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100
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한국문화100]마을 공동의 문화공간 정자나무
예로부터 마을의 휴식과 신앙 또는 회합이 이루어졌던 정자나무의 가치를 재조명해본다.
정자나무편 대본
내레이션> 
바쁘게 살아가는 도시의 사람들.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각자의 일을 하며 살고 있지만 정작, 사람들은 서로가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잊은 지 오래입니다.
혹시, 옆집에 누가 살고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혹시, 마을주민들과 서로 인사하며 지내시나요?
혹시, 마을주민들과 모여서 어울린 적이 있으신가요?
사람은 넘쳐나도 삭막하기만한 현대의 도시. 서로가 함께 모여서 이야기를 나눌만한 공간과 여유가 없는 것이 현실이기는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에는 예로부터 마을사람들이 정을 나누던 공간이 있었습니다. 마을 초입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모여 마을 일을 의논하거나 쉬기도 했던 오래된 고목.
우리 조상들은 편안한 그늘을 제공해주던 큰 나무를 정자나무라 부르며 사랑방처럼 함께 머물렀습니다. 정자나무는 한결같은 포근함으로 어른들에게는 휴식을 아이들에게는 놀이공간을 제공하였습니다. 정자나무의 넉넉한 규모와 수령처럼 정자나무와 사람들에 얽힌 이야기는 많이 있습니다.
인터뷰>
김판조
그전에는 집이 초가삼간이잖아요. 늘어진 초가집인데 더워서 못살아. 그러니까 점심을 먹으면 다 나온거예요. 다 나와서 오후 세시정도 되어 조금 서늘해지면 그때 일터로 나갔는데 꽉차버려요, 여기가. 이렇게 올라가서 저렇게 늘어진 가지에다가 훈주(줄타기)도 타고 여기 나뭇가지에다가 그네도 매어놓고 그네도 타고 그랬어요. 어르신들이 나뭇가지 찢어진다고 못하게 했지.        
내레이션>
현대의  도시들이 들어나고 사람들이 각자 바빠지면서 정자나무는 점차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 갔습니다.
하지만 다시금, 늘 정이 넘쳤던 정자나무의 모습을 기억하고 따뜻하며 푸근했던 그 순기능을 살리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름지기재단과 서울디자인재단이 공동으로 기획하는 마을정자나무프로젝트입니다.
자막>
마을정자나무 가꾸기 프로젝트, 아름지기재단, 서울디자인재단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350세 느티나무
인터뷰>
장영석 / 아름지기재단 사무국장
그동안 먹고 사는 문제, 급속히 산업화되고 경제적인 부분들을 쫓다가 결국은 다시 어떻게 하면 사람답게 살 수 있고 더 행복하게 살 수 있는가를 전통에서 힌트를 얻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자나무만 하더라도 그냥 단순히 오래된 나무일뿐이지만 사람들이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고 또 그 아래 같이 모여서 사람 살만한 동네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었다고 생각되거든요. 요즘 만들어지는 그 어떤 최신식의 건물이나 현대적인 공간보다도 사람들에게 더 큰 위안을 줄 수 있는 곳이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정자나무 하나하나를 고쳐가는 것이 단지 자연보호 운동이 아니고 더 아름다운 삶을 만드는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김순희
이런 공간이 생기니까 동네도 아름답고 공기도 좋은데 환경이 깨끗해지니까 살기 좋고 보기 좋지요.  
박지훈
주변에 자주 왔는데요. 정비된 후에 풍경도 더 괜찮아 진 것 같고 포근한 기분이 들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내레이션>
정자나무는 단순히 마을의 큰 나무가 아니라 사람, 자연, 문화가 어우러지던 마을의 상징적인 소통 공간이었습니다. 사람사이의 단절된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요즘, 정자나무가 가지는 정의 가치는 우리가 다시 연결되어 살아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인터뷰>
방영자
안락하고 시원하고 굉장히 정서적으로 좋네요. 
이혜숙
(혼잡한)도심 속에 있는 느낌이 안 들고 편안하고 어느 시골에 와있는 그런 느낌이 드네요. 
내레이션>
마을 공동의 문화 공간 정자나무, 앞으로도 소중히 지켜야할 우리의 문화입니다.      
 
?
함께 볼만한 영상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한국문화100]마을 공동의 문화공간 정자나무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한국문화100]마을 공동의 문화공간 정자나무](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861440039709_04.jpg) 
	                       
	                      
	                    ![[한국문화100] 마을의 수호신, 장승](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80.C7A5C2B91608021537552581.jpg) 
                        
                        ![[한국문화100] 천년의 미소, 반가사유상](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861440051983_02.jpg) 
                        
                        ![[한국문화100]길거리 응원으로 하나되는 대한민국](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861440051155_05.jpg) 
                        
                        ![[한국문화100 ]백제의 아름다운 미소, 서산마애삼존불](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6/01/00000050526720048549_03.jpg) 
                        
                        ![[한국문화100]신과 인간의 만남 굿](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861440040397_04.jpg) 
                        
                        ![[한국문화100]잊혀져가는 정겨운 삶의 터, 초가집](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4.C815ACA8C6B4CD08AC00C9D11608021503507556.jpg) 
                        
                        ![[한국문화100] 천년의 약속이 흐르는 곳, 경주](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6.CC9CB144ACBDC8FC1608021508006644.jpg) 
                        
                        ![[한국문화100]한반도의 중심 산줄기, 백두대간](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887360034521_01.jpg) 
                        
                        ![[한국문화100]약방의 감초같은 된장과 청국장](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46.CCADAD6DC7A51608021519566904.jpg) 
                        
                        ![[한국문화100] 한민족의 성산, 백두산](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861440035986_04.jpg) 
                        
                        ![[한국문화100] 흙, 불, 사람의 조화, 천하제일 비색 고려청자](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39.ACE0B824CCADC7901608021517016376.jpg) 
                        
                        ![[한국문화100] 투박하고 소박하게, 막사발 이야기](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930560033524_01.jpg) 
                        
                        ![[한국문화100]맛과 영양까지 좋은 핫소스 고추장](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47.ACE0CD94C7A51608021520161970.jpg) 
                        
                        ![[한국문화 100] 복날, 삼계탕에 관한 세가지 이야기](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52.BCF5B0A01608021522142254.jpg) 
                        
                        ![[한국문화100] 한국인의 이야기를 빚어낸 분청사기](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32.BD84CCADC0ACAE301608021515587955.jpg) 
                        
                        ![[한국문화100]대한의 바다, 대한의 삶, 동해](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24.B3D9D5741608021514441922.jpg) 
                        
                        ![[한국문화100]조선시대의 지식인의 상징, 퇴계 이황](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56.C774D6A11608021523143588.jpg) 
                        
                        ![[한국문화100]드넓은 영토를 개척한 광개토대왕](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861440050693_02.jpg) 
                        
                        ![[한국문화100] 조선 최고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0/00000049861440057442_0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