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3D프린팅콘텐츠

분청사기상감모란문편병(3001135) 크게보기 3D 뷰어
분청사기상감모란문편병(3001135)
국적/시대
한국/조선
재질
도자기/분청
용도
식기, 저장용기
소장처
조선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레진(SLA/DLP)
원천유물설명
그릇의 겉면에 모란문을 상감기법으로 표현한 분청사기 편병이다. 병은 물이나 술 등의 액체를 담는 목이 좁은 그릇을 일컫는다. 분청사기는 분장회청 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이다. 분청사기는 청자와같이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 위에 백토로 표면을 바르고 그 위에 회청색의 유약을 입혀 구워낸 것이다. 분청사기가 번조된 시기는 대략 14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해당되며 조선 전기 도자기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우리 도공들의 납치와 요지의 파괴로 분청사기는 자취를 감추었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한강 이북지역에는 드물었지만 한강 이남 지역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분청사기의 종류는 그 제작 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회색 또는 회흑색의 그릇 표면에 백토만으로 분장한 것, 둘째 백토로 분장하고 그 위에 문양으로 장식한 것이 있다. 귀얄, 인화, 박지, 조화,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해서 문양을 나타냈다. 형태는 고려 말 청자의 형태를 토대로 해서 풍만한 율동적인 형태로 변형하고 있으며, 안정감이 있는 실용적인 형태들이 많다. 특히 장군, 자라병, 편병(扁甁), 매병(梅甁) 등과 같은 특수한 모양의 병 종류가 등장한다. 이 분청은 회청색의 분청사기 상감 모란문 편병이다. 원형에 가까운 편병으로 아가리가 바깥쪽으로 벌어져있다. 몸통 윗부분에는 1줄로 새겨진 선에 백토를 상감하였다. 몸통 가운데는 양면을 살짝 눌렀다.
활용설명
편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으로 개발하였다. 병은 요즘에도 사용하는 용기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식기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으며, 병의 표면에 풍요로움과 번영을 상징하는 모란문을 표현하여 장식용품, 생활소품 등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