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개요

자세히보기

해설 : 1970년대의 시문학

1970년대 시는 김지하의 등장으로 시작되었다. 김지하는 1969년 <황톳길> 등으로 등장하여 시의 사회적 역할을 가장 확실하게 또 실천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는 당대 사회의 정치·사회·경제 면에서의 구조적 모순과 부조리를 <오적>으로 풍자하고 야유하면서 시를 통한 사회참여를 강력히 실천하였다. 1950년대 등장한 고은, 신경림 등의 새로운 활동도 주목할 만하다. 먼저 고은은 60년대 문학주의에서 벗어나 70년대에 이르러 사회·역사적 천착에 힘을 기울였다. <조국의 별>, <새벽길> 등을 통해 문학이 사회 역사적 지평으로 시야를 확대해 갈 때 비로소 그 이상적 모습을 다할 수 있음을 생생하게 보여 주었다. 또한 <농무>, <남한강> 등으로 대표되는 신경림 시는 이 시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농촌과 농민 문제를 다루어 문학의 현실 참여 이념을 성취했다. 특히 운동성과 문학성을 차원 높게 결합해 참여 문학의 가능성을 최대한 확대하고 심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1970년대 정희성의 등장은 이 점에서 돋보인다. 그는 1970년 <변신>으로 등장한 이래 역사 의식에 바탕을 두고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부조리를 신랄하게 비판하면서도 시의 시다운 품격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되는 시인이다. 김남주의 등장은 민중 문학사에서 하나의 굵은 획을 긋는다. 그는 70년대 오랜 영어 생활 끝에 80년대 들어 본격 활동을 전개하며 <조국은 하나다>, <나의 칼 나의 피> 등을 통해 이 시대 시가 ‘무기로서의 시’가 되어야 함을 강력히 주장하고 실천했다. 양성우도 이 시기 등장한 전투적 저항 시인의 한 사람으로 <겨울 공화국>은 그러한 정신의 적극 표출에 속한다. 또한 70년대 초 등장한 김광규도 <어린 게의 죽음>, <묘비명> 등을 통해 역사의 허위와 현실 모순을 풍자하였다. 이 외에도 김준태, 이동순, 김창완, 허형만, 김명수, 이시영, 송기원, 김명인, 고정희 등도 사회적 관심을 시로 표출한 중요 시인이다. 또한 70년대에는 산업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인간 소외 문제나 불평등 문제가 제기되었다. 여기에서 ‘소외의 시’와 ‘어둠의 시’가 돌출한다. 날로 비대해지고 거칠어지는 도시 문명과 상업주의의 폭력 아래 초라해지는 인간성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이기철, 김명인, 정호승, 강은교, 김종철, 문정의 등의 시에는 이러한 시대의 어둠과 불안한 존재의 모습이 짙게 투영되어 있다. 또한 생명 감각과 서정을 탐구하는 전통 경향도 지속적으로 표출되었다. 조창환, 조정권, 김용범 등은 생명 감각에 기반을 둔 서정을 형상화했으며, 송수권, 이성선 등은 전원적 서정의 한 영역을 개척하였다. 이들의 감각과 서정 탐구는 한국 시의 원류가 이러한 서정의 내밀한 깊이 속에 놓여짐을 새삼 확인해 준다. 특히 송수권은 남도 서정을 바탕으로 민중적인 삶의 원형질을 지속적으로 탐구하였으며 조정권은 정신 세계의 유연한 깊이 속에서 동양 정신을 탐구해 개성 있는 시 세계를 개척하였다. 또한 1970년대에는 내면 의식과 언어에 대한 실험과 모색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강은교, 노향림 등 여류시인들이 다수 등장하여 신선한 은유와 상징을 구사하면서 새로운 시인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