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3D프린팅콘텐츠

별승자총통(3001208) 크게보기 3D 뷰어
별승자총통(3001208)
국적/시대
한국/조선
재질
금속/동합금제
용도
군사용
소장처
해군사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별승자총통은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철환(鐵丸)이나 전(箭)을 발사하는 전장식(前裝式) 휴대용 소화기(小火器)이다. 승자총통은 1575년(선조 8)에 전라좌수사와 1578년(선조 11)에 경상 병사를 지낸 바 있는 김지(金墀)가 선조(宣祖) 초기에 창제한 휴대용 화기로서 1583년 니탕개(尼蕩介)의 난과 1588년의 시전부락(時錢部落) 정벌 등에서 그 성능이 크게 발휘되었다. 승자총통은 등장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는데, 별승자는 그 중의 하나다. 별승자총통은 임진왜란 해전에서도 조선 수군의 공격 무기로 활용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조총에 밀려 소화기로서의 역할이 퇴보되었다. 별승자총통의 형태는 통신(筒身), 약실(藥室), 모병(冒柄)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는데, 통신은 탄환을 장전하는 부분으로 내부는 원통이며 외형은 대(竹) 마디로 되어있다. 통신과 이어지는 약실은 화약을 장전하는 부위로서 중앙에는 심지 구멍 한 개가 있다. 약실 뒤로 이어지는 모병은 나무로 된 손잡이를 끼우는 곳이다.
활용설명
어린이들은 좋아하는 장난감 중에 총이 있다. 별승자총통은 휴대용 화기이므로 아이들이 가지고 놀기 적당한 길이로 재현하여 문구나 완구를 개발한다면, 선조들의 생활상을 엿보고 어린이들에게 역사적인 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총 내부의 특성, 전체적인 형태미를 잘 활용하게 되면 현대의 실생활용품이나 장식용품으로 개발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