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개요

자세히보기

한국 영화의 탄생

우리 나라에 영화가 전래된 시기와 경로에 관해서는 아직도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어 정설로 인정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당시가 개화기라는 혼미한 시기여서인지 확실히 검증이 가능한 사료가 제대로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제작된 영화는 1919년 김도산의 <의리적 구토>로 기록되어 있다. <의리적 구토>는 연쇄극으로 ‘키노 드라마’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1910년대 당시의 신파극과 관계가 있다. 무대상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장면을 촬영하여 극과 극 사이에 상연한 것이다. 연쇄극은 당시 관객들에게는 매우 신기한 볼거리로 연쇄극 상연과 관련된 신문기사나 증언이 남아있기도 합니다. 이 작품은 부분적으로 한국인에 의해 영화가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최초의 한국영화로 기록되고 있다.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상연된 이 작품을 한국영화의 출발로 여겨 10월 27일을 영화의 날로 선표하고 기념하고 있다. <의리적 구토>의 성공에 힘입어 이후 몇 편의 연쇄극이 계속 제작되어 발표되었다. 1923년에는 윤백남 감독의 <월하의 맹서>가 발표되는데, 일본인에 의해 촬영, 편집되었고 한국 최초의 여배우 이월화가 출연했다. 드라마 형태의 구성되어 있으며, 35mm로 촬영되었고, 계몽성이 강하지만 드라마 구조를 갖춘 작품으로 기록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국경>이라는 35mm 무성영화가 제작된다. 극영화의 요소를 고루 갖춘 영화로 기록되어 있지만, 상영에 관한 자료 부족으로 학자들간의 이견이 많은 작품으로 남아 있다. 위의 세 작품 가운데 어느 작품을 한국영화의 시발로 보는가에 상관없이 1919년에서 1923년경을 본격적인 한국영화의 출발로 무리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1924년 김영환 감독의 <장화홍련전>이, 안종화와 이월하가 출연한 <해의 비곡>이 제작되었다. 1925년에는 <월하의 맹서>를 감독한 윤백남이 <운영전>을 감독했고, <심청전>을 제작하기도 했다. 1926년에는 이명우 감독은 연재만화를 영화화하기도 했고, 이경손 감독은 <장한몽>을 감독했다. 1925년까지만 해도 독자적인 한국영화는 많지 않았다. 일본인이 제작, 감독, 촬영, 편집 등 각 부문 마다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26년 10월 한국영화의 전설이자 무성영화의 걸작인 나운규의 <아리랑>이 발표된다. 비교적 단순한 스토리에도 불구하고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영화기법과 심리묘사를 사용했으며, 나라 잃은 민족의 현실을 암시적으로 그려내 관객들의 대단한 반응으로 커다란 사회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나운규는 이 작품의 성공에 힘입어 나운규 프로덕션을 설립, <풍운아>, <들쥐>, <사랑을 찾아서>, <오몽녀> 등 여러 작품을 제작했다. 당시 무성영화와 인기와 함께 변사들의 인기도 배우 못지 않았는데, 단순한 해설자를 넘어 변사 연기자로 영화에 감정을 실어 관객들로부터 커다란 호응을 받았다. 1932년 이규환 감독이 <임자없는 나룻배>로 데뷔했고, 1930년대 후반부터 <무지개>, <나그네> 등을 연달아 발표했다. 또한 나운규와 함께 배우로 데뷔한 윤봉춘도 1930년 <도적놈>으로 감독에 데뷔했는데, 이 두 감독은 해방 후 한국영화의 재건에 헌신하게 된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