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납읍리마을제(納邑里마을祭)

작품/자료명
납읍리마을제(納邑里마을祭)
전승지역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납읍리
지정여부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6호(1986년 4월 10일 지정)
구분
무속의례
개요
납읍리는 애월읍 애월리에서 중산간 도로를 따라 남쪽으로 2.5㎞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마을은 예부터 선비의 고장으로 알려졌으며, 조선 시대에는 많은 인재를 배출한 곳이다. 따라서 이 마을의 민간신앙이나 의례는 모두 유교적 색채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포제’도 예전 그대로 유교식으로 유지·보존되고 있는데, 마을제가 그것으로, 유교식 마을제인 마을 포제는 석전제를 기본 틀로 하는 유교적 의례방식에 따라 거행되며, 남성들에 의하여 관리되고 남성 유지들이 제관이 되어 거행하는 형식의례다. 납읍리의 포제단은 금산공원 안에 있다.
흐름
제주도의 전통적인 반촌(班村) 납읍리에서 매년 입춘 첫 정일(正日)에 행하여지는 마을제로, ‘포제’라고도 한다. 이는 제주 당산 신앙의 뿌리를 자처하며, 여성 위주의 무속적 마을제를 유지하고 있는 송당리 마을제와 구별된다. 기능보유자는 납읍리 마을제 보존회이다. 1986년 4월 10일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
내용
①제일(祭日) 춘제(春祭)와 추제(秋祭)로 연 2회 춘제는 정월 초정일, 추제는 칠월 초정일에 치르다가 30여 년 전 마을 회의의 결의로 추제는 폐지되었다. 정월 초정일 마을이 부정하여 제를 치르지 못하면 그 다음 중정일 또는 해일에 치른다. ②제신(祭神) 서신(西神), 토신(土神), 포신 세 신위를 모신다. 서신은 홍역신, 토신은 촌락 수호신, 포신은 객신으로 인물재해신(人物災害神)이다. ③제장(祭場) 마을 금산공원 안에 있다. ④제관(祭官) 제관은 12제관이 있는데,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집례, 대축, 찬자, 알자, 봉로, 봉향, 전작, 사준, 봉작, 전사관이 그것이다. 전사관은 제관이 아니라 제물관리를 담당한다. 헌관은 학식 있고 덕망 있는 고령자를 향회에서 선출하는데 24∼25년 전부터 이장이 초헌관을 맡게 되었다. 집례는 예절과 제법을 잘 아는 자가 선출되며, 대축은 축을 쓸 수 있고 읽을 수 있는 자가 선정된다. ⑤입제(入祭)와 금기(禁忌) 행제할 때 쓸 靑衿(청금)과 儒巾(유건)을 준비해야 한다. 제관들은 3일 전에 제청에 입제하여 합숙하게 된다. 입제 전후 몸정성을 하고 불상사가 없도록 한다. 시체를 보지 말며, 개고기 따위를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비늘 없는 고기로 만든 음식은 삼간다. ⑥행제(行祭) 집례가 부르는 홀기에 따라 제의를 집행한다. 홀기는 향교 석전제 홀기와 같다. 홀기에 따른 제의의 순서는 奠幣禮(전폐례)→初獻禮(초헌례)→讀祝(독축)→亞獻禮(아헌례)→終獻禮(종헌례)→철변두→望燎位(망료위)의 순으로 다른 마을과 같은데, 신위가 3위이므로 존폐례 이하 각례를 각 헌관이 토신, 포신, 서신 순으로 행하여 원위치로 돌아온 뒤 4배를 하는 것이 조금 다르다. ⑦음복(飮福) 제가 끝나면 마을의 사환을 시켜 희생으로 썼던 돼지를 잡아 제관과 참가자들이 나누어 먹는다. 이를 '각반분식'이라 한다. 이때 마을제에 대한 평가를 하고 마을의 여러 문제를 논의한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濟州道 無形文化財 調査報告書(儀式 및 놀이 編)>, 현용준, 濟州道, 1986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濟州島編)>,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74 <韓國의 民間信仰>, 장수근, 동경:금화사, 1973 <제주도신화>, 현용준, 서문당, 1976 <제주의 문화 유산>, 한국이동통신 제주지사, 1995 · 관련사이트
용어해설
납읍리 포제단 : 납읍리 포제단은 금산공원 안에 있다. 상록수가 울창한 공원 한가운데를 돌을 쌓아 높여 제장을 마련하였다. 제장의 주위에는 성처럼 자연석을 여러 겹으로 쌓아 올려 울타리를 만들었다. 제단은 모두 세 개 마련되어 있다. 제장 정면(북쪽)에 서신단(西神壇)과 토신단(土神壇)이 놓여 있다. 상석(床石)은 뒤에 비석 형태로 자그마한 돌을 다듬어 세워 지방을 붙이는 자리로 쓰고 있다. 제단 주위에 쇠말뚝을 박고 쇠줄을 연결하여 제단을 보호하고 있다. 제장 남쪽에 제청 건물을 마련했다. 제장의 넓이는 동서 길이 8m, 남북 길이 15m 정도로 꽤 넓고, 바닥도 잘 정비되어 있다. 서신단 왼쪽에 하나씩 놓여 있다. 이 역시 자연석이다. 과거에는 춘제, 추제라 하여 정월과 7월 두 차례 포제를 지냈다. 대상신은 서신, 토신, 포신 셋이다. 서신은 홍역신, 토신은 부락수호신, 포신은 객신(客神)으로 인물재해지신(人物災害之神)이라 한다. 제관은 12사람으로 구성한다. 예전에는 연령과 덕망을 고려하여 초헌관을 선출하였으나, 요즘에는 이장이 초헌관을 맡는다. 희생은 검은 털 수퇘지 1마리이다. 행제 순서는 토신, 포신, 서신 순으로 한다. 과거에는 속칭 '탑다운밧'에서 기우제도 지냈다고 한다.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디지탈한국학
관련사이트
제주도
관련사이트
김상부 홈페이지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