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규원가(閨怨歌)

작품명
규원가(閨怨歌)
저자
허난설헌
장르
가사
작품소개
조선 선조 때 허난설헌이 지은 가사. <원부사(怨夫祠)>·<원부가(怨婦歌)>라고도 한다. 총 50행 100구로 이루어져 있고 3·4조로 63구이다. <고금가곡(古今歌曲)>·<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에 실려 있다. 홍만종의 <순오지(旬五志)>에는 허균의 첩인 무옥(巫玉)이 지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고금가곡>에 지은이가 밝혀져 있고 허난설헌의 오언고시 <소년행(少年行)>의 내용과 <규원가>의 내용이 같은 것으로 미루어, 지은이를 허난설헌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본관은 양천(陽川)이며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호는 난설헌이다. 허엽(曄)의 딸이고, 허봉의 여동생이며, 허균(筠)의 누나이다. 문한가(文翰家)로 유명한 명문 집안에서 태어나, 오빠와 동생 사이에서 어깨너머로 글을 배우기 시작했고, 집안과 교분이 있던 이달(李達)에게서 시를 배웠다. 8세에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梁文)>을 지어 신동이라고까지 했다. 15세에 김성립(金誠立)과 혼인했으나 결혼생활이 순탄하지 못했다. 남편은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으나 기방을 드나들며 풍류를 즐겼고, 시어머니는 시기와 질투로 그녀를 학대했다. 게다가 어린 남매를 잃고 뱃속의 아이마저 유산했다. 친정집에는 옥사(獄事)가 있었고, 동생 허균도 귀양가버리자 삶의 의욕을 잃고 시를 지으며 나날을 보내다가 27세로 요절했다. 시 213수가 전하며, 그중 신선시(神仙詩)가 128수이다. 그녀의 시는 봉건적 현실을 초월한 도가사상의 신선시와 삶의 고민을 그대로 드러낸 작품으로 대별된다. 후에 허균이 명나라 시인 주지번(朱之蕃)에게 시를 보여주어 중국에서 <난설헌집>이 발간되는 계기가 되었다. 유고집으로 <난설헌집>이 있다.
현대어풀이
엊그제 젊었는데 어찌 벌써 이렇게 다 늙어버렸는가? 어릴 적 즐겁게 지내던 일을 생각하니 말을 해도 소용이 없구나. 이렇게 늙은 위에 서러운 사연을 말하자니 목이 메이는구나. 부모님이 낳으시고 기르시며 몹시 고생하여 이 내 몸 길러낼 때, 높은 벼슬아치의 배필은 바라지 못할지라도, 군자의 좋은 짝이 되기를 바라시더니 전생에 지은 원망스러운 업보요, 부부의 인연으로 장안의 호탕하면서도 경박한 사람을 꿈같이 만나서 시집 간 뒤에 남편을 시중하면서 조심하기를 마치 살얼음 디디는 듯하였다. 열다섯, 열여섯 살을 겨우 지나서 타고난 아름다운 모습이 저절로 나타나니, 이 얼굴과 이 태도로 평생을 살 것을 약속하였더니, 세월이 빨리 지나고, 조물주마저 시샘이 많아서 봄바람과 가을 물, 곧 세월이 베의 올이 감기는 북이 지나가듯 빨리 지나가, 꽃같이 아름다운 얼굴은 어디 두고 모습이 밉게도 되었구나. 내 얼굴을 내가 보고 알거니와 어느 임이 나를 사랑할 것인가? 스스로 부끄러워하니 누구를 원망할 것인가? 여러 사람이 떼를 지어 다니는 술집에 새 기생이 나타났다는 말인가? 꽃 피고 날 저물 때 정처없이 나가서 흰 말과 금 채찍으로 어디에서 머물러 노는가? 가깝고 먼 지리를 모르는데 임의 소식이야 더욱 알 수 있겠는가? 인연을 끊었지마는 생각이야 없을 것인가 임의 얼굴을 못 보니 그립기나 말았으면 좋으련만 하루가 길기도 길구나, 한 달이 지루하기만 하구나. 규방 앞에 심은 매화는 몇 번이나 피고 졌는가? 겨울 밤 차고 찬 때는 진눈깨비 섞어 내리고 여름날 길고 긴 때 궂은 비는 무슨 일인가? 봄날 온갖 꽃이 피고 버들잎이 돋아나는 좋은 시절에 아름다운 경치를 보아도 아무 생각이 없다. 가을 달빛이 방 안을 비추어 들어오고 귀뚜라미가 침상에서 울 때, 긴 한숨으로 흘리는 눈물 헛되이 생각만 많도다 아마도 모진 목숨이 죽기도 어려운가 보구나. 돌이켜 여러 가지 일을 하나하나 생각하니 이렇게 살아서 어찌할 것인가? 등불을 돌려놓고 푸른 거문고를 비스듬히 안아 벽련화 한 곡조를 시름으로 함께 섞어서 연주하니 소상강 밤비에 댓잎 소리가 섞여 들리는 듯 망주석에 천 년 만에 찾아온 이별한 학이 울고 있는 듯 아름다운 여자의 손으로 타는 솜씨는 옛날 가락이 그대로 있다마는 연꽃 무늬의 휘장이 드리워진 방 안이 텅 비었으니, 누구의 귀에 들려지겠는가? 간장이 구곡되어 굽이굽이 끊어질 듯 애통하구나. 차라리 잠이 들어 꿈에나 임을 보려고 하였더니 바람에 지는 잎과 풀 속에 우는 벌레는 무슨 일로 원수가 되어 잠마저 깨우는가? 하늘의 견우와 직녀는 은하수가 막혔을지라도 칠월칠석 일년에 한 번씩 때를 어기지 않고 만나는데 우리 임 가신 후는 무슨 장애물이 가려졌길래 온다간다는 소식마저 그쳤을까? 난간에 기대어 서서 임 가신 데를 바라보니 풀이슬은 맺혀 있고 저녁 구름이 지나가는 때이구나. 대숲 우거진 푸른 곳에 새소리가 더욱 서럽다. 세상에 서러운 사람이 많다고 하겠지만 운명이 기구한 젊은 여자야 나 같은 이가 또 있을까? 아마도 임의 탓으로 살 듯 말 듯 하구나.
해설
<규원가>의 내용은 덧없이 흘러간 젊은날을 회상하며 늙어 볼품없이 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술집에나 출입하면서 집에는 오지 않는 남편을 원망하며, 한숨과 눈물로 세월을 보내는 외로움을 거문고로 달랜다. 소식조차 끊어진 남편을 기다리며 자신의 기구한 운명을 한탄한다. 화자는 떠난 임에 대한 질투와 그리움으로 이미 떠난 임인데도 그가 어느 여인에게 머물고 있는지 안타까워하고, 얼굴을 볼 수 없는 신세인데도 더욱 그리워지는 역설에 시달린다. 시름을 자아내는 데는 네 계절이 모두 다름없다. 흐르는 세월 속에 쌓여온 슬픔과 한, 모든 것을 운명적으로 받아들이는 체념의 인생관이 잘 나타나 있다. 형식은 총 50행, 100구로 이루어졌고, 4음보의 정형성을 보이고 있다. 1구의 자수는 3·4조가 63구, 4·4조가 30구로 되어 있으며, 결구 “아마도 이 님의 지위로 살동말동 하여라.”도 시조의 종장 형식과 일치한다. 홍만종은 <순오지>에서 이 작품에 대해 평하기를, “홀로 지내는 모습을 잘 묘사했으며, 여성다운 향기와 아름다움을 내포하여 비록 옛 문인의 염체(艶體: 부드럽고 아름답게 나타내는 여성적인 시의 문체)라도 이보다 더 잘 할 수 있겠는가(說盡空閨情境 曲有脂粉艶態 雖古今詞人 艶體何以過此也).”라고 격찬하였다. 이 작품은 한문투의 고사숙어를 많이 쓰기는 하였으나, 애원(哀怨)하면서도 온아한 맛이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규방가사 형성시기를 중종, 선조 때로 보는 견해는 그 근거를 <규원가>에 두고 있다. 한편 규방가사의 형성시기를 영조 때로 보는 입장은 <규원가>가 영남지방에서 발달한 규방가사의 형식·가락·내용과 거리가 멀고 선조 때의 교술적인 계녀가(戒女歌) 계통과 다르다는 점에서 이 작품을 양반가사에 포함시키고 있다.
연계정보
-가사
관련사이트
(사)허균·허난설헌선양사업회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