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낮은 목소리2

작품명
낮은 목소리2
제작
기록영화제작소 보임
감독
변영주
장르구분
다큐멘터리
출연/스태프
*출연 강덕경, 김순덕, 박두리, 박옥련, 심미자, 김복동, 윤두리 *스태프 감독/변영주, 조감독/장호준,김운영,이정례, 촬영/김용택, 음악/오윤석,조병희(영상음악제작소), 편집/박곡지
내용
<낮은 목소리1>이 할머니들의 증언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면 후편인 이 작품은 경기도 광주로 보금자리를 옮긴 후 일어나는 정신대 할머니들의 일상적인 삶을 담아나갔다. 할머니들은 이사후 주변정리로 바쁘시고 채소도 가꾸고 닭도 기르시고 여전히 그림도 그린다. 그러나 할머니들에게는 여전히 아픈 역사의 흔적이 있다. 그래서 지금도 수요집회도 나가시고 다시는 자신들과 같은 과거가 되풀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가슴 아픈 증언을 하신다. 정신대로 끌려가 수난을 받았던 고통의 흔적, 그리고 고향에 돌아왔지만 자신을 떳떳하게 밝힐 수 없었던 상처의 시간들이 아직도 할머니들에게 상처로 남아있다. 영화는 일상을 통해 이러한 상처를 딛고 담담하게 삶을 살아나가는 할머니들을 보여준다.
예술가(감독)
*변영주(1966~ ) 이대 법대를 졸업하고 중대 영화과 대학원을 수료. 1988년 여성영화집단 ‘바리터’의 창립 멤버로 참여해 <작은 풀에도 이름 있으니>(1990), <우리네 아이들>(1990)의 촬영을 맡았다. 1993년 ‘푸른영상’에 몸 담고 있던 그녀는 제주도의 기생관광으로 알려진 매춘 여성들에 관한 다큐멘터리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1993)을 발표했다. 이 다큐멘터리를 만들면서 그는 어머니가 위안부였던 매춘여성을 만나게 되는데, 이것이 계기가 되어 그는 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민족과 성의 모순이 한데 뒤얽힌 정신대 ‘위안부’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찍는 데 몰두한다. <낮은 목소리>, <낮은 목소리2>, <숨결>은 이 과정의 결과이며 현재 <밀애>를 시작으로 상업영화계에 진출해 여성적 시각으로 그려낸 영화를 계획하고 있다.
작품정보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1993) 낮은 목소리 (1995) 낮은 목소리2 (1997) 잊혀진 장인 양주남 감독 (1998) 숨결 (1999) 지역영화사-전주 (2000) 밀애 (2002)
리뷰
*작품해설 슬픔을 딛고 당당히 살아가는 정신대 할머니들의 잔잔한 일상을 그려 낸 영화. 그러나 여전히 뻔뻔스러운 일본 정부나 소극적인 국내 정치상황은 할머니들의 상처를 자극하고 그 고통을 상기시키게 만든다. 강덕경 할머니의 죽음을 접하게 되면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는 슬픔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평론 '위안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역사를 다룬 작품. 하지만 삶에 들이댄 카메라는 특정한 의도 보다는 화면의 안팎을 자유롭게 오가며 우리가 현재 겪고 있는 삶과 과거에 겪었던 삶을 투영한다. (<씨네21_독립·단편영화, 낮은 목소리2>, 364호)
수상내역
제20회 클레르몽-페랑 국제단편영화 최우수창작상 제41회 샌프라시스코 국제영화제 은상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부문 초청
연계정보
-낮은 목소리1
-숨결-낮은 목소리3
-붉은나무
관련사이트
한국영상자료원_종합영상정보
관련사이트
한겨레_다큐 낮은목소리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