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공감 > 문화TV 유네스코 등재유산

유네스코 등재유산세계인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우리문화유산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1차 티저 영상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1차 티저 영상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리 문화유산 다들 잘 아시는 것 같으면서도 사실 잘 모르십니다. 세계유산이 무엇인지, 세계기록유산이 무엇인지 어떤 가치를 인정받아서 유네스코에 등재가 되었는지 사실 이 콘텐츠는요 진작 나왔어야 해요. 우리가 잘 몰랐던 유네스코 등재유산의 진정한 가치 딱, 딱, 딱! 200초만 투자하세요. 참고로 이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나옵니다. COMING SOON 올 연말,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이 최태성 선생님과 함께찾아옵니다 https://www.culture.go.kr/index.do 에서 확인하세요!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유네스코 #유네스코등재유산 #한국 #최태성 #역사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08-19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

경주역사유적지구편 기원전 57년 박혁거세로부터 56대 경순왕까지. 992 년 동안 엄청난 긴 기간 동안 유지된, 천년 왕국 신라. (자막: 992년 동안 유지된 천년 왕국 신라)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요, 세계 사대 고대 도시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자막: 신라의 수도 경주 세계 4대 고대 도시) 인류의 역사를 보면요, 천 년 가까이 왕조를 유지한 나라도 드물지만요. 왕조의 역사 또한 수도가 바뀌지 않고 지속된 경우도 거의 없다고 합니다. (자막: 천년 가까이 왕조를 유지한 신라, 왕조의 역사 동안 바뀌지 않은 수도 경주) 그래서 더 특별한 곳,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경주역사유적지구]로 떠나보시죠 (자막: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 박물관 도시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 경주역사유적지구는요, 총 다섯 개 지구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다양한 불교 유적을 포함하고 있는 남산지구, 옛 왕국에 터였던 월성지구, 많은 고분이 모여 있는 대릉원지구, 불교 사찰 유적지인 황룡사지구, 방어용 산성이 위치한 산성지구가 이에 해당합니다. (자막: 다양한 불교 유적 남산지구, 옛 왕궁 터 월성지구, 고분 밀집지 대릉원지구, 불교 사찰 유적지 황룡사지구, 방어용 산성이 위치 산성지구) 대릉원 지구에서는요, 왕의 숫자보다도 더 많은 금관이 발견되었고요. (자막: 왕의 숫자보다 많은 금관이 발견된 대릉원지구) 영롱하도다. 황룡사에서는요, 무려 4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자막: 40,0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된 산성지구) 산성지구에서는요, 400년 이전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명활산성이 남아 있었죠. (자막: 서기 400년 이전에 축성한 명활산성) 정말 이 천년 고도 경주의 유적들이, 천 년 가까이 실천해 온 그 연륜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자 유네스코가 선정한 경주 역사 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 기준을 한 번 살펴보죠. (경주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으로 등재(2000년)) 경주역사유적지구에는요, 불교 건축 및 불교 생활 문화, 또 이와 관련된 뛰어난 기념물과 유적지가 아주 다수 분포하고 있습니다. (자막: 불교 건축 및 불교 생활 문화와 관련된 뛰어난 기념물과 유적지 다수 분포) 고대 중국에서 이 고구려로 전파된 불교를 신라가 받아들이면서, 남사는 불교의 성산이 되었고, 또 이곳의 신도들을 끌어모았으며 당대 최고의 건축가들과 장인들이 사찰, 사당, 수도철을 지었는데요. (자막: 고대 중국에서 고구려로 전파된 불교를 받아들인 신라, 불교 건축 및 불교 생활 문화와 관련된 뛰어난 기념물과 유적지 다수 분포) 그래서 이 경주 역사 유적지구에는요,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절정을 이룬, 정말 한국 불교 예술의 뛰어난 전형들이, 조각, 구조, 불탑, 사찰, 왕궁 유적, 아주 다양한 형태로 집중되어 있는 것입니다. (자막: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절정을 이룬 한국 불교 예술의 뛰어난 전형) 더불어 신라의 그 수도였던 이 경주 그리고 그 인근에서 발견된 유물 및 유적들은요, 천 년간 유지되었던 신라 문화의 그 탁월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막: 천년 간 유지되었던 신라 문화의 탁월함을 보여주는 유물 및 유적) 신라는 칠 세기에 중국의 당과 손잡고 한반도 대부분을 통일했죠. (자막: 7세기에 중국의 당과 손잡고 한반도 통일 후 10세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왕조를 유지한 신라) 10세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왕조를 유지하면서 도시에 많은 공공건물, 궁궐, 사찰과 성채를 건설하고 도시 인근에는 지배층의 무덤을 남겼습니다. (자막: 도시에 많은 공공건물, 궁궐, 사찰, 성채 건설. 도시 인근에 남긴 지배층의 무덤) 어느 한 곳이라고 특정할 수 없이 정말 이 경주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유적과 유물들을 살펴보면, 신라 고유의 그 탁월한 예술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라 고유의 탁월한 예술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경주역사유적지구의 유적 및 유물) 고대 문화가 꽃피운 걸작이라 불리면서 교과서에서 만난 다채로운 유산들이 도시 내에 그대로 존재하는 경주역사유적지구 현대의 일상 속에서 신비한 고대 문화의 숨결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정말 특별한 도시입니다 (자막: 고대 문화가 꽃피운 걸작, 교과서에서 만난 다채로운 유산, 도시 내에 그대로 존재하는 경주 역사유적지구, 고대 문화의 숨결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가장 특별한 도시)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 Historic Areas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15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난중일기

유네스코 난중일기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1월부터 이순신 장군이 전사한 노량해전 직전인 1598년 11월까지 거의 날마다 적은 기록. (자막: 임진왜란 1592년 1월부터 1598년 11월까지 거의 매일의 기록) 총 7권 손으로 직접 써 엮은 205장의 기록, 난중일기. (자막: 손으로 직접 써 엮은 205장의 기록 난중일기) 유네스코는 왜 이런 개인의 일기를 전 세계가 보호해야 할 세계 기록유산으로 지정했을까요? (자막: 왜 개인의 일기를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했을까?) 전장의 생생한 기록 세계기록유산 [난중일기]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 임진왜란은요, 외형상으로는 일본이 한국을 침략해 벌어진 전쟁입니다. (자막: 임진왜란 1592년~1598년 일본이 한국을 침략해 벌어진 전쟁?) 당시는 조선이었죠.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조선이 일본의 침략에 맞서 이 명과 연합해 싸운 삼국의 전쟁으로 (자막: 조선이 일본의 침략에 맞서 명과 연합해 싸운 삼국의 전쟁) 단순한 지역 전쟁이 아니라 한국, 일본, 중국이 동아시아의 패권 구도를 놓고 벌인 전쟁이었습니다. (자막: 단순한 지역 전쟁 NO! 한국, 일본, 중국이 동아시아의 패권 구도를 다툰 전쟁) 당시 명에서 보낸 부대에는요,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해외 용병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고요. (자막: 명에서 보낸 부대에 상당수 포함된 해외 용병) 칼, 창, 활로 싸우던 기존의 전쟁과 달리 유럽에서 들여온 조총과 대포를 사용하는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자막: 기존의 칼, 창, 활이 아닌 유럽에서 들여온 조총과 대포로 전투) 유럽의 기술을 접목해서 동아시아의 패권 구도를 놓고 싸운 세계사적 의미를 지닌 전쟁이었다, 라는 것이죠. (자막: 유럽의 기술을 접목해 동아시아의 패권 구도를 다툰 세계사적 의미의 전쟁) 그렇기 때문에 이 난중일기는 단순히 개인의 일기가 아니라 세계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전쟁에 대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자막: 난중일기, 세계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전쟁에 대한 기록) 난중일기는요. 군사령관이 쓴 전쟁 중에 일기지만 (자막: 군사령관이 전장에서 겪은 이야기를 서술한 기록으로 개인의 일기 형식으로 기록됨) 매일의 교전 상황을 비롯해서 당시 날씨라든지, 전장의 지형이라든지, 전쟁 중에 고생을 겪는 백성들의 생활상까지 아주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자막: 매일의 교전 상황, 당시의 날씨, 전장의 지형, 백성들의 생활상) 더불어 임진왜란 기간에 유일한 해전 관련 자료이기 때문에 근대 유럽에서도 연구 자료로 활용할 만큼 세계 전쟁사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자막: 임진왜란 기간의 유일한 해전 관련 자료인 난중일기, 근대 유럽의 나라들까지 임진왜란 해전의 연구 자료로 활용) 특히 세계 최초의 장갑선이라고 알려진 거북선에 대한 기록 그리고 거북선을 이용한 전술들은요, 이 전쟁사 연구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자막: 전쟁사 연구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거북선에 대한 기록과 거북선을 이용한 전술들) 실제로 일본의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은 난중일기의 기록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해가지고 러일 전쟁 당시 러시아 함대를 물리쳤다라고 공개한 바 있으니까 아이러니하죠. (자막: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 난중일기의 기록을 집중적으로 연구, 러일전쟁 당시 대마도 해전에서 이순신의 전법으로 러시아 함대를 물리침) 난중일기는 이런 가치를 인정받아서 2013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자막: 난중일기: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2013년))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하기 이틀 전까지의 기록을 마지막으로 난중일기는 끝이 납니다. 그러나 영웅이 남긴 전장에서의 모든 기록들은 이와 같이 세계가 함께 영원히 지켜나갈 것입니다. (자막: 영웅이 남긴 전장에서의 모든 기록, 세계가 함께 영원히 지켜나갈 세계기록유산 난중일기) 전장의 생생한 기록 세계기록유산 난중일기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 Memory of the World_Nanjung Ilgi: War Diary of Admiral Yi Sun-sin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20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지구편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존재한 한반도의 고대국가 백제는요, 정말 많은 수수께끼로 둘러싸여있죠. (자막: 고대국가 백제를 둘러싼 많은 수수께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백제 역사유적지구]를 통해서 그 신비한 고대국가 백제와 한 번 만나보겠습니다. 고대국가 백제를 찾아서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 역사 유적지구는요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 이렇게 세 개 지역에 분포해 있는 여덟 개 고고학 유적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부여의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정림사지, 능산리 고분군, 나성. 익산의 왕궁리 유적과 미륵사지 이렇게 여덟 개 유적이 그 주인공입니다. 알려진 것처럼 공주와 부여는 백제의 수도였던 도시죠. 백제 첫 번째 수도는 어딘가요. 오늘날 한강 유역인 위례였는데요. (자막: 오늘날의 한강 유역, 위례) 고구려 장수왕의 그 남진 정책으로 개로왕이 전사하면서 한강을 내어주고 급히 도읍을 옮긴 곳이 당시 웅진이라 불렸던 공주입니다. (자막: 오늘날의 공주, 웅진) 그리고 성왕 시절에 이르러서 사비라 불렸던 오늘날 부여로 수도를 옮기게 되죠. (자막: 오늘날의 부여, 사비) 고대 국가의 수도를 살펴보면요. 도성, 무덤, 궁궐, 사찰 이게 이제 필수적으로 구성이 되는데 때문에 이 수도를 옮기는 천도 시에는 이런 구성물들이 함께 이동하게 됩니다. (자막: 고대국가의 수도 구성 도성, 무덤, 궁궐, 사찰. 수도를 옮기는 천도 시 함께 이동) 공주 부여 익산의 유적에서 이러한 흔적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익산 역시 백제의 수도가 아니었을까 이런 흥미로운 질문도 던져볼 수 있겠습니다. (자막: 도성, 무덤, 궁궐, 사찰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는 백제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는요, 백제 역사유적지구를 세계 유산으로 지정하면서 등재 기준을 이렇게 밝혔습니다. (자막: 백제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으로 등재(2015년)) 백제 역사 유적지구의 고고학 유적과 건축물은 고대 왕국들의 상호 교류를 통해 완성된 백제 건축 기술의 발전과 불교 확산의 증거다. (자막: 고대 왕국들의 상호교류를 통해 완성된 백제 건축 기술의 발전과 불교 확산의 증거) 이곳에 남아 있는 유적들은 문화적 전성기를 구가했던 고대 백제 왕국의 후기 시대를 대표하는데요. 실제로 중국에서 도입된 도시계획 원칙, 건축 기술, 예술과 종교를 수용해서 이걸 다시 백제화 했다는 증거가 곳곳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자막: 중국에서 도입된 도시계획 원칙, 건축 기술, 예술, 종교를 수용해 백제화한 흔적)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완성된 세련된 백제 문화가 일본 및 동아시아로 전파되었다는 사실도 밝혀지고 있죠. (자막: 국가 간의 교류로 완성된 백제 문화가 일본 및 동아시아로 전파되었다는 근거) 유적지에서 출토된 연대가 분명한 유물들을 통해 수도 이동에 따른 백제의 역사를 확인해 볼 수 있고요. (자막: 무령왕 금제 관식(공주 무령왕릉 출토), 무령왕릉 석수(공주 무령왕릉 출토),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익산 미륵사지 석탁 출토), 백제 금동대향로(부여 나성과 능산리 사이 절터 출토)) 불교 사찰, 성곽, 건축물을 통해서 정말 독특했던, 화려했던, 백제의 건축기술을, 고분과 석탑을 통해 백제의 그 탁월한 예술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자막: 불교사찰, 성곽, 건축물이 보여주는 독특했던 백제의 건축 기술, 백제의 탁월한 예술미를 찾아볼 수 있는 고분과 석탑) 백제의 역사유적지구를 통해 숨겨진 역사의 새로운 가치를 밝혀내는 것은 바로 우리의 몫입니다. (자막: 숨겨진 역사의 새로운 가치를 밝혀내는 것은 우리의 몫)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Baekje Historic Areas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15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조선왕조의궤

조선왕조의궤편 조선시대를 다룬 사극을 보시면서 한 번쯤은 궁금하셨을 겁니다. (자막: 한국사 강사 최태성) 사진도 영상도 없던 시절인데, 어떻게 저렇게 옛날에 있었던 왕실의 행차를 고스란히 재현했지? 비밀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자막: 수백년 전 왕실의 행사를 어떻게 재연했을까?)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 의궤], 이것 때문입니다. (자막: 조선왕조 의궤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2007년)) 세계의 문화유산이 된 순간의 기록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조의궤] 의궤란요, 조선왕조 500여 년간의 왕실 행사에 대한 기록물입니다. (자막: 의궤, 조선왕조 500여 년간의 왕실 행사에 대한 기록물) 왕실의 중요한 행사에 대해 글과 특이하게도 그림으로까지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막: 왕실의 중요한 행사를 글과 그림으로 기록)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마다 편찬되었는데요. 지금 남아있는 것만 3895권이나 됩니다. (자막: 3895권) 왕실에서 진행한 혼인, 장례, 연회, 외국, 사절, 접대, 이런 중요한 행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형식과 절차에 필요한 사항들을, 너무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막: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66세의 영조가 두 번째 결혼으로 15세의 정순왕후를 맞이하는 모습을 기록) 정말 이 왕실의 여러 가지 문화 활동이라든지 궁궐 또는 이 묘의 축조에 관한 내용도 아주 자세히 담고 있죠. (자막: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명성황후의 장례 의식을 기록) 심지어는요, 너무들 꼼꼼하셔, 행사 담당자의 명단, 사용한 기물과 음식의 비용, 성을 지을 때 동원된 인력의 명단까지 정확하게 꼼꼼하게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자막: 영접도감의궤, 중국 사신의 영접 절차 및 제반 사항을 기록) 이런 의궤를 통해서 왕실 생활의 다양한 측면들을 이해할 수 있고요. 오랜 시간에 걸쳐 왕실의 의식에서 일어난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겠죠. (자막: 왕실 생활의 다양한 측면 이해, 오랜 시간에 걸쳐 왕실의 의식에서 일어난 변화 확인) 그리고 당대의 문화를 동시대 동아시아의 다른 문화와 자세하게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자막: 당대의 문화와 동아시아의 다른 문화를 자세하게 비교) 원행을묘정리의궤 이숙 정조대왕 능행 반차도입니다. 정조가 그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방문하는 행사를 여러 장면으로 구성했는데요. 그 길이만요 총 15.4m에 이릅니다. (자막: 원행을묘정리의궤-정조대왕 능행 반차도,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방문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 공인 받은 전문 화가들 뭐 김홍도 같은 그런 인물들입니다. 이런 전문 화가들이 역사가와 협력해 심혈을 기울여 작업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이번엔 이 그림 좀 한번 보시죠. 화성을 짓는 과정을 아주 상세하게 기록한 화성성역의궤입니다. 그림과 함께 내용을 보충하고 있는데요. 과정에 대한 순서, 의식, 인원, 장비, 재료 등 정말 여러 가지 측면들을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자막: 화성성역의궤-도설과 도해, 화성 축조 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 이처럼 의궤는요 그 시대의 제식과 의식을 오늘날의 시각 자료와 맞먹을 정도로 아주 세련되고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심지어는요, 대부분의 의궤는요, 내용이 똑같은 경우에도 전문 이 필경사가 따로 손으로 옮겨 썼기 때문에 각각의 의궤는 유일무이한 그 자체가 원본이 매우 귀한 유산입니다. (자막: 내용이 똑같은 경우에도 전문 필경사가 각각 손으로 옮겨 쓴 의궤) 세계의 문화유산이 되어 영원한 생명력을 얻게 된 흘러가는 역사 속 순간들, 이게 바로 우리 선조가 만들어낸 기록의 힘입니다. (자막: 세계의 문화유산이 되어 영원한 생명력을 얻은 역사 속 순간, 인간이 빚어낸 기록의 힘)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조 의궤 Uigwe: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15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3차 티저영상

유네스코 등재유산, 얼마나 알고계십니까? 유네스코 등재유산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탐구 유네스코는 왜 대한민국 문화유산을 전세계가 보호해야할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했을까요? 한국사 강사 최태성과 함께 하는 200초로 즐기는 숏폼 콘텐츠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기대해주세요!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22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나무판 앞 뒷면에 1,511 쪽 6,802원에 달하는 불교 경전을 빼곡 하게 새겨놓은 81,258장의 기록물 바로 팔만대장경이라고 알려진 세계 기록 유산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입니다. (자막: 나무판에 새긴 81,258장의 기록물 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불교 경전의 꽃 세계기록유산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자, 고려대장경은요, 13세기에 고려 왕조가 제작한 불교 경전이고요. (자막: 고려대장경, 13세기에 고려 왕조가 제작한 불교 경전) 제경판은요, 고려 대장경을 보완하기 위해 해인사에서 제작한 추가 본, 추가본을 말합니다. (제경판: 고려대장경의 보완을 위해 해인사에서 제작한 추가본) 이 두 가지를 합쳐 가지고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이렇게 부르는 것이죠.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이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은요, 다음과 같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자막: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2007년)) 첫째 당대 최고의 인쇄 기술과 간행 기술을 보여주는 사례로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다. (자막: 당대 최고의 인쇄 기술과 간행 기술을 보여주는 사례) 각각의 판목에 통일된 서체로 하나하나 아름답게 새겨진 글씨에서 이 제작된 후 칠백여 년이 훨씬 지난 오늘날에도 완전한 판본을 찍을 수 있는 내구성. (자막: 각각의 판목에 통일된 서체로 하나하나 아름답게 새겨진 글씨, 제작 후 7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완전한 판본을 찍을 수 있는 내구성) 이것만 봐도 13세기 당시에 정말 우수한 기술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둘째 한문으로 번역된 대장경 중 가장 정확한 판본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자막: 한문으로 번역된 대장경 중 가장 정확한 판본으로 인정) 아시아 여러 곳에서 불교 경전이 전해져 왔지만요, 산스크리트어로 만들어진 이 원본의 내용을 완벽하게 보존하고 있는 것은 고려대장경이 거의 유일합니다. (자막: 산스크리트어로 만들어진 원본의 내용을 완벽하게 보존하고 있는 대장경) 이런 이유로 당시 주변국이요, 고려대장경에 이 판본과 목판을 요청하는 일이 많았다고 합니다. 사본과 함께요, 목판 판각 기법하고 기술, 그리고 이 종이와 먹 등의 제조 기술도 전파되면서 동아시아 문화와 문명의 수준을 한 단계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죠. (자막: 주변국의 요청으로 고려대장경 사본과 함께 판각 기법과 기술, 종이와 먹 등의 제조 기술 전파. 동아시아 문화와 문명의 수준을 한 단계 성장시키는데 기여) 마지막으로요, 이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은요 오늘날에도 판본을 찍어낼 수 있을 만큼, 도대체 이 몇백 년이 흘렀는데 그죠, 원형 그대로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자막: 오늘날에도 판본을 찍어낼 수 있을 만큼, 원형 그대로 완벽하게 보존) 15세기에 건립된 해인사 장경판전이 바로 그 비밀의 열쇠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해인사 장경판전은요 대장경 목판 보관을 목적으로 지어진 세계에서 유일한 건축물입니다. (자막: 해인사 장경판전, 대장경 목판 보관을 목적으로 지어진 세계에서 유일한 건축물) 건물의 배치 창의 위치와 크기, 통풍 적절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 (자막: 건물 배치, 창의 위치와 크기, 자연 통풍, 적절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 실내 온도와 습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배열된 판가 등 정말 이 탁월한 과학성으로요, (자막: 실내 온도와 습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판가) 대장경판이 오늘날까지 변경되지 않고 온전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지켜왔습니다. (자막: 탁월한 과학성으로 대장경판을 오늘날까지 온전하게 보존) 자 오늘날 이 디지털 시대를 맞이해서 온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 자원으로 재탄생하고 있는 이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정말 이 지나간 과거의 유산이 아니고요 우리 곁에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역사 그 자체의 문화입니다. (자막: 온라인 활용 가능한 새로운 지식자원으로 재탄생한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우리 곁에 살아 숨 쉬는 문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기록유산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15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조선왕실 어보와어책

조선왕실 2017 년 6 월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 역사적인 정상회담과 더불어 문정왕후 어보와 현종 어보가 우리에게 돌아왔습니다. (자막: 2017년 6월 한미 정상회담. 우리에게 돌아온 문정왕후 어보와 현종 어보) 문정왕후 어보는요, 해외로 유출된 이후, LA 카운티 박물관이 구입한 것을 미 국토안보수사국에서 압수한 상태였고요. (자막: 해외 유출 후 LA카운티 박물관에서 구입) 현종 어보 역시 유출 후에 해외 개인이 소장하던 것을, 역시 미 국토안보수사국에서 압수해서 보관하고 있었는데 이것을 대한민국에 돌려준 것입니다. (자막: 해외 유출 후 해외의 개인이 소장) 이 대한민국이 돌려받은 어보 과연 뭘까요. 그리고 왜 이 어보가 미국에 있었고 또 이제야 돌아오게 된 걸까요. (자막: 어보란 무엇일까? 왜 미국에 있었고 이제야 돌아왔나) 세계기록유산 [조선 왕실 어보와 어책]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라진 왕실의 유산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조선 왕조의 왕위는 세습이죠. 아들이나 손자가 국왕의 자리를 잇도록 되어 있습니다. (자막: 조선왕조의 왕위는 세습. 왕실의 승계자는 왕세자나 왕세손에 책봉되는 전례를 거침) 왕실의 승계자는요, 왕위에 오르기 전에 왕세자나 왕세손에 책봉되는 전례를 거치는데요. (자막: 왕세자두 후평복진하도병풍) 조선 왕실의 어보와 어책은요, 이런 직위에 봉해지는 전례의 예물입니다. (자막: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직위에 봉해지는 전례의 예물) 국왕이 인정한 왕권의 계승자로서 이 정통성을 인정받았다는 징표이자 상징인 것이죠. (자막: 국왕이 인정한 왕권의 계승자로서 정통성을 인정받았다는 징표이자 상징) 국왕의 즉위하는 이 즉위식에서도 어보와 어칙이 같은 의미의 예물로 사용됐는데요. 조선 건국 초인 1392년부터 근대인 1966년에 이르기까지 570년이라는 그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제작하고 의례 예물로 전달되어 왔는데요. (자막: 1392년부터 1966년까지 지속적으로 제작하고 의례의 예물로 전달) 정말 이거는요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사례라고 합니다. 왕과 왕비가 세상을 떠나면요. 어보와 어책은 그 신조와 함께 종묘에 봉안됩니다. (자막: 왕과 왕비의 사후 신주와 함께 종묘에 봉안된 어보와 어책) 살았으면 왕조의 정통성을 죽어서도 죽은 왕가의 권위를 보장하는 신성한 성물로서 왕실의 정치적 안정성을 확립하는데 아주 크게 기여했다, 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겠죠. (자막: 생전에는 왕조의 정통성 상징 사후에도 죽은 왕가의 권위 보장. 왕실의 정치적 안정성 확립에 기여) 더불어 어보와 어책에서 확인할 수 있는 문구의 내용 문장의 형식 글씨체 장식물 이런 걸 통해서 당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의 시대적 변천사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세계 기록유산으로서의 매우 독특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자막: 시대적 변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세계 기록 유산으로서의 매우 독특한 가치) 이러한 가치들을 인정받아서 2017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것이죠. (자막: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2017년)) 기록에 의하면요, 제작된 어보는 총 375과. 그런데 2020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이 현존하는 어보는 331과라고 합니다. (자막: 제작된 어보는 총 375과. 2020년 기준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어보는 331과) 나머지 어보 어디 간 거야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 우리의 소중한 유산들이 해외로 반출되었죠. (자막: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거치며 해외로 반출된 우리의 소중한 유산들) 해외 경매장에서 박물관에서 심지어 개인의 창고나 서랍 속에서 우리의 문화유산이 등장하는 이유입니다. 국가적 상징물이자 국유재산인 세계기록유산 어보와 어제 사라진 왕실의 유산이 있어야 할 자리는 바로 대한민국입니다. (자막: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 사라진 왕실의 유산이 있어야 할 자리는 바로 대한민국입니다)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Royal Seal and Investiture Book Collection of the Joseon Dynasty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15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동의보감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동의보감 2020년에 시작된 이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속에서 대한민국은 의료 강국으로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자막 : CORONAVIBUSCOVID-19, 팬데믹의 위기 속에서 의료강국으로 주목받은 대한민국) 특히 예방의학과 공중 보건에 대한 강한 국민적 인식이 이 팬데믹 상황을 헤쳐 나가는 구심점이 되고 있는데요. 의료 강국 대한민국의 뿌리를 여기에서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저는 생각합니다. (자막 :의료강국 대한민국의 굳건한 뿌리) 2009 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동의보감]. (자막: 유네스코 세계기록 동의보감) [의료강국의 뿌리 세계기록 유산동의보감 이 동양 의학의 이론과 실제를 뜻하는 말인 이 동의보감은요, 의학 지식과 이 치료법에 관한 백과사전 같은 의사입니다. (자막: 동의보감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2009년)) 왕의 명령에 따라 의학 전문가 및 이 문인들과 협력해서 1618년에, 잘 아시죠, 허준, 허준이 만들어 냈습니다. 이 동의보감은요 동아시아에서 2천 년 동안 축적해온 의학 이론과 이 경험을 집대성해서 재편성한 기록물입니다. (자막: 동아시아에서 2000년 동안 축적해온 의학 이론과 경험을 집대성해 재편성한 기록물) 편찬 이후에는요, 동아시아 전통 의학의 모범이 되어 왔죠. 따라서 이 동의보감은요,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서 얻은 그 경험을 통해서 현대 의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분명 기여했습니다. (자막: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서 얻은 경험을 활용해 현대의학의 기초를 다지는데 기여한 동의보감) 더불어 동의보감은요 다른 어떤 국가보다도 앞서 이 국가가 공공의료를 책임질 것을 선포한 기록. (자막 : 공공의료) 자 이 점에서 매우 희귀하고 가치 있는 유산이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자막 : 국가가 공공의료를 책임질 것을 선포한 기록) 이때가 17세기였는데요. 서양의 경우에는요 19세기에 와서야 국가가 제공하는 공공의료 서비스의 개념이 도입되거든요. (자막 : 서양의 경우 19세기에 와서야 국가가 제공하는 공공의료 서비스의 개념 도입) 사실상 이 전례가 없던 개념인 국가에 의한 공공의료라는 그 이상이 최초로 등장했고 동아시아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달, (자막 : 17세기에 국가에 의한 공공의료라는 개념이 최초로 등장, 동아시아 의학 지식 및 기술의발달과 더불어 세계의 의학과 문화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김) 더불어 세계의 의학과 문화에 뚜렷한 발자치를 담기게 된 것이죠. 19세기 이전에 이 평민의 건강을 위해 국가적으로 집중한 이러한 사업은요, 세계 어디에도 없습니다. (자막 : 19세이 이전에 평민의 견강을 위해 국가적으로 집중한 독보적인 사례) 아 그리고 이 동의보감은요 의학에서 예방의 중요성을 전면적으로 인식한 세계 최초의 의학서적입니다. (자막 : 예방의 중요성을 전면적으로 인식한 세계 최초의 의학 서적) 인간의 질병은 단지 이 신체적 원인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 정신적 요인이 복잡하게 작용한 결과라고 보는 이 양생의 철학을 토대로 삼고 있습니다. (자막 : 인간의 질병은 신체적.사회적.정신적 요인이 복잡하게 작용한 결과라고 보는 양생의 철학)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한 건강의 정의를 살펴보면요, 건강한 상태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좋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자막 : 세계보건기군 WHO에 의한 건강의 정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좋은 상태) 이런 현대적 개념이, 십칠 세기에 이미 등장했다. 이 점만 봐도 이 동의보감은 세계 의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록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죠. (자막 : 현대적 개념이 등작한 17세기의 동의보감)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동의보감의 뿌리는요. 이 팬데믹의 위기 속에서 의료 강국 대한민국의 꽃을 활짝 피웠습니다. (자막 : 팬데믹의 위기 속에서 활짝 핀 의료강국 대한민국) 머지않아 그 저력으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건강한 삶이라는 귀한 열매를 맺을 겁니다. (자막 :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건강한 삶이라는 귀한 열매)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기록 유산 동의보감 Doungui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15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불조직지심체요절

1990년대 말, 미국의 유명 시사잡지 라이프에서 천 년간 인류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100대 사건을 조사한 적이 있습니다. (자막: 미국의 유명 시사잡지 라이프, 지난 1000년 간 인류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100대 사건) 어떤 사건이 1위에 올랐을까요. 바로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발명이었습니다. (자막: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발명) 그런데요, 이 구텐베르크의 금속 활자보다 먼저 발명된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가 우리에게 있습니다. (자막: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불조 직지심체요절, 직지]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막: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불조직지심체요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 세계기록 유산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부처님과 고승들의 가르침이 담겨 있는 직지는요, (자막: 불조직지심체요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으로 인쇄 역사상 매우 중요한 기술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막: 인류 역사상 매우 중요한 기술적 변화의 증거) 사실 8세기 초까지만 해도요 신라에서는요 목판 인쇄술이 발달했습니다. (자막: 8세기 초 목판 인쇄술 발달) 12세기 초, 이 서고에 보관하던 책들이 화재로 인해 소실되니까 (자막: 12세기 초 서고의 책들이 화재로 손실) 이 13세기 초에 이르러서 새로운 인쇄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죠. (자막: 13세기 초 새로운 인쇄술 개발) 그것이 바로 낱낱으로 독립된 금속 활자를 이용하는 인쇄술이었습니다. (자막: 낱낱으로 독립된 금속활자를 이용하는 인쇄술) 이 활자를 갈아 끼워서 인쇄하는 방식은요 인쇄 기술의 혁신을 가져왔고요. (자막: 활자를 갈아 낄워서 인쇄하는 방식은 인쇄기술의 혁신을 가져옴) 1377년 7월, 청주 흥덕사에서 인쇄된 직지는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동 금속 활자본의 증거가 되는 것이죠. (자막: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동 금속활자본의 증거, 불조직지심체요절) 서양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본인 구텐베르크의 42행 성서가 1455년에 인쇄됐으니까 무려 78년이나 앞서 있었던 것입니다. (자막: 1455년에 인쇄된 서양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본 구텐베르크의 42행 성서. 1377년에 인쇄된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 인쇄본) 이런 가치를 인정받아서요. 2001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가 되었던 것입니다. (자막: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2001년)) 이 직지, 이거 지금 어디에 있을까요. 직지를 소장하고 있는 곳은요, 바로 프랑스 국립도서관입니다. (자막: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불조직지심체요절) 연유를 좀 살펴보면 대한제국 시기에 초대 주한 프랑스 공사가 이 직지를 정식으로 구매한 이후, 이걸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보관하게 된 것이죠. (자막: 초대 주한 프랑스 공사가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정식으로 구매) 직지는요, 이렇게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 가운데 해당 국가가 소장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선정된 유일한 사례라고 합니다. (자막: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 가운데 해당 국가가 소장하지 않고 선정된 유일한 사례) 지구상에 단 한 권 밖에 없는 소중한 기록유산이고, 또 우리 조상들이 만든 건 변함이 없잖아요. 프랑스에 가 있다고 해서 그게 프랑스인들이 만든 게 아니잖아요. 바로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세계 기록유산으로 지정돼도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이죠. (자막: 지구상 단 한 권인 소중한 기록유산으로 소재를 문제 삼지 않고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 인류 최고의 기록유산 직지심체요절을 기억해 주십시오. (자막: 불조직지심체요절을 기억해 주십시오)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기록유산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Memory of the World_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vol.II), the second volume of Anthology of Great Buddhist Priests Zen Teachings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20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유적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유적편 세상에서 가장 비싼 돌은 무엇일까요. 제가 지금 설명드릴 이 돌에 대해 알게 되시면요. 세상에서 가장 비싼 돌의 기준이 바뀔지도 모릅니다. (자막: 세상에서 가장 비싼 돌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에 대해 함께 알아보죠. (자막: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으로 등재(2000년)) 세상에서 가장 값진 돌 세계유산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고인돌은요, 괴다 그리고 돌, 이걸 합친 말로 돌을 괴어 세운 유적이라는 뜻입니다. (자막: 고인돌 괴다+돌, 돌을 괴어 세운 유적 ) 영어로는, 돌맨 재밌죠, 돌맨이라고 부르는데요. 보통 청동기 시대에 돌무덤을 의미합니다. (자막: Dolmen, 청동기시대 돌무덤) 전 세계적으로 약 6만 기 정도의 고인돌이 발견되고 있는데요. (자막: 전 세계적으로 약 6만 기 정도의 고인돌 발견) 놀랍게도 한반도에 약 3만 기, 어마어마한 고인돌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자막: 한반도에 약 3만기 가까운 고인돌 밀집) 고창에 447 기 화순에 596 기 강화에 160여 기의 고인돌을 비롯해서요, 황해도 은율에 고인돌 등, 북한에도 다수의 고인돌 유적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고창 447기, 화순 596기, 강화 160여기)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은요, 기원전 천 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장례 및 제례를 위한 유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원전 1000년에 만들어진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장례 및 제례를 위한 유산) 이 세 지역의 고인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유는요, 세계의 다른 어떤 유적보다도 선사시대의 그 기술과 사회상을 아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자막: 청동기 시대의 기술과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줌) 또 이 고창, 화순, 강화처럼 한 지역에 수백 개 이상의 고인돌이 이렇게 다양한 형식으로 집중 분포된 유적은 다른 나라에서 찾아볼 수 없다, 특별한 사례다, 라는 이유였습니다. (자막: 다른 나라에는 한 지역에 수백 기 이상의 고인돌이 다양한 형태로 집중 분포된 사례가 없음) 동아시아의 고인돌은요 모양에 따라서 크게 이 탁자식과 바둑판식으로 나뉘는데요. (동아시아의 고인돌 - 탁자신, 바둑판식) 탁자식은요, 지상 건축물로 이 네 개의 그 굄돌을요, 석곽 또는 그 석관의 가장 자리에 세우고요. 거대한 덮개돌을 그 위에 올린 형태입니다. 우리에게 익숙하게 알려진 모습이겠죠. (자막: 탁자식 고인돌 네 개의 굄돌을 석곽 또는 석관의 가장자리에 세우고 그 위에 거대한 덮개돌을 올린 형태) 바둑판식에서는 땅 밑에 석벽 또는 이 적석벽으로 된 무덤방을 만들고요. 땅 위에 놓은 돌무지에 의해 덮개돌이 지탱되는 형태입니다. 조금은 좀 생소한 모습이시죠. (자막: 바둑판식 고인돌 땅 위에 석벽이나 적석벽으로 무덤방을 만들고 땅 위에 놓은 돌무지로 덮개돌을 지탱하는 형태)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에 주요 인물의 시신 또는 유골 위에 세웠던 무덤방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그러면 출신과 유골의 흔적은 어디 있을까요. (자막: 청동기시대 중요 인물의 시신 또는 유골 위에 세운 무덤방 고인돌) 흙무덤이 고인돌을 덮고 있는 경우도 있겠지만요 풍화 작용과 동물들에 의해 사라진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또 고인돌은요 유골을 가족 공동묘지에 묻기 위해 수습하는 재단으로 쓰였을 수도 있습니다. 낮은 곳에 있는 정착촌에서 고인돌을 볼 수 있도록 고지대에 고인돌을 세웠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자막: 유골을 가족 공동묘지에 묻기 위해 수습하는 제단으로도 쓰인 고인돌) 고인돌은요 여전히 물음표로 가득한 문화유산입니다. (자막: 물음표로 가득한 세계유산 고인돌) 선사시대의 그 삶과 문화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게 하죠. 기록 이전의 시대에 대해 무궁무진한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하는 고인돌. (자막: 기록 이전의 시대에 대해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하는 고인돌) 이 고인돌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가치 있는 돌 아닐까요 (자막: 유네스코 세계유산 고인돌)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유산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Sites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15

[200초로 즐기는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조선왕릉

4_유네스코 문화유산 조선왕릉편 조선 왕조의 이 중요한 행사와 의식을 글과 그림으로 자세하게 설명한 자료, 의궤. (자막: 조선왕조의궤, 한국사 강사 최태성) 이 의궤에 포함된 산릉도감 의궤는요, 조선시대 왕이나 왕비의 능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의식과 절차, 행사의 경위와 전말 등을 기록한 책입니다. (자막: 산릉도감의궤, 조선 시대에 왕이나 왕비의 능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기록) 이 왕가의 마지막 안식처인 능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인데요. (자막: 왕가의 마지막 안식처인 능의 중요성을 상징)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조선 왕릉]을 살펴보겠습니다. (자막: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왕과 왕비가 잠들어 있는 곳 세계유산 [조선 왕릉] 조선 왕릉은 말 그대로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이죠. (자막: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 1408년부터 1966년까지 5세기에 걸쳐 만들어졌는데요. (자막: 태조의 건원릉, 세종의 영릉, 정조의 건릉) 18개 지역에 흩어져 있는 총 40기의 조선 왕릉은요, (자막: 총 40기의 조선 왕릉) 조선 왕조의 수도인 한양, 지금의 서울을 중심으로 북부에 많이 위치해 있습니다. (자막: 조선 왕릉 분포도) 조선 왕릉은 이 풍수지리에 따라서 뒤로는 언덕에 의해 보호되고요, 남쪽으로는 물이 흐르는 아주 뛰어난 자연경관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멀리 이 산들로 둘러싸인 장소가 대부분인데요. (자막: 풍수지리에 따라 뒤로는 언덕이 보호하고 남쪽으로는 물이 흐르는 자연경관 속에 입지) 그런데 이 왕릉에는요 매장지만 있는 게 아니고요. 의뢰를 위한 장소, 비각, 홍살문 등이 조성돼 있고요. (자막: 조선 왕릉의 구성. 봉분을 중심으로 한 능침공간, 정자각을 중심으로 한 제향공간, 재실을 중심으로 한 진입공간) 또 왕릉 주변은요 다양한 인물과 동물을 조각한 석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자막: 왕릉 주변은 다양한 인물과 동물의 석물로 장식) 유네스코가 세계 유산으로 인정한 조선 왕릉의 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막: 조선 왕릉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으로 등재(2009년)) 조선 왕릉은 장래의 제례를 위해 창조한 경건한 장소다. (자막: 장례의 제례를 위해 창조한 경건한 장소) 유교 문화의 맥락에서 자연 및 우주와의 통일이라는 독특하고 의미 있는 장르의 전통에 입각해 있고, (자막: 유교문화의 맥락에서 자연 및 우주와의 통일이라는 독특하고 의미 있는 장례 전통에 입각) 풍수지리의 원리를 적용해 자연 경관을 유지하는 장소로 창조된 제례를 위한 특별한 공간으로 조성된 곳이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풍수지리의 원리를 이용해 자연경관을 유지하며 제례를 위한 특별한 공간으로 조성) 조선 왕릉은 왕실 무덤 건축의 조화로운 총체를 보여주는 탁월한 사례다 (자막: 왕실 무덤 건축의 조화로운 총체) 자 이건요 특별한 건축물 및 이 구조물의 모양과 배치를 통해서 동아시아 무덤 발전의 중요한 단계를 확인할 수 있고 몇 세기에 걸친 전통의 변화도 확인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자막: 건축물과 구조물의 모양과 배치를 통해 동아시아 무덤 발전의 단계 확인, 몇 세기에 걸친 전통의 변화 확인) 조선 왕릉은 제례의 살아있는 전통이 실천되는 공간이다. (자막: 제례의 살아있는 전통이 실천되는 공간) 이거는요, 조선시대 국가의 제사는 이곳 왕릉에서 정기적으로 행해졌고 오늘날까지도 왕실 및 제례 단체에 의해 매년 행해져 오고 있기 때문이죠. (자막: 조선 시대에 국가의 제사가 왕릉에서 정기적으로 행해짐. 오늘날에도 왕실 및 제례 단체에 의해 조선 왕릉에서 제사가 행해짐) 아 태조의 첫 번째 부인인 신의 왕후의 제릉, 그리고 조선 제 2 대왕 정종과 그 정종의 비 정안 왕후의 쌍릉인 후릉이 북한의 개성에 있습니다. (자막: 신의왕후의 제릉, 정종의 후릉) 이 두 기가 추가가 되면요. 조선 왕조의 모든 왕릉이 온전하게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는 것입니다. 국경과 이념을 넘어서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세계유산 협약의 정신을 다시 한 번 되새겨 봅니다. (자막: 국경과 이념을 넘어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세계유산협약의 정신)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유산 조선 왕릉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KCISA 한국문화정보원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1-12-2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