 첨단 기술들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곳이 있다고 해서 찾아와 봤는데요 오늘은, 이 곳에 위치한 G 밸리 체험센터에서 4차 산업의 핵심 기술들을 직접 만나보았습니다 #본문 NAR 2018년 12월, 서울 최대의 산업단지 구로구에 G 밸리 체험센터가 탄생했습니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은 이미 우리 사회의 모습과 생활을 바꿔놓았지만 실제로 이러한 기술들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했는데요. 이곳 G 밸리 체험센터에서는 4차산업의 핵심기술들에 대해 배우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평일과 매주 2번째, 4번째 토요일. 인터넷으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예약하면 기술에 대한 설명과 함께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프로그램들이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VR 프로그램 NAR 컴퓨터로 만든 가상의 세계에서 실제와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는 VR 기술 VR 장비를 통해 가상의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이 프로그램은 실제로 자신이 직접 만든 가상의 공간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특별합니다. 흔히 VR 기술하면 게임, 놀이기구들을 생각하지만 사실 VR 기술은 의학, 항공, 군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코로나 때문에 박물관이나 미술관 방문이 어려워지면서 많은 기관에서 VR을 도입해 언택트 문화생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 체험 프로그램 NAR 프린터에서 사진, 그림이 아닌 입체적인 물건이 출력된다면? 이 프로그램에서 컴퓨터로 입체적인 도면을 만들고 이러한 도면을 바탕으로 실사를 출력하는 것까지 전 과정에 대한 것을 자세히 배울 수 있습니다 인터뷰 Q1. 3D 프린터의 기본 원리가 무엇인가요? 기존에 잉크젯 프린터라고 있는데 잉크젯 프린터는 종이에 납작하게 잉크로 원하는 글이나 그림을 출력하는 건데 3D 프린터는 출력 재료를 녹여가지고 실처럼 층층이 쌓아올려서 입체적으로 출력하는 원리로 하고 있습니다 Q2. 프로그램 내용은? 3D 프린팅 체험 방법 같은 경우는 처음에 아이들 오면 3D 프린터에 대해 간단하게 이론 소개해주고요 그다음에 캐드 프로그램 기능에 대해 짧게 설명해주고 같이 에펠탑이나 곰돌이 이런 주제를 정해서 모델링을 처음부터 끝까지 같이 하는 시간을 가져요 모델링하는 시간을 가진 다음에는 아이들한테 너희가 원하는 걸 자유롭게 창작해서 모델링하는 시간을 주고 끝내고 있습니다 Q3. 3D 프린터가 사용되는 분야는? 3D 프린터를 활용한 분야로는 대표적으로 의료분야나 건축분야 같은 게 있는데요. 의료분야는 의수나 가상의 장기 같은 거를 만들어내는 쪽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고요. 건축분야는 건축도면이나 이런 걸 3D 모델링으로 미리 만들어보거나 하는 쪽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코딩 체험 NAR 최근 코딩에 대한 교육이 의무 교육 과정으로 추가되면서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창의적인 사고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 강사와 함께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고 이를 활용해 실제 로봇 자동차를 움직여보면서 어렵고 복잡할 것만 같은 코딩을 좀 더 쉽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드론 체험 NAR 마지막으로 드론의 역사와 발전 모습과 함께 실제 실내에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드론 체험 최근 드론은 적의 기지를 정찰하거나 정보를 수집하는 군사적 역할 외에도 사람이 직접 가기 어려운 장소들을 촬영, 무인 택배 배달 서비스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체험 센터 내의 드론에는 안전장치가 되어 있어 어린아이들도 안심하고 체험할 수 있다고 하니 직접 드론을 조종해 볼 수 있는 특별한 경험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클로징 NAR 코로나라는 세계적 위기 속에서 4차 산업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그 기술들은 국가 경쟁력에 큰 힘이 됩니다. 급격하게 변하는 지금 사회 속에서 앞으로의 4차 산업을 이끌어 갈 아이들에게 직접 기술과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이곳 G 밸리 체험센터에서 앞으로 달라질 한국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BGM 1.MydNyte - Noir Et Blanc Vie 2.Star Eyes - urpleactus 3.082. Go to the 선유아일랜드 Across The Pier - VYEN4.
노진아
조회수: 2
▶
04:06
한푸가 아니라 한복, 우리의 한복 이야기
한류에 대한 인기가 급상승하면서 증가한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 하지만 한국의 역사와 전통 문화와 관련된 논란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 최근 한복에 대한 유래와 역사에 대해 생긴 논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복에 대한 고유한 미와 정신에 대해 소개한다. #프롤로그 NAR 한복을 아이템으로 출시한 중국 게임회사가 갑자기 서비스를 종료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한복이 한국의 전통 옷이 아니라는 중국 유저들의 항의 때문이었는데요 한복은 명나라 때 입던 한푸에서 유래된 옷이라는 주장이었습니다. 드라마 킹덤에 등장하는 한국의 갓 문화 방탄소년단, 블랙핑크의 무대의상인 한복까지 최근 K팝, K드라마 등 한국의 문화가 전 세계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한국의 전통문화 역시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런 한복이 한국이 아닌 명나라의 전통 옷이라고? 그럼 지금부터 한복이 한국의 전통 옷이라는 증거부터 한복에서만 볼 수 있는 아름다움까지 한복에 관련된 재밌는 이야기들을 알아볼까요? # 본문 1 - 한복의 시작과 유래 NAR 한복의 유래는 삼국시대 때부터 시작됩니다 삼국시대에 그려진 벽화 속 사람들의 모습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한복을 입고 있습니다 한복 하면 흔히 생각하는 바지, 저고리의 모습은 기원전 중앙아시아에서 활동한 유목민족인 스키타이 문화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손목, 발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는 말을 타거나 사냥을 하기에 아주 적합한 복장인데요. 이는 바지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긴 겉옷의 특징을 가진 중국의 민족, 한족의 전통 옷과는 구별됩니다 그 후, 한복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한복으로 발전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한복 역시 유행을 타기도 하고 주변국들의 영향을 받았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유지해왔는데요 원나라 때 고려 시대의 문화와 의복, 풍습이 유행한 고려양의 영향으로 한복의 여성 복식이 한푸와 유사했지만 명백하게 한족의 전통 의상인 한푸와는 구별되는 점들이 존재합니다 오히려 중국 역사서 속자치통감에서는 사방의 의복과 모자, 기물이 고려를 모방해, 온 세상이 미친 것처럼 들썩이고 있다.라는 기록으로 원나라에 유행한 한복이 오히려 명나라 초기 때까지 영향을 미쳤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이러한 한복이 논란이 된 이유는 최근 한 중국 게임 개발사에서 출시한 한복 아이템 때문인데요 이를 두고 중국 유저들은 한복은 명나라의 한푸 혹은 조선족의 고유의상이지 한국의 고유의상이 아니다 를 주장하며 반발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주장에 반대해 우리나라의 네티즌들도 #한복 챌린지 #Korea-hanbok-challenge와 같은 해시태그들로 한복이 한국의 전통 의상이라는 메시지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본문 2 - 한복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NAR 지난 11월 15일부터 30일까지 서울웨이브 아트센터에서 열린 한복극장전에서는 한복의 세계화에 앞장선 영화와 드라마에 사용된 다양한 한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전시회는 실제로 배우들이 착용한 한복을 AR기술과 함께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특별합니다 우리는 흔히 한복을 생각하면 우아함, 단아함, 부드러운 느낌을 떠올립니다 대체 한복의 어떠한 점들이 이러한 아름다움을 떠올리게 하는 걸까요? 먼저 한복의 곡선과 직선의 조화로운 형태가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둥근 어깨선과 한복 소매의 배래, 살짝 올라간 섶코, 볼록하게 펼쳐지는 치마 등 곡선의 미학을 볼 수 있는 한복 특히 이 곡선의 미학은 한국의 둥근 산, 살짝 들린 처마와 같이 전반적인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한복에 사용되는 자연 친화적인 옷감과 자연에서 얻은 염료들을 이용한 색감이 한복의 자연미와 우아함을 살려줍니다 #클로징 NAR 다양한 문화 콘텐츠 속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전통문화들이 큰 인기를 얻고 있지만 역사에 대한 고증과 인식의 부족으로 잘못 소비되는 우리나라의 문화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처럼 우리가 먼저 전통문화에 대해 알고 배우려는 노력이 세계로 뻗어 나가는 한국의 문화를 바르게 지킬 수 있는 방법입니다 BGM The truth - Ann Domini Beats https://www.youtube.com/watch?v=5yheuXhJdGw
노진아
조회수: 128
▶
04:05
지금 인천공항에는, "인공지능 공무원"이 있다?!
지금 인천공항에는, 인공지능 공무원이 있다?! 오랜시간 가지 못했던 공항, 그곳에 뉴 페이스들이 있다! 인천공항에 이전보다 더! 많은 수가 등장하게 된 안내 로봇 직원들, 그리고 직원들도 이용한다는 24시간 AI 챗봇 서비스까지! 문화PD가 속성 취재했습니다. -----대본----- #나레이션. 속보입니다. 그리운 설렘이 가득한 공간, 인천 공항에 신개념 공무원이 떴다는 소식인데요. 아니, 어떻게 이들은 이 어려운 시기, 인천 공항에 등장할 수 있었을까요? 설마 낙하산이 아니냐는 풍문이 돌고 있습니다. 이들의 정체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PD 특파원이 현장에 나갔습니다. #나레이션. *비장한 발걸음* *두리번 두리번* 저 공익적 모습.. 혹시?! 저기요!!!! 혹시 인터뷰 좀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에어스타, 인천공항 2년차 선임 안내로봇 #인터뷰. Q. 먼저, 인천공항 로봇 직원들은 무슨 일을 하나요? A. 네, 저희는 여러 기능을 가지고 각자 역할에 맞는 일을 하고 있는데요. 먼저, 신입 에어포터는! 여러분의 짐을 들어드릴 수 있는 친구에요. 여러분의 짐을 편안하게 들어드릴 뿐만 아니라, 먼 곳에서도 여러분을 착실히 따라다닐 수 있는 똑똑한 친구랍니다. 게다가 귀엽기까지 하죠? ㅎㅎ 또다른 신입 에어라이드도 정말 핫한 친구인데요. 공항 안에서 드라이브 하기, 상상해보셨나요? 수많은 카메라와 감지 센서로 장애물을 피하면서, 인공지능을 통한 최적의 경로 설정을 통해 교통약자 분들과 시민 분들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모셔다드릴 수 있죠! Q. 그런데 에어스타 님께서는 무슨 일을 하시는거죠? 무엇을 안내하시나요? A. 앗, 저는 무슨 일을 하냐구요? 안내로봇인 저, 에어스타 4세대는! 여러분의 항공편 정보, 지도 출국장 혼잡도와 기내 유의사항 등 편의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드릴 뿐만 아니라! 여러분과 기념 사진을 찍기도 해요. 같이 많이 찍어요ㅎㅎ *하트 표정도 할 수 있다구요~ 사진은 물론 폰으로도 전송되는 센스! Q. 그리고, 듣기로는 가상공간에서 일하는 직원도 있다구요? A. 맞습니다~ 스마트폰 속에서 일하는 인천공항 어플의 챗봇 에어봇은, 공항 안과 밖! 24시간 어디서나, 인공지능을 통해 학습한 매끄러운 소통으로 공항의 정보들은 전달해드릴 수 있어요. 그래서, 상주직원님들도 유용하게 쓰시고 계시다고 합니다! Q. *흠, 이렇게 알찬 구성이라니... 제법인걸?* Q. 마지막 질문입니다. 혹시, 앞으로의 계획은 어찌 되실까요? A. 흠, 흠. 자세한건 업무 비밀이고요! 인천공항에서는 앞오르의 4차 산업 혁명에 대비해서, 더욱 안전한 운항을 위한 드론 탐지 시스템 등, 여러 신기술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Q. 감사합니다! 혹시, 이렇게 친절하게 많은걸 알려주시는 에어스타님의 워라밸은...? A. 앗, 제 워라밸*일work-삶life의 균형balance*은 어떻냐구요! 저도 교대근무를 하고 있어서, 때가 되면 퇴근을 하고 푹~ 쉰답니다! Q.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에어스타 님이었습니다~! A. 별 말씀을요ㅎㅎ PD님도 좋은 퇴근 되세요~ #나레이션. 흠, 이 어려운 시기에 어떻게 등장했나 했더니, 역.시. 제법이네요. 대단한 뉴페이스들의 활약, 앞으로도 기대해보겠습니다. 어느덧 가까워진 4차 산업 생활 환경, 함께 느껴보기 위해선 머지않은 날, 건강하게 만날 수 있도록 해야겠죠! 건강하게 다시 만나요! -----사용 음원----- 1. End of the Rainbow - Quincas Moreira 2. Higher Kiss - TrackTribe (유튜브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제공)
조유빈
조회수: 142
▶
02:37
나홀로 즐기는 북촌 한옥에서 하룻밤 보내기
나홀로 떠나는 북촌 한옥 여행을 통해 한옥의 아름다움과 여유를 느껴본다 본 영상은 코로나 19 방역지침에 준수하여 안전하게 촬영하였습니다 어디를 가는 길일까요? 바로 바로....! 아날로그 게스트 하우스 가는길 챠란 아날로그 한옥에 도착했습니다 하루종일 디지털 세상에 갇혀 있는 사람들에게 한옥과 아날로그적인 소품으로 힐링을 주는 게스트 하우스 댕댕이 출몰!!! 귀여워 ㅠㅠㅠㅠㅠㅠ 귀여운 건 길게 감상해볼까용 (뽀시래기) (나 간식주라) 빈티지한 라디오와 공용공간이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것 같습니다 음악도 들으며 조용히 하루를 마무리 해봅니다 방은 1인 독방으로 혼자서 여행오기 굉장히 좋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공용공간에서는 마스크를 꼭 착용하고 있었습니다 한옥의 밤풍경 참 좋아요 :) 이제 씻고 잘 준비를 해볼까요? 욕실에는 편백나무로 만들어진 욕조도 있어서 정말 따뜻하게 힐링을 할 수 있었어요 어메니티 키트까지 완-벽- 그 자체 물을 틀어보니 나무가 따뜻한 물을 만나서 나무 향이 퍼지더라구요 누구인가 누가 편백나무 향기를 내었어! (향기 솔솔~) 누었을 때 보이는 한옥의 천장 (샤워 끝) 온돌이 정말 따뜻해서 푹 잘 수 있었습니다 (잘 준비 끄읕-) 굿나잇! 굿모닝~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 북촌 문화센터를 방문해보았습니다 안전하게 큐알코드를 찍고 들어가네요 이곳에는 한옥의 역사와 한옥을 짓는 모습 등이 자세히 나와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자, 이제! 북촌에서 유명한 다운타우너라는 햄버거집을 가볼 예정입니다 아보카드 햄버거라는 제품이 있어서 너무 궁금했는데 기대가 됩니다 매장은 위험하기 때문에 포장을 해서 한옥에서 먹을 예정입니다 한옥에서 먹는 햄버거라니 정말 새로운 조합인 것 같네요 얼른 한옥으로 맛있어요! 체크아웃 시간에 맞춰 커피 한잔을 마셨습니다 가끔 이렇게 혼자 여행을 즐겨보는 건 어떨까요?
이종욱
조회수: 206
전체메뉴
문화예술
문화유산
문화산업
체육
관광
생활
총
20
건
검색정보 입력
전체
국내
해외
지역
7거리
볼거리
탈거리
살거리
놀거리
느낄거리
먹을거리
잠잘거리
검색
▶
08:31
비대면 온라인 예술- 떠오르는 패러다임
제목:비대면 온라인 예술- 떠오르는 패러다임 기획 의도: 하이퍼스페이스는 이미 하나의 갤러리로 전환된지 오래이다. 온라인 세상은 이미 여러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업을 내비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왔지만, 이번 코로나 사태가 도래하면서 예술계의 방향성은 두드러지게 온라인으로 변환 중에 있다. 이 위기 속에서 예술가들과 예술 관련 종사자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창작 방식, 소통 방식을 실험 중에 있고- 이 전환시대의 비대면 랜선 예술은 새로이 떠오르는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온라인과 예술의 융합- 이 전환의 실험 방식, 방향성과 영향에 대해서- 또 서울과 경기지역의 예술가 지원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 나레이션: 하이퍼스페이스. 인터넷은, 우리를 아주 긴밀하게 연결해줍니다. 이 고도의 연결성은 우리 삶의 전 방향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요, 문화예술 또한, 예외가 아닙니다. 많은 예술가들은 인터넷을 일종의 포트폴리오로 사용하며, 인터넷은 이미 하나의 갤러리, 전시장, 공연장으로 전환되어 왔습니다. 전 세계의 예술가들은 SNS및 영상 플랫폼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전 세계의 관객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코로나 사태 속 사회적 거리두기와 방역조치로 인해 예술계에 온라인 열풍- 비대면의 패러다임이 불고 있습니다. 비대면 온라인 예술, 떠오르는 패러다임 공연예술계 같은 경우는, 극장 속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할 수 없어 많은 경우 공연이 전면 취소되는 등- 큰 불황을 겪었지만, 이로 인해 온라인으로 무관중 공연을 진행하는 단체들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무관객 공연실황을 영상으로 기록해, 이를 생중계하거나 또는 녹화물을 여러 SNS 플랫폼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공연예술계는 이렇게 온라인을 통해 영상으로 관객과 소통하며 예술적 갈증을 해소하고 있습니다. 미술계에서는, 1인칭 시점에서 갤러리의 전시를 온라인으로 관람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가 늘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 이전에 이미 시작된 현상이지만 최근들어 더욱 대두되고 있습니다. 그 중, 국내에서 선두가 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온라인 미술관은, 전시 해설, 전시투어, 작가인터뷰, 미술강좌 및 심포지엄, 어린이 교육영상, 수어 해설 등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영상 및 음성 콘텐츠를 제공 중에 있습니다. 현재 폐관중인 국립현대미술관의 불꺼진 전시실 안의 여러 작품들을 온라인을 만나보실 수 있는데요- 잠시, 작품 해설을 들어보시겠습니다. 해설위원: 김기창은 모두가 다 알고있죠. 청각 장애를 앓고있었고, 이 청각장애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오히려 더 많이 받은 작가입니다. 어릴 적에 열병을 앓아서 청각을 상실하게 되는데, 아버지는 덩치가 큰 김기창을 보고 목수로 키우고자 했는데 학교에서 해오는 간단한 스케치를 보고 엄마는, 그림에 소질이 있구나 하고 생각되서 김은호 화숙에 김기창을 데려가게 되죠. 본 작품은 어떻게 보면 김기창의 첫사랑을 그린 작품인데요, 김기창의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외할머니 댁에 자라면서 그 옆방에 살고 있는 기생딸 소저라는 여인을 사랑하게 되는데- 외활머니는 또 기생 딸이었기 때문에 싫어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항상 몰래 데이트를 했는데, 이 작품도 몰래 데이트가 낳은 결과입니다. 김기창과 이 소저라는 여인, 그리고 김기창의 막내 여동생을 데리고 동네에 나와서 어느 의사집에 들려서 그 거실을 이용해서 스케치를 한 작품이라고 합니다. 스케치를 해오고 김기창은 그 작품을 토대로 비단에 굉장히 섬세하게 이 채색화를 그리게 되는데 김은호의 많은 영향을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완성한 작품은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해서 입상을 받게 되고, 그 기쁜 소식을 알리려고 했을 때, 소자는 이미 할머니 댁을 떠나고 없었다고 합니다. 약간은 슬픈, 그런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나레이션: 국립현대미술관의 온라인 미술관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특별히 마련된 온라인 공연 시리즈, MMCA 라이브를 시작했습니다. 서울, 과천, 덕수궁 등, 각 국립현대미술관의 특성에 어울리는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콜라보를 통해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를 선보이는 융복한 예술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페라의 유령과 서울국립현대 미술관의 합작, 잠시 감상해 보시죠. -All I ask of you 노래 가사- No more talk of darkness Forget these wide eyed fears Im here, nothing can harm you My words will warm and calm you Let me be your freedom Let daylight dry your tears Im here, with you, beside you To guard you and to guide you Say you love me evry waking moment Turn my head with talk of summertime Say you need me with you, now and always Promise me that all you say is true Thats all I ask of you 나레이션: 전 세계의 문화예술품을 소장중인 국립중앙박물관도 마찬가지로, 온라인 전시관을 운영중에 있습니다. VR과 동영상을 통해 온라인으로 전시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인간, 물질, 그리고 변형- 핀란드 디자인 10,000년의 전시를 함께 감상해보시죠. 현 사태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의 불씨는 꺼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삼는, 새로운 플랫폼과 창작 방식, 공유 방식을 연구하고 개척하는 흐름이 대두됩니다. 앞으로 랜선 문화예술계는 어떻게 더 발전하고 변형될지, 기대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연예지
조회수: 2,384
▶
06:08
[그사람이야기] 말 대신, 몸으로 모든 것을 표현하는 사람_유진규 마임배우(강원 춘천)
영상소개 우리나라 마임 1세대, 살아있는 화석 유진규 배우의 마임과 예술에 대한 이야기 자막 그사람이야기 유진규편 누군가를 기다리는 한 남자 한국문화정보원 원장 이현웅 #특급_문화리뷰어 #문화콘텐츠는_내게_맡겨라 #문화리뷰의_끝판왕 인터뷰/자막 이현웅 일일 문화리뷰어 오늘 만날 주인공은 몸으로 모든 걸 표현하십니다 우리나라 문화예술계의 화석 같은 사람 (한마디로) 살아있는 전설 같은 분입니다 자막 #한국_마임의_개척자 #춘천마임축제_만드신_분 #지금도_활발한_활동ing Q. 선생님에 대해 소개해주신다면? 마임하는 유진규입니다. 인터뷰/자막 유진규 마임연기자 그런데 마임이 아직도 생소하잖아요 (저도) 처음부터 마임을 했던 것은 아니고 연극을 하다가 마임을 알게 됐죠 자막 무려 약 50년 전부터 시작한 마임 당시 우리나라에서 마임은 새로운 개척지였기에 열정과 의욕이 가득했던 젊음을 발판 삼아 새로운 개척지를 향해 몸을 던진 유진규 마임연기자 인터뷰/자막 유진규 마임연기자 일반인이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것과 예술가가 무언가를 드러내는 것에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어요 왜냐하면 예술가들은 적어도 나만이 가진 것 적어도 남들이 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자기 자신의 발견이랄까 그런 것을 표현하는 거죠 자막 예로부터 유교적인 교육을 받아왔던 우리나라 몸으로 표현하는 것은 저속하다는 편견 인터뷰/자막 유진규 마임연기자 마임은 물론이고 연극을 할 때도 (몸으로 자신을) 드러내야만 하는 거잖아요 그 (편견을) 벽을 깨는 과정이 사실 힘들었고 드러낼 때도 그다음 단계로 어떻게 드러내느냐 하는 문제가 있죠 심오한 이야기들 여러가지가 복잡하게 얽힌 것들을 몸으로 단순하게 끄집어내서 (관중들이) 이해할 수 있게 보여주는 과정은 너무 힘들었던 것 같아요 자막 Q. 문화활동과 사회적 가치의 조화를 만들어내는 방법은? 인터뷰/자막 유진규 마임연기자 (예를 들어) 세월호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순수예술을 통해 (대중들이) 공감할 수 있는 게 나의 예술이라고 생각했어요 자막 하지만 세월호 사건을 겪으며 스스로 예술가로서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에 빠졌고 현장에 나가야겠다고 결심 사회 속으로 뛰어들어 나만의 방법으로 예술을 통해서 대중에게 전하는 이야기 행위예술가로도 활동하며 사회적 문제에 뛰어들어 민중의 소리를 온몸으로 표현하는 유진규 마임연기자 잠시 쉬는 동안에 선생님께 직접 마임을 배워보는 문화리뷰어 인터뷰/자막 유진규 마임연기자 이몸이 새라면 노래가 있잖아요 우리는 늘 현실로부터 어딘가로 떠나고 싶어 하잖아요? 그 마음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표현해봐요) 자막 마음 깊은 곳에 숨어있던 자유를 찾아서 두 손으로 표현하는 새의 자유로운 날갯짓 인터뷰/자막 이현웅 일일문화리뷰어 너무 경박하게 (퍼덕이는 것 같아요) 이진규 마임연기자 (가상의) 벽이 있다고 떠올려봐요 이 벽이 단순히 서있는 게 아니라 (사방이 둘러싸인 벽 안에) 내가 갇혀있는거 예요 점점 좁혀져 오는 걸 한번 표현해봅시다 자막 선생님의 설명을 듣자마자 빠르게 포기하는 문화 리뷰어 인터뷰/자막 유진규 마임연기자 (관중들과) 어울리기 위해 여기서 주로 거리공연을 많이 하고 퍼레이드도 하고 마임의 특징이 거리문화와 함께하는 거라 (일부 관객만 볼 수 있는) 극장보다도 오히려 거리에서 더 자주 접할 수 있어요 자막 도깨비난장 춘천마임축제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밤새 공연하는 것이 특징 인터뷰/자막 유진규 마임연기자 (여기가 바로) 춘천마임축제의 꿈을 실현한 가능성을 발견한 곳이에요 자막 이곳에서 탄생하게 된 춘천마임축제 인터뷰/자막 유진규 마임연기자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표현은 처음이었다 즉, 저는 마임을 하는 유진규이지만 그 이전에 예술가로서의 유진규이기도 하죠 자막 늘 새로운 것을 찾아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예술가들은 적어도 나만이 가진 것, 적어도 남들이 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자기 자신의 발견이랄까. 그런 것을 표현하는 거죠. [강원도인물편] 새로움을 탐험하는 개척자, 유진규 마임연기자
문화포털
조회수: 10,991
▶
01:37
[홍콩/해외문화PD] 한국과 홍콩, 수묵교류전시회
지난 9월 25일 주홍콩한국문화원에서 [2019 한국-홍콩 수묵 교류전 : 수묵의 조형과 확장] 개막식 및 수묵 합작 시연이 열렸습니다. 한국작가와 홍콩작가가 함께 마천루에 비친 홍콩 건물 등을 화선지에 담았습니다. 지난 9월 26일 주홍콩한국문화원 6층 전시실에서 한홍 수묵전시회 오프닝 행사가 열렸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전통 수묵기법에 충실한 작품뿐만 아니라 입체적 예술로 진화하고 있는 수묵의 발전과 확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영사님 말씀] Formation and Extension, one of the highlight of my festive Korea, this year 2019 본 행사에는 특별히 한국과 홍콩의 수묵 작가들이 함께 작품을 만드는 합동 시연 시간이 있었습니다. 박태후 작가와 챈 싱 카우 작가, 김천일 작가와 챈 인 완 작가가 한 팀이 되어 작품을 함께 만들었습니다. 두 팀은 각각 추석에 보름달을 바라보는 풍경 그리고 물결 속의 홍콩 마천루를 담은 풍경을 화선지에 담았습니다.
우은재
조회수: 671
▶
02:48
당신의 카메라는 무엇인가요?
당신의 카메라는 무엇인가요?성북구에 위치한 한 필름 현상소. 그곳에서 만난 사진작가에게 묻는다. 당신이 필름을 찍는 이유는 무엇인가요?디지털화 되면서 점차 사라지게 된 필름 카메라. 하지만 필름 특유의 색감과 질감을 찾아 필름카메라를 찾는 이들이 많아졌다.필름 사진을 찍는 이유와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차이에 대해 직접 찍은 필름 사진과 함께 알아본다.――――――――――――――대본What’s your camera? - 당신의 카메라는 무엇인가요?안녕하세요, 이름은 김정재라고 하구요김정재 - 사진작가짜장이 - 위켄드필름 마스코트사진 찍는 일을 하고 있는데 또 필름 사진을 취미로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01. 필름을 찍는 이유일반 디지털 사진도 취미로 하다가 이제 업으로 하게 됐는데(짜장이 탈주)사진을 일로 하다 보니까 그래도 제가 사진을 좋아서 시작한 건데계속 순수하게 즐기면서 할 수 있는 게 필름 사진이더라구요02.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의 차이디지털과 아날로그라는 점이 있죠그래서 그런 속성으로 인해서 오는 여러 차이점?그런 차이가 숫자나 데이터로만 (나는 게 아니라)물론 그런 식으로도 해석을 할 수 있겠는데사람이란 게 눈으로 딱 봤을 때 느껴지는질감이라던가, 색상의 느낌이라던가 그런 게 있잖아요그런 게 차이점인 것 같아요 딱 몸에 와닿는03. 필름에 대한 전망사실 정확한 년도가 잘 기억이 안나는데코닥, 필름을 생산하는 코닥이라는 회사가 파산 신청을 한 사례도 있었어요코닥 - 1882년 미국의 사진기술자조지 이스트먼(George Eastman)이 설립한카메라 및 필름의 제조사하지만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된 코닥은결국 2012년 파산 신청을 하게 된다자연스럽게 디지털화 되면서 필름 사용이 줄어들다 보니까근데 요즘은 지금 이곳 대표님이 현상소도 새로 오픈을 할 만큼다시 20, 30대 분들이 필름 사진을 많이 찾고 있어서앞으로 세월이 지나도 계속 사람들이 찾을 것 같고회화나 조각 같은 경우에도 사람이 손으로 직접 하는 건데도 수백 년 수천 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해오잖아요필름도 사진에서는 그런 영역일 것 같구요오히려 디지털 카메라가 발달하면서흔히 말하는 고급 전문가용 카메라 같은 경우는 좀 의미가 줄어들 수 있더라도워낙 요즘 휴대폰으로도 잘 찍을 수 있으니까필름은 세월이 변하고 기술이 더 발전해도 계속 사람들이 찾을 것 같아요
차혜림
조회수: 1,223
▶
03:14
서울속의 파리, Ofr.Seoul 서점
1996년 오픈해 파리를 찾는 여행객들의 필수 코스가 된 ofr. 서점. 마레 지구의 이 서점이 ofr.seoul이라는 이름으로 서울숲에 문을 열었다. 작은 공간이지만 파리 매장처럼 누구나 편히 책을 볼 수 있는 분위기는 그대로 옮겨 두었다. 정기적으로 파리 매장에서 서울로 책을 보낸다고 하니 국내에서 보기 힘들었던 예술 서적, 독립 출판물들을 만나볼 수 있다. 서울 속의 조그만 공간이지만 파리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인 ofr 서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오에프알 서울은? ofr 파리로 잘 알고 계시는 파리 마레지구의 오래된 독립 예술 서점의 서울지점 입니다. 아시아 최초 지점이고, 한국에서 접하기 어려운 외서나 예술 서적위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희 가게에 오시면 책 이외에도 소품과 같은 다른 물건들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미라벨이라는 편집샵 브랜드와 같은 공간에서 함께 운영합니다. 파리에서 온 많은 빈티지 소품, 물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성수동에 자리 잡은 이유? 오에프알 파리도 메인 마레지구가 아닌 예술가들이 터를 잡아서 형성한 그런 거리에 있습니다. 느낌이 가장 비슷한 곳이 성수동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서울숲, 한강과 가깝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성수동에서도 성동구 젠트리피케이션을 막기위해 보호구역으로 지정했습니다. 대기업, 체인업체들 들어와서 잠식하지 못합니댜. 근처의 자영업자 동네 이웃처럼 상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가게의 모토나 지향하는 점? 미라벨 프렌치 감성을 기반으로 하는 소품, 수입 상품들 소개하는 것. 패브릭, 가방 등 미라벨만의 감성을 담은 제작상품도 많음. 다른 누군가나, 나를 위한 선물, 작은 선물들을 찾을 때 방문하기 좋은 가게. ofr의 책이나 아트피스들과도 결이 잘 어울린다고 파리의 사장님도 말씀하셔서 같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부분이 서울속에서 파리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지? 기본적으로 판매하는 상품들이 거의 프랑스에서 왔습니다. 기존의 한국 정돈된 서점에 익숙한 사람들은 처음 가게에 오면 불친절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자유롭게 책을 찾아서 고르고 진열 해 놓은 모습들이 외국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외국에 와 있는 느낌. -앞으로 서점이 문화예술공간으로 나아갈 방향? 파리의 오에프알 공간 뒤 쪽에 갤러리 있고 전시도 하고, 젊은 예술가, 작가들 많이 후원 하고 자체 출판도 한다. 지금은 시작한지 얼마 안 되어서낯선 외서나 예술서적들 소개를 중점을 두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아티스트들 후원하고 더큰 공간에서 여러 전시나 협업하는 모습 학생들 까지 후원하는 방향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임주향
조회수: 1,472
▶
00:24
[워싱턴/해외문화PD] 워싱턴에 울려퍼질 한국의 장구 소리
오는 9월 20일 금요일, 미국 워싱턴의 Studio Theater에서 한국인 음악가 김소라의 공연이 열립니다.미국에 한국 전통 음악을 소개하는 뜻 깊은 공연이 될 것입니다.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http://www.koreaculturedc.org/En/Explore/Content.asp?Idx=1029Part=PA
양정안
조회수: 602
▶
01:59
[워싱턴/해외문화PD] 미국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한국 문화원 전시, 놓치지 마세요!
워싱턴 문화원의 7-8월 전시의 주인공은, 한국인 작가 안태은의 개인전 입니다.안태은 작가의 작업은 예술을 통해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고그들의 물성 너머에 존재하는 또다른 가능성을 실험해 나가는 과정입니다.그녀에게 있어 신체는 내면 세계와 외부 세계를 연결하는 교량일 뿐 아니라세계를 마주하고 체화해내는 열린 공간으로써 인식됩니다.상호적이고 유한하며 주체적인 동시에 객체이기도 한 신체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놓음으로써그 신체로 하여금 일상과 예술 사이의 경계에 얽힌 타래들을 풀어나가길 희망하고 있습니다.http://www.koreaculturedc.org/En/Explore/Content.asp?Idx=1008Part=EH--------------대본--------------인터뷰/Besty Johnson, 큐레이터The title of this exhibition ‘Open Site’ comes from the artist’s own words, Ahn has said she understands body as an open site through which we perceive and understand the world.인터뷰/안태은, 작가저의 작업은 예술을 통해 저와 제 스스로를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고 그들의 물성 너머에 존재하는 또 다른 가능성을 실험해 나가는 과정입니다.저에게 있어 신체는 내면 세계와 외부 세계를 연결하는 교량일 뿐 아니라 세계를 마주하고 체화해내는 열린 공간으로써 인식됩니다.우리의 삶은 우리가 생각해온 것보다 훨씬 더 유한하고 예측할 수 없는 것이기에 이를 중심으로 신체가 지닌 물성을 탐구하거나 해체하는 작업들을 주로 합니다.인터뷰/Besty Johnson, 큐레이터She often uses clay, which is made of some of the same substances of the body. We often hear that we come from dust and we return to dust. So, she takes this material and she creates situations where she encounters obstacles and she pushes through them. For her, this is a practice. This is a practice that extends into her life and allows her to be a better person, be that kind of person that she ultimately wants to be.
양정안
조회수: 588
▶
01:03
[워싱턴/해외문화PD] 2020년 워싱턴에서 공연할 한국 예술공연단을 공개모집합니다.
워싱턴 한국문화원은 2020년 온스테이지 코리아 무대에 오를 공연작품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온스테이지 코리아는 예술가들에게 공연을 위한 무대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국 사회에 한국의 공연예술을 소개하고 알리고자 기획된 워싱턴 한국문화원의 공모 프로그램입니다. 공모 분야는 음악, 무용, 전통예술, 무언극 퍼포먼스 등 다양하며, 한국 문화와 관련된 공연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예술가나 예술단체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공모 신청기간은 2019년 7월 15일부터 9월 6일까지이며, 신청을 원하시는 예술가는 워싱턴 문화원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신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www.KoreaCultureDC.org)
양정안
조회수: 514
▶
5:15
나만 알고싶은..? 레트로!
나만 알고 싶은...? 레트로! 지역문화PD 10조 김정우, 임소이 [기획의도] 어느날 갑자기 당신의 취향을 저격하는 비밀지도가 나타난다면?!? LP가게, 헌책방, 구제옷시장, 고전게임카페... 서울시내에 있는 레트로 풍의 장소를 함께 즐겨보자! [[대본]] #팝업창- [지금부터 당신에게 해당되는 항목을 선택해주세요.] 주인공: (화면에 뜬 팝업창을 보며 읽는다) 나만 가질 수 있는 독특한 물건을 찾나요...? (클릭) 철이 지난 디자인을 멋이라고...(클릭) 어 이거 완전 내 얘기잖아? (나머지 항목들을 클릭하며) 이것도! (완료버튼 누름) #팝업창- [독특한 아이템을 찾는 당신! 당신만을 위해 특별한 비밀장소를 소개합니다.] 주인공: 어? 나만을 위한 비밀장소? #‘서울레코드’ 영상 나레이션: 1976년부터 영업을 해 온 서울 레코드는 CD뿐 아니라 디스코, 클래식, 재즈 등 다양한 장르의 LP를 판매하는 곳입니다. LP를 청음해 볼 수 있는 턴테이블도 마련되어 있고, 가게 곳곳에 숨어있는 옛 소품들은 보는 재미를 더합니다. 독특한 점은 공중전화부스로 만든 쥬크박스를 설치해놓았다는 점인데요, 고전영화의 주인공이 된 듯 헤드셋을 끼고 음악을 들으며 낭만을 즐길 수 있는 이 곳. 레코드샵에 음악들으러 오실래요? 주인공: (헤드셋을 잡고 몸을 움직이며 고개를 끄덕인다) 아, 그래~ 노래는 LP로 들어야 제맛인데! #‘청계천 헌책방거리’ 영상 나레이션: 200여 곳이 넘는 헌책방에서 현재 20개 정도만이 남은 이곳은 2013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된 청계천 헌책방거리입니다. 이곳에는 흔히 생각하는 색바랜 헌책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책들이?준비되어 있습니다. 다소 작고 폭이 좁은 가게들이지만, 오히려 더욱 친근하고 편안한 이 곳.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지 않나요? 정겹고 아늑한 분위기의 책방으로 놀러오세요~ 주인공: 아~ 옛날감정이 진짜 살아있네~ 여긴 어딜까? (다음장소를 클릭한다) #‘레트로 카페 트레이더’ 영상 나레이션: 레트로카페 트레이더는 다양한 종류의 고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모니터를 보고? 조이스틱을 움직여보면서, 같이 고전게임 한 판! 어떤가요?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음료를 주문하면?이곳에 있는 게임들을 모두 즐길 수 있습니다. 시원한곳에서 음료수를 마시며 추억의 게임들과 함께 하다보면, 시간가는 줄도 모르겠죠? 주인공: 와, 오랜만에 옛날게임 하고 싶다! #‘동묘 구제시장’ 영상 나레이션:골동품을 비롯하여 중고 제품, 시계, 구제 의류 등 다양한 점포가? 위치한? 이곳은 바로 동묘벼룩시장입니다. 특히 복고패션을 위한 상품이 다수 존재해 주목받기 시작한 곳인데요. 숨은 보물을 찾고 싶다면? 산처럼 쌓인 옷더미 속을 헤쳐야합니다. 가장 큰 특징은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렇게나 저렴하고 다채로운 동묘, 탐나지 않으세요? 주인공: 그래! 여기가 바로 날 위한 곳이야! ho! 어? #팝업창- 비밀지도, 재밌게 보셨나요? 앞서 보여드린 설문조사 결과도 궁금하셨죠? 전국에 당신과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이 무려 1,850,670명 존재하네요! 주인공: (허탈한 웃음을 지으며) 아... 나만 그런게 아니었구나.. 나레이션: 지금까지 보여드린 장소는 모두 ‘레트로 풍’의 문화입니다. 과거의 것을 끌어와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하는 의미의 레트로. 초기에는 패션, 음악계에서 많이 쓰였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문화전반에 서도 사용됩니다. 혼자만 알고 싶을 정도로 매력적인 ‘레트로’는 이제는 개인의 취향을 넘어서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팝업창- [R E T R O]
김정우,임소이
조회수: 1,171
▶
4:38
아이들의 순수한 세계, 예술이 되다 - 칠드런 아티스트 한예롤
[기획의도] ‘칠드런아트’는 단순히 미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그들만의 세계를 외부로 표출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아티스트가 돕는과정으로, 그녀가 이름붙인 일종의 새로운 예술장르다. 아이들은 ‘순수’를 미술재료로 쓸 수 있는 유일한 화가라 설명한다. 이 영상으로 아이들의 순수함을 바탕으로 작품과, 교감으로 아이들의 세계를 종이위에 이끌어내는 과정과 그녀의 가치관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이 작품을 보고 관객들이 잊고 살았던 동심을 되돌아보고, 작품을 통해 전해지는 순수함을 영상으로 그려내고자 한다. [대본] - 사슴사진이에요. 꽃보고 있어요. 저는 사슴을 많이 좋아해요. - 사슴이 왜좋아요? - 그냥요 - 이거는 장미꽃인데 토끼가 거기에 놀러와서 놀고있는 거에요 반갑습니다 칠드런 아티스트 한예롤입니다. 칠드런아트는 제가 만든 작업의 장르로, 칠드런아트가 아이들과 그 뒤에 미술을 붙인 거잖아요. 아이들과 예술을, 아이 세계에 들어가서 아이 세계가 상처나지 않게 종이 위로 가져오는 과정, 결과를 칠드런아트라고 정의하고요. 저는 칠드런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계기는 제가 아이들을 처음 만났을 때 였는데요. 10년전 인데요.항상 주제를 정해 갔었어요. 그때마다 한번도, 아이들이 제가 계획한 것 안에 예상안에 들어오지 않더라고요 오늘은 ‘상상동물을 그려보아요’라는 주제로 그림을 그리는 날이었는데 지호라는 친구가 알아보지 못하는 그림을 그린거에요. 지호야 이거 뭐 그린거야? 나비 그린거야? 호랑이 그린거야? 지호가 저한테 귓속말로 얘기하는거에요. ‘아닌데, 나 이거 봄에 나비가 날아가는 냄새그린건데’그 얘기를 탁듣자마자 그때 그림이 제 몸안으로 오감으로 뭔가 확느껴지는 거를 경험했어요. 아이들 그림이 되게 무한하고, 자유롭다는 걸 그때 뷰티풀 쇼크를 받으면서, 그 그림을 계기로 칠드런아트 지금의 작업을 하게 되었답니다, 아이들 그림에 손을 대지 않고 아이 세계가 그대로 종이위로 올라오는 게 칠드런아트의 작업의 의의거든요 그래서 제가 아이들에게 그림자라든가 비율이라든가 이런 구성방식을 가르치진않아요 아이들 그림에 손을 대지않고 제가 직접 아이들이 스스로 선을 거쳐서 그릴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제가 이미지를 읽어서 팬을 잡았을 때 종이에 옮길 수 있게 도와줘요. 아이들의 순수함은 아이들의 상상과 아이들의 세계가 직관적으로 표현되는 걸로 간결하게 이야기할 수 있을거 같아요 - 민들레는 저를 만나서 행복했습니다 우선 제가 느끼기에 평생 이 일을할 수 있다고 느끼는 이유 중 하나가 무한하고요. 같은 세계가 없어요. - 제목 벚꽃. 어느날 잘준비를 하고 있었어요. 근데 어느 나비 한마리가 날아왔어요. 벚꽃은 깜짝 놀랬었어요. 벚꽃은 나비를 처음 봤었거든요. 예술은 뭐 다 정의를 하기에는 저도 너무 어렵지만, 저는 아이들이 그리는 그림이 아이들 순수를 미술재료로 스스로가 쓰는거기 때문에 칠드런아트가 말그대로 순수미술로서, 하나의 장르로 아트페어에 나가는 게 저의 지향점이고, 제 꿈이기도해요. 아이들이 그린 그림이 아동미술교육, 교육을 받아서 더 좋게좋게 발전할 수 있는 그림이 아니라 하나의 순수미술의 장르가 되어서 사회에 어른들에게 울림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음원출처 : 너와 나 ( U and i ) - 계한용, 구재영
서명지
조회수: 1,149
▶
3:31
백색도시 - 적외선으로 그린 서울의 초상
대한민국 수도 서울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낯선 모습으로 담아내는 예술가가 있다. 사진작가 이은종은 2012년부터 시작된 ‘적외선 프로젝트’로 서울의 풍경을 비현실적인 이미지로 담아내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백색도시 - 적외선으로 그린 서울의 얼굴’은 이은종 작가의 새로운 적외선 시리즈 작업 과정에 동행하여,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는 비가시광선이 빚어내는 낯선 서울의 얼굴을 담아내고자 한다. 우리가 사랑하는 도시 서울. 그 일상의 낯섦을 경험해 보자. ------------------------------------------- 대본 ------------------------------------------- 제목 : 백색도시 적외선으로 그린 서울의 초상 사용된 BGM 1. Clover 3 Vibe Mountain 내레이션 ) 시시각각 빠르게 바뀌는 도시 서울. 이러한 일상적인 우리의 도시를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낯선 모습으로 담아내는 작가가 있습니다. 적외선으로 그린 서울의 초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제목: 백색도시 - 적외선으로 그린 서울의 초상 artist 이은종 내레이션 ) 이은종작가는 2012년부터 시작한 ‘적외선 프로젝트’로 서울의 풍경을 비현실적인 이미지로 담아내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이은종 / 사진작가 적외선 프로젝트는 서울 곳곳에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서 작업을 한 시리즈에요. 적외선을 이용하면 우리가 볼 수 없는 것도 볼 수 있고, 우리가 바라보는 것과 전혀 다른 세상을 만날 수 있거든요. 적외선 카메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우리가 실제 눈으로 잘 식별하기 어려운 것들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것인데요, 대표적인 것들로는 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CCTV같은 것 들이 적외선을 이용해서 많은 것들을 보여주잖아요. 그런 것들이 대표적 사례이죠. 볼 수 있는 것과 볼 수 없는 것, 그리고 보여 져야 하는 것, 혹은 보여 지지 않아야 하는 것 등에 대한 관심이 많았었어요. 그런 내용을 어떠한 기계적 메커니즘으로 담아 낼 수 있었던 것이 적외선 카메라였거든요. 또한 대상이나 장소가 서울을 꼭 고집하는 것은 아니었어요. 서울에서 제가 태어나서 학창시절을 보내고 지금까지 살면서 서울이라는 장소에 관한 관심과 애정이 자연스레 표현 되었던 것 같아요. 서울이라고 해서 꼭 랜드마크라 할 수 있는 건물이나 전형적인 서울에만 있는 것을 찍는 작업을 하는 것은 아니에요. 서울을 하나의 큰 몸이라고 표현한다면, 몸의 일부분을 찍기도 하고, 몸을 이루는 세포라 할 수 있는 작은 것들을 찍기도 해요. 이를테면 서울의 작은 숲, 반포 한강 공원의 나무 한그루, 청계천의 잉어 등. 물론, 아까 이야기 한 대로 서울의 랜드마크인 도심을 촬영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 작업 자체를 장기적으로 이어 갈 계획이 있기 때문에 서울의 어떠한 정형화된 이미지가 아니라 서울을 이루는 작은 세포 하나하나, 그것들이 모였을 때 서울이 되고, 그것이 서울에 살고 있는 우리들의 얼굴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그렇게 쭉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작업은 적외선을 이용한 인물촬영을 하고 싶어요. 인물촬영이라고 하면 적외선을 통해 바라본 일상화된 낯선 풍경을 인물도 같은 개념 하에서 담고 싶거든요. 그래서 인물과 풍경, 그것이 서울 안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들고 담아보고 싶어요. 내레이션 ) 익숙하지만 낯선 모습의 서울. 이은종작가의 눈으로 바라본 서울은 백색의 모습이었습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이 도시가 당신에겐 어떤 모습인가요?
최인경
조회수: 1,742
▶
1:53
[LA/해외문화PD] LA Art Project '공간, 생각을 채우다' 전시
제목: [LA/해외문화PD] 전시 ‘공간, 생각으로 채우다’ 나레이션. 2018년 4월 6일, LA한국문화원은 LA Art Project의 첫 번째 전시인 ‘공간, 생각으로 채우다’를 개최하였습니다. 자막. The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held the first 2018 LA Art project with an event called, ‘Space, Fill with Notion’ on Friday, April 6th, 2018. LA Art Project는 LA한국문화원 갤러리 전시 공모전으로, 실력 있는 작가 및 다양한 전시를 유치하여, 문화 한국의 이미지를 미 현지에 알리기 위한 전시 프로그램입니다. 자막. Since 2015, Korean Cultural Center has been operating the art gallery to offer talented, professional artists an opportunity to show their work to the public, and this program is called the . 이번 프로그램에는 한국작가와 재미동포 작가 총 3명이 참가하였습니다. 자막. Through the exhibition, we’ve presented 3 artists, two from Korea and the other one Kore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현장음. 오늘 저희 전시회 와주셔서 감사하구요. 현장음. 항상 저희 LA한국문화원은 우리 훌륭하신 작가분들에게 언제든 열려있는 그런 공간입니다. 같이 발전해나가고 소양을 함께 키워 나가게 되길 바랍니다. 오늘 와주신 작가 두 분 그리고 또 참여해주신 관객여러분께 대단히 감사드리고요, 즐거운 저녁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인터뷰. 질문. 간단한 작품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박동진 / 작가 네 반갑습니다. 저는 박동진입니다. 마블링을 배경으로 해서 우주 공간을 표현하고 싶었어요. 그리고 제 표현에 중점적인 것은, 이렇게 점을 찍는데 단순하면서도 점과 점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은 이 완벽하지 못한 우리 인간 자체라는 게 완벽하지 못하다는 것을, 그것을 또 채워나가는 예술가의 역할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에서 그렇게 표현하였습니다. 자막. Hello, My name is Dong-Jin Park. I wanted to express the space using marbling technique in the background. and dots are my main choice of expression. There is the space between a dot and another, which portrays imperfect state of human beings. and I try to fill up that imperfect space through my work, I think that’s what we’re supposed to do as artists. 인터뷰. 질문. 간단한 작품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김정묘 / 작가 제가 미국을 아주 많이 떠돌아다녔어요. 각 주마다 제가 느끼기에는 굉장히 혼란스러운 느낌을 많이 받았거든요. 그게 가장 많이 영감을 받았던 것이 건축물이었는데요. 모양과 형식을 딴 조각을 섞어서 작업하고 있습니다. 자막. I was hopping around the United States. my mind was cluttered with uncomfortable and unsentimental feelings in each state. especially, many different kinds of architectures in each state inspired me. so I work on my artwork with fragments that are inspired by the shape and form of the architectures I have observed. 인터뷰. 질문. 간단한 작품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Matt Hollis / 작가 I was asked to pick an artist to work in our small gallery. It’s called the Proxy. and I picked Chloe. We worked together very closely and I’m very happy with the result. 자막. ‘프록시’라는 이름의 작은 갤러리 작품을 함께 할 작가를 선정해야했습니다. 김정묘씨를 선택했구요. 함께 작품을 진행하가면서 긴밀히 협력했고 결과물에 굉장히 만족스럽습니다. 내레이션. 이번 전시는 4월 19일까지 LA한국문화원 2층 아트갤러리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자막. ‘Space, Fill with Notion’ will show until April 19, 2018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Art Gallery.
공승은
조회수: 2,199
처음
이전
1
2
다음
마지막
관련기관 안내
이전
정지
재생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