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의식무용

작품/자료명
의식무용
구분
의식무용
개요
의식무용은 중교 의식에 수반되어 추어지는 춤으로 기복적(祈福的)인 요소와 토속 신앙의 혼합 요소가 적고, 단지 순수한 마음의 정화를 위한 춤이기 때문에 춤사위의 종류가 몇 가지 되지 않고 움직이는 형태가 간결하고 평이하다. 먼 옛날 원시 사회에서 무용은 표현 수단이 아닌 뚜렷한 목적의식을 갖고 진행되어 졌다. 하늘에 올리는 제사에서 정령을 부르는 행위나 주술능력을 증가시키는 행위로서 인식되었고, 점차 일정한 형식과 시기를 갖추면서 의식화되었다. 또 천제(天祭) 이외에도 수렵 .전투 .다산(多産) 등 다양한 의식에 사용됨에 따라 정형화되기 시작하였다. 국가가 형성이 되면서 부여에서는 영고(迎鼓), 고구려에서는 동맹(東盟), 동예에서는 무천(舞天)이라는 이름으로 제사의식과 함께 가무를 즐기는 행사를 개최하여 의식무용의 형태를 이어갔고 이후 제정이 분리되어 의식무용의 발전은 민간 신앙의 무속무용과 신라시대 이후 전파된 불교무용인 작법을 통해 각각 전승되었다.
의식무용의 종류
의식무용은 문묘(文廟) 및 종묘제례 때 여러 줄로 벌여 서서 추던 춤인 일무(佾舞)와 불교 의식무용인 작법, 무당들이 굿을 할 때 추는 무속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무(佾舞)는 궁중의 종묘(宗廟), 문묘(文廟) 등의 제향(祭享)에서 제례악에 맞추어 추는 의식무용의 하나이며, 일(佾)은 열(列)을 의미한다. 제례의 대상에 따라 8일무∙ 6일무∙ 4일무로 구분되는데, 천자(天子)는 8명씩 8줄로 늘어선 64명의 8일무로 하고 제후(諸侯)는 6명씩 6줄로 늘어선 36명의 6일무, 대부(大夫)는 4명씩 4줄로 늘어선 16명의 4일무, 사(士)는 2명씩 2줄로 늘어선 4명의 2일무로 춘다. 그러므로 공자의 제사인 문묘제례에는 8일무는 하고, 조선 역대 왕의 제사인 종묘제례 때에는 6일무를 한다. 일무는 문덕(文德)을 칭송하는 문무(文舞)와 무덕(武德)을 칭송하는 무무(武舞)로 구분되며, 문무에 사용되는 음악이 보태평이라 하여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 무무에 사용되는 음악이 정대업이라 하여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라 하기도 한다. 작법(作法)은 불교의식인 재(齋)를 올릴 때 추는 모든 춤을 총칭하여 말하며, 범패(梵唄)가 목소리로 불전(佛前)에 공양을 드리는 것이라면 작법은 몸 동작으로 공양을 드린다는 뜻에서 범패에 대응하여 범무(梵舞)라고도 한다. 재(齋)에서 작법은 두 가지 뜻을 가지는데 하나는 재를 올리는 절차에 따른 전반적인 불법형식을 말하고 또 하나는 춤을 추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같은 작법이라 할지라도 불법형식(佛法形式)인 경우 불법을 진행해가는 승려의 행위나 행동을 말하고 춤으로서의 작법은 예능적 성격을 가진 행위를 말한다. 작법무(作法舞)는 춤의 동작과 형식 등에 따라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 타주춤 등이 있으며, 이 춤들은 여러 가지 의식절차에서 추어진다. 무속무용(巫俗舞踊)은 무당춤, 무무(巫舞)라고도 하며 무당이 굿을 할 때 추는 춤을 총칭하는 말이다. 무속무용은 무당들이 신에게 드리는 제의인 굿에서 신을 부르는 것, 즐겁게 하는 것, 신을 다시 보내는 것, 나쁜 신을 쫓아내는 것 등의 제의적 기능을 하며 오락적 기능, 마귀나 질병 그리고 죽음과 싸울 수 있는 초자연적인 능력발휘 기능, 점술적 기능과 함께 신격자로서 계시를 내리거나 축복을 주는 주술적인 기능 등도 있다. 무속무용은 그 형태에 따라 부산에서 강릉으로 이어지는 동해안 지역의 춤을 비롯하여 전라도와 경남의 일부 서남 지역의 춤, 남부경기와 충청도 지역의 춤, 서울 지역의 춤, 북부경기를 포함한 황해도, 평해도, 함경도 지역의 춤, 제주도 지역의 춤 등 6개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한강 이북의 무속무용이 상하로 뛰는 격렬한 도무(跳舞)가 많은 데 비해 경기, 충청 및 전라도는 허리를 굽히고 어깨를 세운 뒤 손을 수평으로 뻗고 몸과 팔을 좌우로 돌리는 진중한 춤이 많다. 또 경상도와 강원도의 동해안 지방은 팔을 머리 위로 쭉 뻗고 좌우로 흔드는 춤이 대부분이다. 춤의 이름 역시 무당과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데, 강신무들이 추는 춤은 신무라 하고 세습무당의 춤을 축원무라고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대감춤, 제석춤, 장군춤 등 신의 배역에 따라 춤의 이름이 붙는 경우도 있다.
관련도서
한국무용사, 김매자, 삼신각, 1995. 무무, 정병호 외, 국립문화재연구소, 1987.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영산재, 홍윤식/정병호, 문화재관리국, 1987. 영산재연구, 법현, 운주사, 1997. 이흥구, 조선 궁중무용:국역 정재무도홀기, 열화당, 2000. 김천흥, 韓國舞踊의 基本舞譜,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예술사전 4권(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예술자료관_한국무용_의식무용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사전_불교무용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