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개요

자세히보기

장르 해설

전(傳)은 한 인물의 일생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서술하는 서사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식은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이야기 형식 중 가장 자연스럽고 대중적인 것이었으며, 대부분의 신화와 위인전설이 이런 형식을 취하고 있다.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인물이야기’인 전이 동양에서 하나의 서사양식으로 자리잡게 된 데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열전(列傳)의 영향이 크다. <사기>에서는 중국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하고 나서, ‘열전’이라는 부분을 따로 설정하여 역사에 이름을 남긴 인물들을 중심으로 역사를 새롭게 조명한다. 전의 서술방식에는 일정한 형식이 있는데, 첫머리에서는 그 사람의 선조와 출생의 내력 및 성장과정을 서술하고, 다음으로 그가 남긴 업적이나 잘못 등을 열거하고 그 원인과 결과 등을 분석한다. 마지막에는 그 인물에 대한 저자 자신의 견해와 평가를 밝히는 동시에 어떤 교훈을 제시하고자 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사기> 열전, <고려사> 열전 등의 공식 역사서는 물론이고 개인의 문집에도 이런 형식을 따라 지은 전들이 적지 않게 실려 있다. 전의 대상은 대체로 역사적으로 이름을 남겼거나 남다른 일을 하여 세상 사람들의 관심을 끈 사람들이었다. <삼국사기>를 비롯한 고려시대 이전의 전은 저자는 대개 학자·문인·승려 등이었고, 대상인물은 승려·장군·효자·열녀·예술가·기능인 등에 걸쳐 다양하게 취택되었다. 전의 양식도 <삼국사기> 열전의 <김유신전>처럼 장편 형식도 있고, 설총·강수 등의 전과 같이 단편 형식을 취한 것도 있다. 조선시대로 들어오면서 이런 다양성이 점차 사라지고 주로 유교적 도덕률의 실현자인 효자·열녀·충신·학자 등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같은 정통적 전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조선 후기에 이르면 정통에서 벗어난 전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유교적 도덕률의 실천자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신선이나 도인 같은 인물들의 전이 등장하고, 또 화가나 음악가 같은 예술가와 기능인, 그리고 시정의 건달과도 같은 협객들을 대상으로 한 전이 등장한다. 더 나아가 유교적 도덕률을 거스른 부정적 인물들의 패륜행위를 다루는 전도 나타나게 되는데, 여기서는 어떤 교훈을 얻기보다 남다른 그들의 생애가 독자들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충족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의 형식은 역사를 서술하는 데 뿐만이 아니라 문학의 양식으로서도 널리 이용되었다. 그 결과 조선 후기의 소설들은 대부분 전이라는 표제를 붙이고 나타나게 된다. 전의 정통에서 벗어나서 그것을 이야기의 형식으로 이용한 것 가운데 하나로 가전(假傳)이 있다. 이것은 전의 대상을 인간이 아닌 동물이나 식물 또는 무생물로 하면서 그것을 통해 인간세상의 한 면을 이야기한다. 이런 전의 형식이 서민소설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비교적 단조롭고 자연스러운 서술방식과 신화시대 이후부터 친근하게 접해왔던 소재 등이 그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전기(傳奇)는 중국 당·송대의 문어(文語)로 씌어진 단편소설을 지칭하는 말로, ‘창작 의도가 기이한 것을 좋아한다(作意好奇)’는 이유로 이 명칭이 붙었다. 우리 문학에 전기가 등장한 때는 당나라와 활발한 교류를 하던 삼국시대 중기였다. 전기문학은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이상하고 신비스러운 사건들이 작품의 내용 속에 포함되면서, 그것을 통해 현실의 벽을 넘기도 하고 현실을 풍자하거나 비판하기도 한다. 전기적 요소는 설화나 소설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삼국시대의 설화 가운데 꿈을 통해 불교적 수도생활의 참 의미를 깨우쳐준 <조신설화(調信說話)>, 호랑이처녀와 총각의 사랑을 이야기한 <김현감호(金現感虎)>, 전사한 온달의 시신이 움직이지 않다가 평강공주의 위로를 받고서야 비로소 땅에서 떨어졌다고 하는 <온달전(溫達傳)> 등에서 전기적 요소를 볼 수 있다. 전기의 발생요인은 사회적 상황과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다. 현실 사회에서 부딪치게 되는 한계와 벽을 상상의 힘으로 극복하고자 한 데서 이같은 문학이 생겨날 수 있었다. 이런 이야기를 통해서 현실사회의 모순과 불만을 다소나마 해소하고 정신적 해방감을 맛볼 수 있었다. 전기문학의 생성시기가 역사적 전환기에 해당하고, 전기문학의 소재가 현실적으로 금기시된 사건들이었다는 사실이 이를 말해준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