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인형의 집(Et dukkehjem)

작가소개
헨릭 입센(Henrik Ibsen, 1828~1906) 텔레마르크주(州) 시엔 출생. 부유한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8세 때 집이 파산하여 15세까지 약방의 도제(徒弟)로 일하였다. 독학으로 대학 진학을 위한 수험준비를 하는 한편, 신문에 풍자적인 만화와 시를 기고하였다. 파리의 2월 혁명(1848)에서 받은 감격으로 국왕에게 시를 헌정하였다가 각하(却下)되기도 하였다. 로마 시대의 혁명가를 주인공으로 하여 쓴 희곡 <카틸리나(Catilina)>(1848)가 한 친구의 호의로 출판되었으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 후 단막물 <전사의 무덤>(1850)이 극장에 채택되어 상연되자 대학 진학을 단념하고 작가로 나설 것을 결심하였다. 친구들과 <사람(Andhrimner)>이란 주간지를 발간하였으나 사회주의적 경향 때문에 곧 폐간되었다. 1851년 가을 음악가 O. B. 불이 베르겐에서 개관한 국민극장 전속작가 겸 무대감독으로 초청되었다. 이때 무대 기교를 연구한 것이 훗날 극작가로 대성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에스트로트의 잉겔 부>(1855), <솔하우그의 향연(饗宴)>(1856) 등의 시작(試作)을 거쳐 <헤르게트란의 전사(戰士)>(1857)가 나올 무렵부터 박력이 넘치는 작풍을 보였는데, 모두 다 노르웨이의 고대 및 중세에서 취재한 희곡이었다. 1857년에 수도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에 신설된 노르웨이 극장의 지배인으로 직장을 옮겼으나, 경영난으로 5년 만에 폐쇄되었다. 이 사이에 최초의 현대극 <사랑의 희극>(1866)과 <왕위를 노리는 자>를 발표하였으나, 역시 인정받지 못하였다. 이때부터 고국에 싫증을 느끼고 독일을 거쳐 이탈리아로 가서, 그리스·로마의 고미술을 접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무(無)냐 전부냐’를 모토로, 이상을 찾아 헌신하다 쓰러지는 목사 브랑을 주인공으로 한 대작 <브랑(Brand)>(1866)을 발표하여 명성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연달아 <파우스트>풍의 편력극(遍歷劇) <페르 귄트(Peer Gynt)>(1867), 그리고 10년의 세월이 걸린 세계사극 <황제와 갈릴레아 사람>(1873) 등에서 사상적 입장을 확고하게 굳혔다. 이어 그는 사회의 허위와 부정을 파헤치는 사회극을 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품으로 발표한 것이 <사회의 기둥>(1877)과 <인형의 집(Et Dukkehjem)>(1879)이다. <인형의 집>은 “아내이며 어머니이기 이전에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살겠다”며 새로운 유형의 여인 노라의 각성 과정을 그려냄으로써, 온 세계의 화제를 모았고 명실상부한 근대극의 제1인자가 되었다. 또한 입센은 <유령(Gengangere)>(1881), <민중의 적(En Folkefiende)>(1882), <들오리(Vildanden)>(1884), <로스메르 저택(Rosmersholm)>(1886), <바다에서 온 부인(Fruen fra Havet)>(1888), <헤다 가블레르(Hedda Gabler)>(1890)에 이르는 사이에, 한 작품마다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여 세상 사람들을 열광시켰다. 해외에서 체재한 후 귀국한 그는 <건축사 솔네스(Bygmester Solnes)>(1892), <작은 아이욜프(Lille Eyolf)>, <보르크만(John Gabriel Borkman)>, <우리들 죽은 사람이 눈뜰 때>(1898) 등의 작품을 썼다. 그는 힘차고 응집된 사상과 작품으로 근대극을 확립하였을 뿐만 아니라, 근대 사상과 여성해방 운동에까지 깊은 영향을 끼쳤다. <인형의 집>은1879년 작품으로 그 해에 코펜하겐 왕립극장에서 초연되어 작가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떨치게 한 작품이다. 이 작품이 세상에 나오자 노라는 신여성의 대명사가 되었고, 여성해방 운동이 각처에서 불타 오르기 시작했다. 입센의 가장 뛰어난 대표작임은 물론 세계 근대극의 대표작이다. 한국에서는 1925년 조선배우학교에서 맨 처음 공연되었다. 입센의 육필 원고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지정되었다.
내용
변호사 헬머의 아내 노라는 세 아이의 어머니이자 남편으로부터 사랑받는 가정주부다. 남편이 새해부터 은행장으로 취임하게 되어 기쁨에 넘치는 크리스마스를 맞게 되는 것을 배경으로 연극은 전개된다. 신혼 초기에 남편이 병에 걸려 먼 곳으로 전지요양을 갔을 때, 노라는 남편의 치료비를 대기 위해 남편 몰래 돌아가신 아버지의 서명을 위조해서 고리대금업자로부터 돈을 빌려 썼는데, 그 악질적인 사나이 크록슈타트는 지금 남편과 같은 은행에 근무하고 있다. 노라는 남편의 은행장 취임을 계기로 그를 해직시키려고 하지만, 상대방은 문제의 위조서명을 방패로 삼아 오히려 남편을 실직시키겠다고 노라에게 협박한다. 마침내 남편이 그 사실을 알게 되고, 그는 가장 사랑하는 아내에게 배반당했다며 욕을 퍼붓는다. 그러나 크록슈타트가 옛날의 애인과 결합한 뒤 차금증서를 돌려보내 옴으로써 위기는 해소되고, 남편은 다시 아내를 받아들이려고 한다. 그러나 노라는 자신이 이제까지 단지 인형 같은 아내로서 귀여움을 받는 존재에 불과했었다는 것을 깨닫고 ‘아내이자 어머니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 살 것’을 원하며, 애원하는 남편을 뿌리치고 아이들도 남겨둔 채 집을 떠난다.
국내공연연보
1925년 조선배우학교 / 현철 연출 1926년 근화여학교 1929년 중성사 1934년 4월 18일~19일 극예술연구회 / 고성공회당 / 홍해성 연출 / 공연제목: 인형의 가(3막) 1948년 극단 여인소극장 / 여인소극장 / 박노경 연출 1971년 1월 27일~2월 7일 극단 성좌 / 국립극장 / 민상근 연출 1976년 3월 11일~17일 극단 맥토 / 연극인회관소극장 / 김효경 연출 1981년 극단 광장 / 김종빈 역 1989년 10월 25일~11월 26일 극단 현대극장 / 현대예술극장 / 김금지 연출
예술가
현철(玄哲, 1891~1965) 한국 연극이 1910년대의 신파극에서 벗어나 근대극으로 발전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한 인물로 본명은 희운(僖運), 필명은 해암(海巖)·효종(曉鍾). 현진건(玄鎭健)의 당숙이다. 1911년 보성중학을 졸업하고 일본에 건너가 세이소쿠 영어학교[正則英語學校]를 거쳐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과에서 공부했다. 1913년 법과 재학 중 연극에 뜻을 두고 시마무라 호오게츠[島村抱月]가 주재하는 예술좌를 따라다니며 단역배우로 연극계에 입문했다. 1917년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중국의 신극배우 어우양위첸이 운영하는 연극학교에 잠시 머물다가 귀국했다. 1923년 한국 최초의 연기자 교육 강습소인 조선배우학교를 설립했다. 1923년 10월 사단법인 동국문화협회를 조직하고, 한국 사람들의 문화사업에 대한 의지를 키우고 인간을 알게 하는 데는 무엇보다 연극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그 해 12월에 이 학교를 세웠다. 처음에는 종로구 와룡동에 있는 변사 김덕경의 집 2층을 빌려 쓰다가 1925년 2월 창신동으로 옮겼다. 기초이론을 배우는 보통과와 실기 중심의 고등과로 나뉘고 학생은 각 20명씩 두었다. 보통과에서는 예술개론을 비롯해 세계연극사 등 연극·영화의 기초이론을, 고등과에서는 연극·영화에 관한 미학과 비평, 무용, 분장술 등을 가르쳤다. 이 중 현철이 40여 개 과목을 맡았고 이구영이 이론분야를 담당했다. 제1기생으로 이금룡, 왕평, 김아부 등과 중퇴한 양백명, 복혜숙 등을 배출했다. 천도교당에서 시연회를 2회 가졌는데, 이때 입센의 <인형의 집>과 체호프의 <곰>, <개>를 상연했다. 1926년 2월 제1회 졸업기념 공연으로 투르게네프의 <하룻밤 앞>을 공연하기로 했으나, 학생들이 배역에 불만을 품고 동맹휴학하자 2년도 채 못되어 문을 닫았다. 그 뒤 신문사 기자로 근무하거나 극장을 직접 운영하기도 했다. 그가 발표한 희곡은 단막극 <견(犬)> 1편이나 이 작품이 근대 사실주의극적 요소를 지닌다는 데 의의가 있다.
리뷰
(……) 현대극장의 무대화된 <인형의 집>은 노라(김지숙 분)와 헬메르(이승철 분)의 관계에만 초점을 둔 작품해석이었다. 물론 이들 관계가 작품의 주요 부분이지만, 작품이 주는 또 다른 결혼의 양상과 고독한 자아를 간과함으로써 전체적인 균형감을 잃은 느낌이다. 따라서 노라와 대조로 한쌍을 이루어야 했을 린데부인(국미 분)의 성격창조가 미미하여 단순한 플롯 전개상 필요한 인물 이상이 되지 못했다. 시종일관 피곤한 여인으로만 부각된 일률적인 연기는 작품 속에서 린데부인의 비중을 감당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인물로도 느낄 수가 없었다. 진정한 이해 속에 맺어진 린데부인과 크로그스타트 부부와 노라 부부의 대조적 부각이 무엇보다도 아쉬웠다. 또한 랑크 박사(박병모 분)의 존재가 극중에서 거의 의식되지 못할 정도로 미미했던 것은 그가 나타내었어야 했을 고독한 자아와 일상의 음미가 전혀 실연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제일 힘든 게 3시간 다 되는 작품을 컷하는 작업”이었다고 연출가(김금지)가 밝혔듯이, 작품의 부분 부분을 택하는 것은 연출가의 권한이자 고통스런 작업이다. 현대예술극장 공연의 삭제 중에서 눈에 띄는 것은 우선 노라와 아이들의 장면의 제거이다. 사실 이 장면을 통하여 남편과 노라, 노라와 아이들의 관계가 시각적으로 드러날 수 있었던 작품의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나 싶다. 이는 어린 연기자를 구한다는 공연상의 어려움으로 이해된다 하더라도, 노라가 다리 위를 산책했던 에피소드는 반드시 전달되어야 했을 대사이다. 노라는 크로그스타트의 위협을 받고 몇 가지 행동을 취한다. 첫째 남편에게 크로그스타트의 유임을 부탁한다. 이가 실패하자 그녀는 돈 많은 부자구원자를 공상하며 무의식적으로 랑크 박사를 유혹한다. 이것이 그 유명한 ‘스타킹 씬’이다. 이 장면이 공연에서 어떤 형태로든(공연처럼 스타킹만을 보여주든 실제로 치마를 걷어올리든) 좀더 섹시하게 처리되었어야 하겠다. 공연에서는 왜 노라가 갑자기 스타킹을 보여주는지가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랑크 박사가 사랑을 고백하자, 자신을 돌아본 노라는 이제 그의 도움을 받을 정도로 자신의 도덕감을 낮출 수 없게 된다. 마지막으로 노라는 다리 위를 산책하고 돌아와 크로그스타트를 다시 만나게 된다. 이때 크로그스타트는 같은 위조죄를 짓고 같은 길을 생각했던 것이다. 즉 노라는 자살을 생각하며 다리 위를 걸었던 것이다. 이러한 노라의 영웅적 행동(남편과 가족을 구하기 위한 희생)의 암시는 분명히 전달되었어야 하겠다. (……) 이상의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이번 공연은 <인형의 집>의 가장 핵심이라고 할 여성의 자아문제를 부각시키는 데는 성공하고 있다. 이는 연출방향과 노라 김지숙의 안정된 연기에 많이 힘입고 있다. 연극의 사회적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는 지금, 여성 연출가에 의해 여성의 문제가 제기된 것은 반가운 일이다. ‘현대예술극장의 <인형의 집>’, 이미원, <공연과 비평>, 1989년 12월호
관련도서
<서양대표 극작가선>, 강태경 외, 새문사, 2000 <연극의 이론과 실제>, 헨릭 입센 저, 이주상 역, 예니, 2002 <인형의 집·유령>, 입센 저, 이경석 역, 홍신문화사, 1995 <인형의 집>, 헨리 입센 저, 김광자 역, 소담출판사, 2002 <인형의 집>, 헨리 입센 저, 김충남 역, 서문당, 2000 <인형의 집>, 헨리 입센 저, 김진욱 역, 범우사, 1997 <인형의 집>, 헨리 입센 저, 김충남 역, 서문당, 1976 <인형의 집>, 헨리 입센 저, 허혁 역, 신문출판사, 1973 <인형의 집>, 헨리 입센 저, 김상구 역, 신조문화사, 1968 <인형의 집>, 헨리 입센 저, 신만철 역, 락원출판사, 1959
연계정보
-극단 성좌
-여인극장
-유령(Gengangere)
관련사이트
PenArt문예
관련멀티미디어(전체3건)
이미지 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