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로고

  •  > 전통문양3D도움 > 표면음영 생성용
  • 78170_반닫이 무쇠장석(1283)
  • 카테고리

    표면음영 생성용

    설명

    문화포털 https://www.culture.go.kr/tradition/traditionalDesignPatternView.do?seq=1283&did=78170&reffer=shape&sType=00&sWord=1283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 디자인 문양 반닫이 무쇠장석 문양을 활용하여 제작한 노멀맵입니다. 3D 모델링 작업 시에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 다운로드  PNG

  • 이전 다음

한 마리의 박쥐를 디자인하였다. 박쥐는 한자표기 편복이 복과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박쥐는 더듬이가 표현되었고 날개를 활짝 펼친 모습이다. 박쥐를 간단한 선과 도형으로 표현하여 아주 소략하다.
간단한 선과 도형으로 표현한 박쥐를 더욱 기하학적으로 변형시켜 원형 디자인과의 차별성을 주었다. 명암의 대비로 강조와 집중의 효과를 높였다.
박쥐는 일찍부터 ‘복(福)’의 상징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박쥐의 한자표기인 ‘편복(蝙蝠)’의 ‘복(蝠)’이 ‘복(福)’과 음이 같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박쥐 두 마리를 그린 문양은 쌍복(雙蝠)을 의미하고, 복(福)과 수(壽)자를 가운데 두고 박쥐 네 마리가 둘러싼 모양은 오복(五福)을 뜻한다. 또, 여성의 의복이나 장신구에 박쥐 문양의 장식을 넣거나 베갯모에 박쥐를 수놓기도 하였는데, 이는 박쥐의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에 의미를 부여하여 다산(多産)과 복을 기원했기 때문이다.  덩굴문이나 卍자문과 곁들인 문양은 만대에 이르도록 장수하며 복을 받으라는 의미이며, 기와나 굴뚝, 난간 등에 박쥐 문양을 새기는 것이 ‘福’ 자를 써넣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여겼다. 박쥐 문양은 도자기나 나무로 만든 식기, 떡살, 능화판 등 다양한 종류의 기물에 장식문양의 주제로 활용되었으며, 다른 문양과 합성하여 100여종의 문양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다운로드가 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