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용어사전

문화 관련 예술용어사전을 공유합니다.

해금

장르
음악
요약설명
고려때부터 사용하던 2줄 현악기
상세설명
려때부터 사용하던 2줄 현악기이며 '해(奚)'의 글자 뜻으로 미루어 유목민족이었던 해부족의 악기로 보인다.해금은 호부에 속하는 악기로 호부(胡部)는 외국에서 들어온 악기를 뜻한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시대부터 쓰이기 시작했고, 고려사 악지에는 향악기에 편성되어있다. 큰 대의 밑뿌리를 통으로 삼고, 입죽(立竹)이라 해서 해 묵고 마디 촘촘한 오반죽을 통에 꽂아 세우고는 입죽 상단에 2개의 주아(周兒)를 붙여 통 아래로부터 연결된 줄을 감는다. 울림통과 두줄을 연결하는 것이 원산(遠山)이다.이것의 위치에 따라 음량의 크기가 달라진다. 즉 대편성의 합주나 관악합주일 경우 원산의 위치가 울림통 중앙이어야 하고, 줄풍류나 노래 반주엔 울림통의 주변쪽이어야 한다.두줄 사이에 활을 끼어 줄을 문질러 연주하며 무릎위에 올려 놓고 연주한다. 해금은 일정한 음자리가 없다. 왼손을 올려 잡으면 낮은 소리가 나고, 내려 잡으면 높은 음이 난다. 또 같은 자리에서도 얼마나 줄을 당기느냐에 따라 음높이가 변한다.낮은 음을 내는 줄을 중현이라 하고 높은 음을 내는 줄을 유현이라 하는데 두줄의 음정은 5도가 되도록 조율한다. 음색은 코멘 소리가 나 깽깽이라고도 한다. 악학궤범 시 절에는 줄을 당기지 않고 연주하였으나, 그뒤에 줄을 당겨 연주하게 되었다. 현악기이나 관현편성뿐 아니라 관악편성인 삼현육각에도 끼어서 관악기의 취급을 받기도 한다. 제작 재료의 8음을 해금은 모두 구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