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개요

자세히보기

전통불교건축의 개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사찰들은 주로 산 속에 위치하고 있다. 불교가 처음 우리나라에 건너오게 되었을 때는 우리나라도 평지가 많은 인도와 중국처럼 혹은 일본의 고대 사찰처럼 시가지의 중심부에 사찰이 건립되는 것이 상례처럼 되어 있었다. 하지만 시대상황과 사회적 여건에 따라 사찰은 수행이나 포교에 역점을 두는 특수성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사찰은 크게 평지가람형(平地伽藍型), 산지가람형(山地伽藍型), 석굴가람형(石窟伽藍型)의 세 가지 유형으로 발전되었다. 평지가람은 수도를 중심으로 넓은 사역에 장엄한 건축물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왕실의 원당이나 국찰(國刹) 등으로 많이 건립되었고 동시에 불교의 대중화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깊은 산골에 자리 잡은 산지가람은 신라 말기에 도입된 선종(禪宗)의 영향과 풍수지리설에 의거하여 수도생활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특징을 지닌다. 석굴가람은 천연 또는 인공의 석굴에 건립하는 사찰로, 우리나라보다는 인도나 중국에 많았으며 주로 기도를 위한 도량으로 이용하였다. 불교를 국교로 감았던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그리고 고려시대에는 평지가람이 산지가람만큼이나 많았지만, 우리민족의 뿌리 깊은 산악신앙, 호국호법의 목적, 불교의 초세속주의 경향, 풍수지리학으로 인해 꾸준히 산지가람이 형성되었고, 무엇보다도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으로 인해 지금껏 알려진 대찰(大刹)들은 산지가람으로 전해지는 것이다. 사찰이 상징하는 것은 불국정토(佛國淨土)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찰은 불교의 독특한 우주관에 의해 전각들이 배치된다. 물론 교리적 해석이 다른 종파 사이에는 배치상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근본적으로 커다란 배치상의 차이는 없다. 사찰을 살펴보면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사찰의 중심에는 주 예배대상이 되는 부처님과 보살을 모신 불전(佛殿)이 위치하게 되며, 사찰의 초입부터 사찰의 중심까지 각각의 상징성과 격식을 갖춘 산문(山門)이 위치하며, 승려들의 수행과 생활을 위한 실용적인 공간인 요사채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