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비로자나불에 관한 명상

작품/자료명
비로자나불에 관한 명상
초연장소
문예진흥원 예술극장
안무가
채상묵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 / 스태프
출연 채상묵, 고재희, 한기중, 최홍길, 김정임, 김가진, 윤수정, 안미은, 이상석, 육철, 김재득, 조인성, 서여원, 최연형, 고진성, 임응희, 이승재 스태프 안무/채상묵 대본/김연혜 음악/최동선 미술/김찬동 조명/정진덕 음향/조갑중 무대감독/강경렬 기계/정철기 의상/미스터 리
내용
<비로자나불에 관한 명상>은 불교적 상상력을 통하여 현실과 갈등의 삶을 벗어나 진리의 세계에 도달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표명하려는 내용으로 4개의 토픽과 하나의 주제를 형성한다. 1. 침묵과 소멸의 이미지 2. 피안의 세계를 향한 번뇌 염원 3. 삶의 고통과 현실의 번뇌 4. 소멸을 극복하는 미적 승화 이러한 4개의 토픽이 지니는 하위구조를 승무, 나비춤, 법고 등의 동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장엄하고 침잠된 무대 분위기, 행위의 연속성을 획득하려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무용의 구성이 지니는 서사성을 배제하고 이미지군과 이미지군이 연결되는 구조를 지님으로써 이야기를 통한 주제 전개를 배제하고 있다.
채상묵
서울예술단 예술감독, 무용가 채상묵은 전주사범부속초등학교 2년 재학 당시 임성남 선생을 만나 춤과의 인연을 맺고, 전주북중 시절 본격적으로 무용계에 입문하였다. 최선, 강선영, 이매방 선생들의 사사를 받으며, 20대에 국립무용단 단원으로 그 재능을 인정받기 시작했다.그는 한국무용의 근대사와 맥락을 같이하는 중진 남성무용가로서 깊은 영감과 심오한 사상, 그리고 날카로운 대중적 메시지를 춤으로 전달하며 무용계 발전에 매진하고 있다.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李梅芳 僧舞 북놀이 리듬채보>로 체육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교육부 장관의 사회교육 전문요원 1급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그는 대한민국무용제, 한국무용제전, 현대춤작가전, 정상의 남성무용가전, 중견무용가초청, 전통명무전 등의 무대를 통해 다양한 예술 양식을 추구해왔으며, 6회의 개인공연과 30여회의 해외공연을 통해 우리 춤으로 국제 교류에 공헌하였고, 전통춤과 창작춤의 승계와 어우러짐을 위한 실험적 춤언어 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무용가이다. 제13회 전주대사습에서 장원, 진주개천예술제에서 문화부장관상 등을 수상하며 명무로서 그 예능을 인정받았고,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제97호 살풀이 춤 이수자로 이매방류의 전승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한국무용협회, 한국무용연구회,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등의 이사를 연임하며, 무용예술의 사회적 발전에 매진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세종대, 대진대 등 무용학과에 출강하며 후진양성에 정진하고 있는 교육자이기도 하다. 그동안 채상묵이 다루었던 작품세계는 매우 주체적이고 독창적이었다. 그는 전통이 갖는 민족성과 창작의 구도적 성향을 접목, 예술적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작품성향을 모색하고 있다. 오늘날 채상묵의 춤은 그래서 한과 흥이 섬세하면서도 강렬하게 표출되어 있는지 모른다. 절절히 슬프면서도 벅찬 흥의 춤사위는 그래서 삶에 대한 회한과 슬픔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그간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맹안의 소녀>(1976), <머물러 있는 魂>(1983), <한 마리 鶴이 되리라>(1984), <마른 풀꽃의 소리>(1990), <魂의 울림>(1991), <북사위와 춤소리>(1998) 등으로, 본인의 생활 속 경험을 바탕으로 예술가의 험난한 고뇌를 표현하였으며, 서양의 현대음악과 대중가요를 수용하여 춤과 접목작업을 시도했던 <공수래 공수거>(1986), <님>(1987), <金剛>(1994)등과 불교철학과 禪사상의 진리를 바탕으로 한 <비로자나 佛에 관한 명상>(1987), <회심곡>(1993),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1998) 등 독창성 있는 작품들로 형상화 하기도 했다. 또한 서울시립무용단 정기공연의 1985년 새 무대 객원 안무작품 <地神님 地神님>과 서울시립가무단의 <바다를 내 품에>(1988), 서울예술단 <성춘향>(1994), 광주시립국극단 <강릉매화전>(1994, 1998)등의 창극안무, 극단 사조의 <다녀오겠습니다>(1990), 창무극단의 <아라아라>(1993) 등의 뮤지컬 안무와, 한국오페라단의 창작오페라 <황진이>(1999), <오페라갈라축제>(2000) 공연 안무 등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 예술성을 굳건하게 다져왔다. 대표작품 <공수레 공수거>(1986), <비로자나불에 대한 명상>(1987), <혼의 울림>(1991), <시인의 여정>(2001)
리뷰
승무, 나비춤 등이 연계되는 것은 <비로자나불에 관한 명상>의 주제인 동시에 한계이기도 하다. 우주 속에서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던진다. 이 묻는 인간은 사색하는 동물로서 그 사색의 여러 줄기를 통찰함으로써 법도를 터득한다. 인간의 득도 과정은 자기 수련과 탁마에서 성취되듯 고난의 연속이고 그 연속을 이미지로 물들인 안무는 자칫 통속적으로 빠질 우려도 있지만 채상묵 춤은 이를 극복했다. (김영태 - 시인, 무용평론가)
이미지
제공 : 채상묵무용단
관련멀티미디어(전체21건)
이미지 21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